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제1차 「농업통상전략포럼」 실무위원회 개최

btn_textview.gif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329() 오전 11 한국프레스센터(서울 중구 소재)에서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 주재로 제1농업통상전략포럼실무위원회를 개최한다.

 

 

1농업통상전략포럼실무위원회 개요

 

 

· 일시 및 장소 : 2023.3.29.() 11:00~12:30, 한국프레스센터

· 참석자

 

  - (농업인 단체) 한국농축산연합회,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농민의길, 축산·과수·수출 관련 단체 협의회 사무총장 또는 전무 등

 

  - (농식품부) 국제협력관, 농업통상과장, 검역정책과장, 자유무역협정팀장, 담당관 등

 

· 안건 : 주요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농업협상 동향 및 대응 방향, 농축산물 수출검역협상 중점추진품목 선정

 

  농업통상전략포럼실무위원회는농업통상전략포럼의 하부위원회로 주요 농업통상 현안 관련 농업인 단체 및 농산물 수출조직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안건은 총 3개로 주요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농업협상 동향 및 대응 방향, 농축산물 수출검역협상 중점추진품목 선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IPEF(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 전통적인 관세 감축을 통한 시장개방과 달리 식량안보·공급망·환경 등 관련 새로운 통상규율 마련을 논의하는 경제통상협력체, 한국·미국·일본·호주·뉴질랜드·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인도-태평양 지역 내 14개국 참여

주요 FTA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에콰도르, 걸프협력회의(GCC*), 필리핀 등 주요 자유무역협정(FTA) 농업협상별 진행 경과와 현황, 금년 협상 전망을 공유할 계획이다.

 

    * GCC(Gulf Cooperation Council) : 사우디, 쿠웨이트, UAE, 카타르, 오만, 바레인(6개국)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농업협상 동향 및 대응 방향

  2차 실무협상(3.13.~19.)에서 논의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혁신과 기술, 식량안보, 위생·검역의 이행 절차 개선, 투명성 증진 등을 중심으로 협상 동향을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농축산물 수출검역협상 중점추진품목 선정

  농식품 수출업계 및 생산자 단체의 수요조사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해외 시장성 분석을 토대로 선정한 2023년도 수출검역협상 중점추품목*을 공유하고 수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할 예정이다.

 

    * 농산물(5품목, 8개국) : 단감(중국), 참외(호주), 만감류(필리핀, 태국, 베트남), 종자류(콜롬비아, 에콰도르), 포도(브라질)

    * 축산물(7품목, 9개국) : 한우고기(말레이시아, 중국, 싱가포르, 미국, EU), 열처리돈육(싱가포르, 베트남), 열처리가금육(중국), 알가공품(싱가포르, 일본), 반려동물사료(중국,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중국), 동물용의약품(멕시코)

 

  농식품부 정혜련 국제협력관은 금번 실무위원회를 주요 농업통상 현안 관련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농업계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로 평가하면서 금일 실무위원회 의견들을 검토하여 농식품 분야 협상 대응 및 전략 수립에 참고, 반영해 나갈 계획임을 밝힐 예정이다.

 

붙임 제1농업통상전략포럼실무위원회 개최 계획.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