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19개의 신규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구축하여 첨단산업 뒷받침

btn_textview.gif

19개의 신규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구축하여 첨단산업 뒷받침

- 산업부 23년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 등 총 1,969억 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322() 기술혁신 과정에서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시설과 장비를 조성하기 위한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의 ‘23년도 신규과제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참여기관의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ㅇ 올해는 101개 과제에 1,915억 원을 지원하고, 이 중 신규로 19개 과제에 285억 원을 투입한다.

 

ㅇ 산업부는 이번 공고를 통해 4월 말까지 신규 과제에 참여할 연구개발기관을 모집하여 선정할 계획이다.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 세부내용과 신규 과제


 

업혁신기반구축 사업산업기술혁신에 꼭 필요하지만 중소·중견기업 접 구축하기 힘든 연구장비·SW 기술개발 인프라 대학·출연연구소·전문연구소·TP 등에 구축하여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소·중견기업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술개발-제품기획·설계-제품 제작-시험인증·평가 등 기술혁신 전주기에 걸쳐 활용할 수 있다.

 

<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개념도 >

최종 수혜자인 기업 대한 간접지원

연구소, TP, 대학교 등의 수행기관을
간조직으로서 지원하고, 해당 수행기관이 장비용을 통해 기업의 R&D, 사업화 등 혁신활동 지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0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2pixel, 세로 295pixel


 

올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전자전기, 기계로봇, 수송, 바이오, 디지털·친환경 공정 혁신·소재 분야의 19개 과제를 신규로 선정한다.

 

ㅇ 정부는 인프라 구축을 희망하는 대학·연구기관·TP 등에 최장 5년간 최100억 원을 지원하고, 각 기관들은 총사업비의 최소 30% 이상에 해당하는 부담금을 출자하는 조건으로 참여할 수 있다.

 

< ’23년도 신규 과제>

 

분야

세부 과제

반도체·디스플레이
전자전기

· 소재·부품·장비 기초성능평가 플랫폼 구축

· 부착형 디스플레이 기술 기반구축

· 취약계층친화적 지능형 홈케어서비스 기반구축

· 섬유 기반 고정밀 계측 센서 개발·실용화 기반구축

· 배터리 활용성 증대를 위한 BaaS 실증 기반구축

· 공공부문 산업데이터 통합 활용 기반구축

· 디자인 산업데이터 통합 활용 기반구축

·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실증 인프라 구축

기계로봇

· 물류영역 서비스로봇 공통플랫폼

· 하이테크롤 첨단화 지원 기반구축

수송

· 전기차용 전동화시스템 평가기반구축

· 자율주행 인지·운행안전 성능검증

· 중소형 조선소 DX센터 구축

바이오

· 메디바이오 핵심소재·실용화 기반구축

· 생분해성 플라스틱 표준개발·평가기반구축

· 바이오 인터페이싱 인체이식형 기반구축

디지털 친환경
공정혁신·소재

· 뿌리산업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DX 기반구축

· 플라스틱 산업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DX 기반구축

· 공성 탄소소재기반 환경소재 및 부품개발 기반구축


 

그간 산업부는 동 사업에 ’11년부터 약 17천억 원투자하여, 전국의 ·출연연구소 등 연구기관에 4,604대의 장비를 구축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중소기업인 A()는 동사업의 SW 개발·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토대로 사용자의 손톱영상을 진단하고 코스메틱·건기식 서비스까지 연계하는 AI기반 네일 코스메틱 디바이스를 개발, 2023 CES 혁신상수상하였으며,

 

다른 중소기업인 B()는 동 사업을 통해 소재 시험·분석부터 공정에 이르는 통합적인 지원을 받아 국내 최초탄탈륨 기술확보하고 공정라인을 구축·생산하여 200억원 규모의 매출 발생기대하고 있다.

 

산업혁신기술지원 플랫폼 사업 세부내용


 

, 산업부 기반구축 사업을 통해 구축된 연구 인프라 간의 연계·활용 촉진을 위한 산업혁신기술지원 플랫폼 사업도 추진한다.

 

동 사업은 다양한 기관에 구축된 기 구축 장비기업 필요에 따라 문제해결 중심으로 연계·제공하는 패키지 서비스개발·활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 기업이 분야별 대표 기관기술개발을 위한 장비 지원 요청하면, 표 기관해당 기술개발을 위해 필요한 여러 기관의 연구 인프라 패키지로 묶어서 안내하여 기업 애로를 one-stop으로 해결한다.

 

산업혁신기술지원 플랫폼(i-플랫폼)

 

 

 

 

 

소재부품

(대표기관)

 

기계로봇

(대표기관)

 

전기전자

(대표기관)

 

바이오의료

(대표기관)

 

자동차운송

(대표기관)

 

조선해양

(대표기관)

 

 

 

 

 

 

 

 

 

 

 

 

 

 

 

 

 

참여기관

 

참여기관

 

참여기관

 

참여기관

 

참여기관

 

참여기관

 

 

 

 

 

 

 

 

 

 

 

 

 

 

 

 

 

 

 

 

 

 

 

 

 

 

 

 

 

 

 

 

 

 

 

연구장비 보유 기관


 

ㅇ 또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 기관 장비 구식 장비, 노후 장비 등 필요한 장비에 한해 업그레이드까지 지원한다.

 

ㅇ 올해는 6개 분야의 24개 패키지서비스참여하는 연구기관 컨소시엄선정·지원할 예정이다. (컨소시엄별 1.3억원 지원)

 

업부 이민우 산업기술융합정책관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보다 치열해지는 현 시점에서는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신속한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 경쟁요소라고 언급하며,

 

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잠재력이 큰 아이디어가 연구개발(R&D) 성과로 빠르게 될 수 있도록 필수 인프라는 정부가 책임지고 적시에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