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18세 이상 성인 대상 2가백신 접종 실시(10.26.수)

btn_textview.gif


18세 이상 성인 대상 2가백신 접종 실시

-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대비 18% 증가 -




-주요 내용-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 발표

 ○ 동절기 재유행 대비 필요성, 2가백신 연구 결과, 허가동향 등을 고려,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 수립

 ○ 코로나19로 인한 건강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건강취약계층에서 18세 이상 성인으로 접종 대상 확대

 ○ 오미크론에 맞게 개발된 2가백신 3종 접종을 권고하며, BA.1 모더나 백신 외 BA.1 및 BA.4/5 화이자 백신 추가로 도입하여 활용

 ○ 백신별 접종일정은 허가 및 도입일정에 따라 상이하며, 10.27일부터 순차적으로 접종 가능

    * BA.1 모더나 10.27일, BA.1 화이자 11.7일, BA.4/5 화이자 11.14일


□ 코로나19 주간 발생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24,605명(전주 대비 18.0%↑)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17.3%↑) 및 사망자(2.5%↑)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

 ○ 주간(10.10.~10.16.)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9.48%로 전주(10.10%) 대비 감소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한덕수)는 오늘 중대본 제2차장(행정안전부 장관 이상민) 주재로 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및 위험도평가 등을 논의하였다.




 1.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 발표



□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동절기 재유행 대비 필요성, 국내 2가백신 도입 일정 구체화 등에 따라,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을 10월 26일 발표하였다. 


 ○ 이번 확대계획은 지난 9월 21일에 발표한 시행계획을 토대로, 최근 허가된 화이자 BA.1 및 BA.4/5 기반 2가백신 도입일정 등을 고려하여 세부적인 접종대상 및 일정을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 동 확대계획은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10월 17일)와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10월 21일)를 거쳐 결정되었다. 



1. 2가백신 허가 및 도입현황



□ 동절기 접종에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2가백신(Bivalent Vaccine)이 활용된다. 


 ○ 2가백신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유행한 바이러스와 현재 유행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를 모두 포함한 백신으로, 기존 백신에서 확인된 중증·사망 예방효과뿐만 아니라, 현재 유행하고 있는 오미크론에 대한 감염 예방 및 유행억제 효과도 기대된다. 


 ○ 먼저, 오미크론 초기 변이인 BA.1을 활용한 2가백신은 모더나(9.8일)와 화이자(10.7일) 모두 국내 허가를 받았으며, 이 중 모더나 백신은 10.11일부터 접종을 시작했다. 


   - 금일(10.26일) 기준, BA.1 기반 2가백신의 국내 도입물량은 모더나 총 657만 회분, 화이자 총 604만 회분이다. 


 ○ 또한, 오미크론 BA.4/5 변이를 활용한 화이자 2가백신은 지난 10월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긴급사용승인했으며, 조만간 도입된다. 







2. 2가백신의 효과와 안전성



□ 화이자의 BA.1 기반 2가백신은 초기 유행한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효과성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 (효과성) 55세 이상 미감염 그룹에서 BA.1 기반 2가백신으로 4차접종 1개월 후 오미크론 BA.1 변이에 대해 기존 백신보다 1.56배 높은 항체가 확인되었다.


    * (중화능)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능력


구분

기존 백신

BA.1 기반 백신
30GMT (N=169)

BA.1 기반 백신
60GMT (N=174)

BA.1 기반 2가백신
30GMT (N=178)

BA.1 기반

2가백신
60GMT (N=175)

오미크론/BA.1

456

1015

1435

711

900

-

2.23

3.15

1.56

1.97



 ○ (안전성) 안전성은 기존 백신과 유사하였으며, 새로운 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고, 빈번한 이상반응은 주사부위통증, 피로,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및 오한인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 코미나티2주 0.1mg/mL 허가사항 중 사용상 주의사항(22.10.7. 식약처)



□ 화이자의 BA.4/5 기반 2가백신의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 (효과성) 전임상 결과, 초기주 기반의 기존 백신에 비해 BA.4 및 BA.5에 대한 중화능이 약 2.6배 증가하였다. 


구분

초기주

BA.1

BA.2

BA.2.12.1

BA.4/5

기존 백신

9870

2075

872

951

800

BA.4/5 기반 2가백신

5869

2075

2691

3200

2075 (2.6)




3. 국외 정책동향



□ 미국, 일본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2가백신을 기존 백신에 우선하여 권고하고 있다.


 ○ 미국은 금년 하반기에 오미크론 변이 BA.4 및 BA.5가 우세할 것으로 전망하여, BA.4/5 기반 2가백신을 승인(8.31.)하고 권고 중이며, 이 외의 백신은 활용하지 않고 있다. 


 ○ 유럽연합(EU)는 적기접종이 백신의 종류보다 중요함을 근거로, BA.1 기반과 BA.4/5 기반 백신은 동일 수준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2가백신을 접종할 수 없는 경우 기존 백신 접종을 허용하고 있다.


 ○ 일본은 BA.1 기반 또는 BA.4/5 기반 2가백신 모두 기존 백신 대비 오미크론 변이에 유효할 것이 기대되므로, 접종 시점에 접종 가능한 2가백신을 권고하고 있으며, 접종 순서가 도래하였으나 기존 백신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기존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다.



<국외 2가백신 권고사항>


백신

BA.1 또는 BA.4/5 기반 2가백신 중 권고백신

기존 백신 사용여부

미국

BA.4/5 기반 백신만 활용

불가

유럽연합(EU)

동일

2가백신을 접종할 수 없는 경우 허용

캐나다

동일

2가백신을 접종할 수 없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 허용

일본

동일

기존 백신만 접종 가능한 경우 등 허용







4.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확대계획



□ 동절기 재유행 대비 필요성, 백신 도입상황, 백신효과 등을 고려하여 접종대상을 확대하였으며, 세부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접종목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위험에 대비, 건강취약계층 등에 대한 두터운 보호를 지속하고, 2가백신의 감염예방효과를 활용하여 유행억제를 통한 중증·사망 예방을 도모할 예정이다.


 ○ (접종대상) 동절기 추가접종은 18세 이상 성인 기초접종 이상 완료자를 대상으로 한다. 건강취약계층부터 우선 시행 중인 동절기 추가접종의 대상을 18~49세의 건강한 성인까지 확대한다. 


   - 다만, 권고수준에 차이가 있다. 18세 이상 성인에게 접종을 허용하되, 건강취약계층(1순위) 및 50대 및 기저질환자, 보건의료인(2순위)에게는 접종을 권고한다.



<’22-’23년 동절기 접종 우선순위>

순서

대상

접종권고수준()

1순위

요양병원·시설 및 그와 유사한 시설 등

면역저하자

고령층 (60세 이상)

권고

2순위

50대 및 기저질환자

보건의료인

권고

집단시설(군 및 입영장병, 교정시설 등)

허용

3순위

18~49세 성인

허용





 ○ (접종간격) 마지막 접종 또는 확진일 기준 4개월(120일) 이후 접종을 권고한다. 3차접종 혹은 4차접종 후 4개월(120일)이 지난 18세 이상 성인은 동절기 추가접종 대상이 된다.

 ○ (접종백신) 기존 백신을 활용한 3·4차접종보다 오미크론에 대응하여 개발된 mRNA 2가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을 권고한다. 화이자의 BA.4/5 기반 2가백신도 신속하게 도입할 예정이다. 


   - 다만 mRNA 백신 접종 금기·연기대상자 또는 mRNA 백신 접종을 원하지 않는 경우, 노바백스 등 유전자재조합 백신도 보조적으로 활용한다.


 ○ (접종일정) 2가백신 3종(BA.1 기반 모더나·화이자, BA.4/5 기반 화이자)을 선택하여 접종할 수 있으나, 백신별 접종일정은 허가 및 도입일정에 따라 상이하다.



<동절기 접종 확대 시행 일정>


백신

사전예약

당일접종

예약접종

모더나 BA.1

10.27

10.27

11.7

화이자 BA.1

10.27

11.7

11.7

화이자 BA.4/5

10.27

11.14

11.14

유전자재조합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10.27

10.27

11.7




   - (모더나 BA.1) 먼저 접종을 시작한 모더나 BA.1 기반 2가백신은 10.27일부터 사전예약과 당일접종이 가능하며, 11.7일부터 예약접종이 시작된다.


   - (화이자 BA.1) 접종기관 배송일정 등을 고려하여 10.27일부터 사전예약이 가능하며, 예약접종 및 당일접종은 11.7일부터 시작된다.


   - (화이자 BA.4/5) 국내 도입일정을 고려하여, 10.27일부터 사전예약이 가능하며, 예약접종 및 당일접종은 11.14일부터 시작된다.


       * 화이자 BA.4/.5 백신은 11월초 도입예정


   - (유전자재조합) 10.27일부터 사전예약과 당일접종이 가능하며, 11.7일부터 예약접종이 시작된다.


 ○ (접종방법) 사전예약은 누리집(http://ncvr.kdac.go.kr), 1339 콜센터,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할 수 있으며, 온라인 이용이 불편한 고령층 등은 가족들의 대리예약도 가능하다.


  - 당일접종도 가능하며, 의료기관 예비명단과 네이버, 카카오 플랫폼을 통한 누리소통망(SNS) 잔여백신 예약서비스를 활용하여 참여할 수 있다.


□ 추진단은 접종편의 증진을 위해 화이자 BA.1 기반 2가백신 접종 위탁의료기관은 10,409개소, BA.4/5 기반 2가백신 접종 기관은 10,616개소를 지정(10.26일 기준)하였고,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 구체적인 기관 명단은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a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백경란 청장은,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동절기 추가접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 


 ○ “아직까지 한 번도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의 기초접종 완료, 고령층 및 소아청소년 등 고위험군의 인플루엔자 접종에도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2.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10월 3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18.0% 증가하여 일평균 약 2만 4천명 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주간 누적: (9월4주) 20.1만 명→ (10월1주) 15.7만 명→ (10월2주) 14.5만 명→(10월3주) 17.2만 명

  ** 일 평균: (9월4주) 28,820명→ (10월1주) 22,457명→ (10월2주) 20,849명→(10월3주) 24,605명


 ○ 10월 3주(10.16.~10.22.) 주간 확진자 수는 172,236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24,605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9로 9주만에 1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85

(8.28.~9.3.)

91

(9.4.~9.10.)

92

(9.11.~9.17.)

93

(9.18.~9.24.)

94

(9.25.~10.1.)

101

(10.2.~10.8.)

102

(10.9.~10.15.)

103

(10.16.~10.22.)

확진자수()

598,682

479,662

383,058

234,682

201,741

157,201

145,943

172,236

일 평균 확진자()

85,526

68,523

54,723

33,526

28,820

22,457

20,849

24,605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65.6

132.7

106.0

64.9

55.8

43.5

40.4

47.6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8

0.8

0.8

0.6

0.9

0.8

0.9

1.2

감염재생산지수(Rt)

0.87

0.82

0.80

0.80

0.87

0.89

0.89

1.09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며, 


  - 발생률은 10-19세(61.6명), 80세 이상(56.7명), 70-79세(51.7명) 순이었으며, 학령기 및 7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높았다.


  - 감염취약시설의 집단감염 발생과 확진자 발생규모는 감소중에 있지만,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은 전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다. 


    *감염취약시설 집단 발생 현황(건수) : (9월3주) 96 → (9월4주) 84 → (10월1주) 61 → (10월2주) 65

    **60세 이상 확진자수 : (9월4주) 49,690명→  (10월1주) 40,045명→  (10월2주) 36,995명→ (10월3주) 44,615

     ***60세 이상 비율: (9월4주) 24.6%→ (10월1주) 25.5%→ (10월2주) 25.3%→(10월3주) 25.9%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101

102

103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57,201

(100.0)

43.5

145,943

(100.0)

40.4

172,236

(100.0)

47.6

25,271,078

(100.0)

48,938

성별

남성

70,600

(44.9)

39.2

64,883

(44.5)

36.0

76,076

(44.2)

42.2

11,808,972

(46.7)

45,866

여성

86,601

(55.1)

47.8

81,060

(55.5)

44.7

96,160

(55.8)

53.1

13,462,106

(53.3)

51,993

연령별

0-9

11,825

(7.5)

44.9

10,296

(7.1)

39.1

11,239

(6.5)

42.7

2,782,501

(11.0)

73,996

10-19

18,417

(11.7)

55.9

16,920

(11.6)

51.3

20,294

(11.8)

61.6

3,227,716

(12.8)

68,539

20-29

20,713

(13.2)

44.5

19,298

(13.2)

41.4

21,480

(12.5)

46.1

3,727,605

(14.8)

56,004

30-39

21,629

(13.8)

46.0

20,301

(13.9)

43.1

24,087

(14.0)

51.2

3,686,061

(14.6)

54,824

40-49

22,765

(14.5)

39.8

21,465

(14.7)

37.5

25,561

(14.8)

44.7

3,855,115

(15.3)

47,205

50-59

21,807

(13.9)

36.1

20,668

(14.2)

34.2

24,960

(14.5)

41.3

3,222,998

(12.8)

37,324

60-69

20,610

(13.1)

41.1

19,060

(13.1)

38.0

22,795

(13.2)

45.5

2,662,415

(10.5)

37,160

70-79

12,356

(7.9)

47.5

11,361

(7.8)

43.7

13,457

(7.8)

51.7

1,324,499

(5.2)

35,652

80세이상

7,079

(4.5)

48.0

6,574

(4.5)

44.6

8,363

(4.9)

56.7

782,168

(3.1)

37,105




□  10월 3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수는 199명으로 전주 대비 13.7% 증가하였으며, 사망자는 166명으로 전주 대비 2.5%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9월 4주) 248명 → (10월 1주) 226명 →  (10월 2주) 175명 → (10월 3주) 199명 

  ** 주간 사망자 수 : (9월 4주) 305명 → (10월 1주) 201명 → (10월 2주) 162명 → (10월 3주) 166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10.22. 0시 기준) 



 ○ ’22년 10월 22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56.1명(치명률 0.11%)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812.3명(치명률 2.1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79.0명(치명률 0.50%), 60대는 46.7명(치명률 0.13%)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10.22.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10월 3주 사망자의 92.2%(153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63.3%(105명), 70대가 19.9%(33명), 60대가 9.0%(15명)이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29.4%(45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10월 2주(10.10.~10.16.)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9.48%로 전주(10.10%) 대비 감소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9월3주) 10.91%, (9월4주) 10.20%, (10월1주) 10.10%, (10월2주) 9.48%


 ○ (누적발생) ’22.10.16.0시 기준, 24,405,622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560,137명, 누적구성비 2.29% 확인되었다.


   *(9월3주) 202,060명(2.15%), (9월4주) 181,038명(2.21%), (10월1주) 136,758명(2.25%), (10월2주) 136,229명(2.29%)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0%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0.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1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0%,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7.9% 낮음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5*는 87.6%(-0.8%p), BA.5의 세부계통 중 하나인 BF.7과 BQ.1.1은 각각 2.7%(+0.9%p)와 2.5%(+2.1%p)로 확인되었다.  


   * (10월2주→10월3주) BA.5 국내감염 96.2% → 94.6%, BA.5 해외유입 61.4% → 57.6%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0.22.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BF.7

BQ.1

BQ.1.1

BA.4.6

BA.2.75

BA.2.75.2

BA.2.3.20

전체

94

93.0

0.3

0.0

0.0

0.2

2.4

0.7

0.9

101

90.6

1.3

0.0

0.0

0.4

2.8

0.5

0.8

102

88.4

1.8

0.5

0.4

0.2

3.3

1.0

2.2

103

87.6

2.7

1.2

2.5

0.3

2.6

0.5

1.1

국내감염

94

98.2

0.3

0.0

0.0

0.0

0.8

0.1

0.3

101

96.4

0.9

0.0

0.0

0.2

1.3

0.3

0.2

102

96.2

0.4

0.3

0.2

0.1

0.5

0.5

1.0

103

94.6

1.9

0.2

0.4

0.2

1.4

0.2

0.5

해외유입

94

81.0

0.2

0.0

0.0

0.7

6.4

2.0

2.2

101

73.5

2.6

0.0

0.0

1.0

7.4

1.0

2.6

102

61.4

6.6

1.4

0.8

0.8

12.9

2.7

6.3

103

57.6

6.6

5.2

11.4

1.0

7.9

1.4

3.8



   * 유전체분석기반 별도 산출(BA.5는 BF.7 및 BQ.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A.2.75.2를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10.7일 첫 확인된 재조합 변이바이러스 XBB는 3건이 추가로 검출되어 총 18건(국내 6건, 해외유입 12건)이 확인되었다. 



(참고) BA.2.3.20의 현황 및 특성


▶ BA.2 대비 스파이크 단백질에 9개의 추가 변이가 있으며 면역회피능이 다소 증가하나 항체치료제에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고되고 있음

  - 미국, 오스트리아, 호주 등 전 세계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9.1일 첫 검출 후 총 79건(국내 23, 해외유입 56) 확인됨




□ 10월 3주차(10.16~10.22) 시도별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28.9%로 지난주(30.4%) 대비 1.5%p 감소하였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월별 처방률




□ 국외 발생은 ’22년 41주차(10.10.∼10.16.)에 신규발생 308만명(WHO기준)으로 발생의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다.


   * 전 세계 : (41주) 확진 3,085,313명(-2.1%), 사망 8,512명(-15.7%)



 ○ BF.7형, XBB형 등 하위 변이의 증가세가 있는 독일, 프랑스, 싱가포르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 (독일) 발생이 최근 6주 증가, 사망자 수는 최근 1주 감소

   ** (프랑스) 발생이 최근 6주 증가, 사망자 수는 최근 4주 증가

  *** (싱가포르) 발생이 최근 6주 증가, 사망자 수는 최근 4주 증가




□ 전국 중환자와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20%대 이하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0.2주 → 10.3주): (전국) 15.8% → 18.1%, (수도권) 15.2% → 17.5%, (비수도권) 17.4% → 19.4%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0.2주 → 10.3주): (전국) 23.1% → 28.6%, (수도권)  23.4% → 29.6%, (비수도권) 22.4% → 26.1%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모델링 전문가들은 최근 유행 상황을 반영하여 향후 코로나19 유행 예측 결과를 제시하였다(10.15. 기준).


 ○ 지난 8주간 유행은 정점 구간을 지나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주부터 확진자가 증가하여 9주만에 유행이 반등한 상황이다.


 ○ 유행이 반등함에 따라, 최근 다양한 세부 변이 등장 및 국외 반등 상황 등을 고려해 지속 관찰하며 재유행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 유행 예측은 향후 변이 검출률 변화, 방역 정책 조정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변동 가능




□ 10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 병상가동률, 확진자 수 등 관련 지표 대부분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중환자 병상가동률의 안정적인 운영상황을 고려하였다.


<10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7

8

9

10

1

(7.3.~)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3

(8.14.~)

4

(8.21~)

5

(8.28~)

1

(9.4~)

2

(9.11~)

3

(9.18~)

4

(9.25~)

1

(10.2~)

2

(10.9~)

3

(10.16~)

전국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3.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예방 수단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코로나19 감염, 중증화 및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어수단이었으며 향후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BA.5 우세화 시기인 9월 2주차 기준, ‘미접종군’의 사망률은 ‘2차접종군’에 비해 2.7배, ‘3차접종군’에 비해 6.9배, ‘4차접종군’에 비해 8.9배 높았다.


   * 9월 2주차 기준, 60세 이상에서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10만 인일당)은 ‘미접종군’ 1.87명, ‘2차접종군’ 0.69명, ‘3차접종군’ 0.27명, ‘4차접종군’ 0.21명임


   ** 주차별 한주동안 분석대상 중 ‘미접종군’, ‘2~4차접종 완료군’에 해당되는 대상자의 감염 여부 및 이후 28일 모니터링한 결과 코로나19로 사망한 비율 비교


<그림> 60세 이상 주차별 접종군별 사망률


<그림> 9월 2주차 60대 이상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  2021년 1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통해 약 14.4백만명에서 19.8백만명*을 사망에서 구했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유명 의학저널 “Lancet Infecious Disease”에 발표되었다.


 ○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가 의뢰하여 수행한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 감소 규모 추산 연구 결과, 2021년 동안


   - 보고된 사망자 수 기준 14.4백만명(95% 신뢰구간 13.7-15.9백만명), 초과 사망자 수 기준 19.8백만명(95% 신뢰구간 19.1백만명 ~ 20.4백만명)이  예방접종을 통해 사망을 예방할 수 있었다고 추정되었다.


   - 또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사망예방뿐만 아니라 전세계 코로나19 유행양상을 변화시켰다고 언급하면서 예방접종률 향상을 강조하였다. 


   * “Global impact of the first year of COVID-19 vaccination: a mathematical modelling study” Lancet Infect Dis 2022.6.23.


 ○ 한편 질병관리청의 분석결과 국내 2021년 2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한 이후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통해 사망자 약 12만명의 사망을 예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 세부 사항은 붙임 9 참조



<그림>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누적 사망예방규모






 4. 국내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의심사례 검토현황(5차)



□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이후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에 대한 감시체계를 의료계 및 관련 학회와 협력하여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9월 7일부터 9월 28일까지 신고된 의심사례에 대한 5차 전문가 검토 결과를 발표하였다.


     * (신고사례정의) ’22.5월 이후 의료기관에 내원한 16세 이하의 소아·청소년 환자 중 간수치(AST 또는 ALT)가 500IU/L를 초과하며, A·B·C·E형 바이러스간염이 아닌 경우


 ○ 신고사례정의에 부합하는 12건에 대한 전문가 심층 검토 결과, 급성간염의 원인이 추정 가능한 사례 8건*을 제외한 4건이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의심사례로 분류되었으며,


     * 전문가 검토결과, 추정가능한 급성간염의 원인은 가와사키병, 엔테로바이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이 확인됨


   -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의심사례 4건 중 1건에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임상 경과는 모두 양호하여 간이식이 요구되거나 사망한 사례는 없었다.


    ※ (1~5차 검토 결과) 신고사례정의에 부합하는 사례는 42건이었으며, 급성간염의 원인이 추정 가능한 사례 21건을 제외한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의심사례는 21건 중 아데노바이러스는 3건에서 확인됨


 ○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의 국내 감시체계를 운영하면서 전문가들과 의심사례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현황을 정기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 주요 방역지표 현황



【병상】


□ 10월 25일 (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036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2.5%, 준-중증병상 31.3%, 중등증병상 16.5%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1.7%이다. 


< 10.25.(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무증상·경증(輕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전국

1,572

353

1,219

2,441

763

1,678

1,907

314

1,593

116

2

114

(+0)

(22.5)

(-19)

(+0)

(31.3)

(-16)

(+0)

(16.5)

(-28)

(+0)

(1.7)

(+1)

수도권

1,140

233

907

1,758

570

1,188

1,040

156

884

116

2

114

(+0)

(20.4)

(-14)

(+0)

(32.4)

(-6)

(+0)

(15.0)

(-8)

(+0)

(1.7)

(+1)

중수본

0

0

0

0

0

0

0

0

0

116

1

115

서울

216

75

141

316

201

115

268

66

202

0

0

0

경기

582

126

456

899

266

633

421

41

380

0

0

0

인천

342

32

310

543

103

440

351

49

302

0

0

0

비수도권

432

120

312

683

193

490

867

158

709

0

0

0

(+0)

(27.8)

(-5)

(+0)

(28.3)

(-10)

(+0)

(18.2)

(-20)

(+0)

(+0)

(+0)

중수본

0

0

0

0

0

0

0

0

0

0

0

0

강원

33

21

12

29

20

9

37

18

19

0

0

0

충청권

99

26

73

115

0 Comments
여성 레깅스 반바지 하이웨스트 슬림핏 쇼츠
제거 푸셔 큐티클 관리 도구 DD-11795 네일 손톱 양면
레츠큐어 부평초 개구리밥 98% 추출물 토너 150ml
금속테용 에어 코패드 코받침 교체 안경자국 실리콘
3단접이식스탠드선풍기 탁상용선풍기 미니선풍기
갤럭시노트20 방탄 강화 액정보호필름 2매
아이패드 미니6 지문방지 액정필름 보호필름 2매
LS전선 CAT.5E UTP 옥외용 케이블 200m (철심/단선/
이케아 GUBBARP 구바르프 손잡이 21mm 화이트 2개입
GB6152 무소음 메탈 스탠드시계 화이트 제조한국
유진 660 BSN 블랙실버 목문 방문손잡이 욕실용
이케아 DIMPA 딤파 캠핑 수납가방 65x22x65cm
업소용 반찬통 Full 스텐밧드 세트 4형 뚜껑포함
이케아 IKEA 365+ 강화유리 머그컵
이지오프 뱅 청크린 변기세정제 병형 2개입
손가락골무 작물 농사 수확 마늘 생강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