최악의 소말리아 폭탄테러..사망자 300명 넘어(종합)

2017. 10. 16. 18: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지난 14일(현지시간) 발생한 폭탄테러로 지금까지 300명 넘게 숨지고 3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국 BBC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14일 모가디슈 시내 중심부 호단 지역의 번화가와 메디나 지역에서 트럭 등을 이용한 차량 폭탄 공격이 잇따라 적어도 300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 약 1천200만 명의 소말리아에서는 정부 전복을 목표로 삼은 알샤바브의 테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해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상자도 300명..배후로 이슬람 무장단체 알샤바브 지목
장례식 치르면서 시신 수색 작업도 계속
(모가디슈<소말리아> EPA=연합뉴스)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역사상 최악의 폭탄 테러가 일어나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오후 모가디슈 시내 중심부 사파리 호텔 부근에서 트럭을 이용한 차량 폭탄 공격이 일어났으며, 약 2시간 뒤 메디나 지역에서 또 다른 폭탄이 터졌다. 이번 연쇄 폭탄 공격으로 지금까지 231명이 숨졌다고 현지 의료진 말을 인용해 dpa통신이 전했다. 사진은 지난 15일 모가디슈 테러 현장에서 시민들이 희생자의 시신을 옮기는 모습. bulls@yna.co.kr

부상자도 300명…배후로 이슬람 무장단체 알샤바브 지목

장례식 치르면서 시신 수색 작업도 계속

(카이로·서울=연합뉴스) 한상용 특파원 김정은 기자 =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지난 14일(현지시간) 발생한 폭탄테러로 지금까지 300명 넘게 숨지고 3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소말리아에서 일어난 단일 테러 피해 중 최악이다. 부상자 대부분이 심각한 상태이고 지금도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사망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영국 BBC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14일 모가디슈 시내 중심부 호단 지역의 번화가와 메디나 지역에서 트럭 등을 이용한 차량 폭탄 공격이 잇따라 적어도 300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모가디슈 구조 당국의 책임자인 압디카디르 압디라흐만은 16일 "최근 몇 시간 동안 부상자 중에 사망자가 다수 나와 전체 희생자 수도 300명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폭탄 공격 이후 실종된 이들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숨진 이들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말리아 경찰은 사상자 대부분이 민간인이며 프리랜서 기자 1명도 사망했다고 전했다.

집계된 부상자 수도 중상자 최소 70명을 포함해 3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소말리아 당국은 추산했다.

이번 사건의 경우 자살 폭탄범이 폭발물이 실린 트럭을 몰고 모가디슈에서 가장 번화한 곳인 K5 사거리로 빠르게 돌진한 후 자폭하면서 인명 피해가 컸다.

(모가디슈<소말리아> AFP=연합뉴스)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역사상 최악의 폭탄 테러가 일어나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오후 모가디슈 시내 중심부 사파리 호텔 부근에서 트럭을 이용한 차량 폭탄 공격이 일어났으며, 약 2시간 뒤 메디나 지역에서 또 다른 폭탄이 터졌다. 이번 연쇄 폭탄 공격으로 지금까지 231명이 숨졌다고 현지 의료진 말을 인용해 dpa통신이 전했다. 사진은 이번 테러에 분노한 청소년 등 시민들이 지난 15일 모가디슈에서 머리띠를 두른 채 항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하는 모습. bulls@yna.co.kr

하산 알리 카이레 소말리아 총리는 "그들은 소말리아 국민,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아이들의 생명은 신경 쓰지 않는다"면서 "모가디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을 겨냥해 민간인들만 죽였다"고 비판했다.

한 목격자는 폭발 직후 검은 연기구름이 하늘을 뒤덮었고 호텔문과 유리창, 주변 상가, 버스 수십 대가 박살 났으며 시내의 다른 건물들도 흔들릴 정도였다고 말했다.

모가디슈 시내에 있는 정부 청사 건물 일부도 파손됐다.

소말리아 당국은 이날 희생자들 일부의 장례식을 진행하는 한편 사파리 호텔 등 폭발로 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구조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모가디슈 내 병원은 심각하게 다친 환자들이 밀려들면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파괴된 건물 주변에서는 사람들이 실종된 가족을 찾아 헤매고 있다.

테러 현장에 성난 시위대가 모인 가운데 소말리아 정부는 이번 테러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알샤바브의 소행이라고 지목했다.

하지만, 알샤바브를 비롯해 이번 폭탄 공격의 배후를 자처하는 세력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모하메드 압둘라히 모하메드 소말리아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국가적 참사"가 벌어졌다며 부상자를 위한 헌혈에 동참해달라고 국민에게 당부했다.

모하메드 대통령은 또 사흘간을 국가 애도의 날로 선포했다.

압디라흐만 오스만 소말리아 공보장관은 이날 트위터에 이번 테러를 "야만적"이라고 비판하면서 터키와 케냐를 비롯한 각국에서 의료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도 이번 테러를 규탄하면서 "이러한 비열한 공격은 우리의 소말리아, 아프리카연합 협력국들이 테러라는 재앙과 싸우는 것을 돕는 미국의 노력에 새로운 힘을 불어넣는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트위터에 이번 공격이 "역겹다"고 비판했고, 그의 대변인은 소말리아 국민이 모두 극단주의에 맞서 단합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테러는 소말리아는 물론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전체를 통틀어서도 최악의 공격 가운데 하나다.

이 지역에서는 2015년 케냐 북동부 가리사 대학 총격 테러로 148명, 1998년 케냐와 탄자니아 주재 미국 대사관 폭탄테러로 224명이 숨졌다.

인구 약 1천200만 명의 소말리아에서는 정부 전복을 목표로 삼은 알샤바브의 테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해 왔다. 세계 최빈국으로 꼽히는 소말리아 주민 다수는 수년째 이어진 내전과 기근, 정국 불안 등으로 궁핍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gogo213@yna.co.kr, kje@yna.co.kr

☞ 계부의 10대 딸 성추행 눈 감아준 친어머니…이유는?
☞ '지하철 천사'…바닥 똥 묵묵히 치운 아주머니
☞ 박근혜 '구속연장' 심경발언에 법정 울음바다
☞ 30대 초반 한국인 여배우, 53세 에어아시아 회장과 결혼
☞ 오드리 햅번 닮은 AI 로봇…유엔에 깜짝 등장해 달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