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주요 수출지역, 확고한 수출 플러스 흐름

btn_textview.gif


주요 수출지역, 확고한 수출 플러스 흐름

- 미국·중국·아세안 등 주요 수출지역 고르게 수출 플러스 흐름 지속

- 5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 열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주요 지역별 수출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527()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5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를 개최하였다.

‘24년 들어 우리 수출은 미국, 중국, 아세안 등 주요 수출지역에서 호조세를 보이며 견조한 우상향 모멘텀을 구축하고 있다. ’24.1~4월 기준 9주요 지역 중 6개 지역에서 수출 플러스를 달성하였으며, 미국(424억 달러, +17.7%)인도(61억 달러, +4.0%)는 동기간 역대 1위에 해당하는 실적을 기록하였다.

* 9대 주요 지역(수출액순) : (증가)미국, 중국, 아세안, 중남미, 일본, 인도, (감소)EU, 중동, CIS

주요 지역별 수출상황의 경우, 월별 역대 최대실적을 올해 들어 매월 경신중인 대미 수출은 자동차(+28.2%), 일반기계(+46.6%), 반도체(+212.5%)중심으로 호조세가 지속되었다. 대중국 수출은 글로벌 정보통신(IT) 업황 개선이 반도체(+34.4%), 디스플레이(+26.7%) 수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전체 수출 증가세(+5.7%)를 견인하였다. 대아세안 수출도 반도체(+19.0%), 석유제품(+8.6%), 석유화학(+20.1%)을 중심으로 증가흐름(+3.8%)을 이어갔으며, 대중남미 수출은 일반기계(+22.2%), 철강(+2.5%), 자동차 부품(+4.6%) 수출이 증가하면서 주요 지역 중 가장 높은 수출 증가율(+25.4%)을 기록하였다.

정인교 본부장은 올해 들어 수출이 미국, 중국, 아세안을 포함한 대다수 지역에서 고르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고, “5월에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면서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고, “정부도 이러한 수출 호조세가 올해 최대 수출실적 달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수출 원팀 코리아로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