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세를 타고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2만 명대로 치솟으면서 정부의 재택치료 여력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재택치료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전화 모니터링을 하루 1∼2회로 축소하고, 추후 이들 경증 환자는 별도의 모니터링을 아예 하지 않는 ‘재택요양’ 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비대면 백브리핑에서 재택치료 환자 급증에 대한 대응책으로 “이날부터 일일 재택치료 모니터링 횟수를 고위험군은 종전 3회에서 2회, 일반환자는 2회에서 1회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중인 환자는 9만7136명으로 전날(8만9420명)에 비해 7716명, 이틀 전과 비교하면 2만 3000여명이 늘어났다. 이날 하루 확진자가 2만 2773명을 감안하면 4일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은 10만 명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은 지난달 하루 1만명 이상 확진자 발생에 대비해 방역 체계를 개편하면서 최대 11만 명까지 재택치료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재택치료 환자 숫자는 정부 예측과 달리 빠르게 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당장 다음 주부터 임계치에 도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방역당국은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횟수를 줄이면 병원에서 다룰 수 있는 환자 숫자가 40∼50%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창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재택치료 참여기관 수를 계속 늘려나가면서 관리할 수 있는 환자 수를 늘리고, 의사와 간호사가 1인당 맡는 환자 범위를 늘리면서 재택치료 여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의료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증상 경증 환자는 별도의 모니터링을 아예 하지 않는 이른바 ‘재택요양’ 방식도 검토 중이다. 다만 지금 당장은 모니터링 횟수를 단축하고 관리기관을 확충하면서 기존 재택치료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일본에서는 재택요양 제도를 도입해 저위험 환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스스로 관찰하고 필요하면 보건소 등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일본에서는 오미크론 특성상 무증상 경증 환자들이 많이 나타나 모니터링을 안 하는 것까지도 하고 있는 것”이며 “우리는 모니터링이 하루 2번까지는 필요 없다고 판단해서 하루 1회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은 또 확진자 폭증으로 보건소 역학조사 업무에 과부하가 걸려 접촉자 추적이나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에, 역학조사에서 이동 동선 추적 항목을 없애는 등 간소화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이동 동선이나 감염추정 경로 및 장소를 필수적으로 파악하도록 했다면, 앞으로 이런 항목은 선택 조사 항문으로 바뀐다.

오는 7일부터 전화 문답으로 이뤄지던 역학조사 대신 대상자가 직접 답변을 기입할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시행할 예정이다. 확진자는 동거가족 유무, 근무 장소, 연령대 등의 인적 정보 위주를 직접 입력하게 된다. 또 지금까지는 모든 확진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대상자 자체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확진자가 증가하다 보니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난 다음에 시작하는 기초역학조사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지난달 26일부터 중점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접촉자 대상 범위를 축소해서 우선순위가 높은 업무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