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관세청]상반기 해외직구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

btn_textview.gif

<상반기 해외직구 수입동향>
1. 개 요
?
2019년도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2,123만건158천만불로 2018년도 상반기 1,494만건132천만불 대비 건수기준 42%, 금액기준 20% 증가하였다.
2019년도 상반기 우리나라 전체 수입액2,523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것과 비교해 볼 때, 해외직구 성장세는 가히 폭발적이다.
?
*전체 수입액 : (’18.) 2,650억불 (’19.) 2,523억불
?
또한, 중국 광군제·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의 영향으로 보통 하반기에 해외직구 수요가 증가하는 그간 추이에 비추어보면
올해 해외직구 규모2017 20억불을 달성한지 2년만에 30억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와 같은 해외직구 증가세를 이끈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중국·전자제품, 그리고 미국·건강기능식품을 들 수 있다.
(중국 전자제품) 가장 큰 요인은 중국 직구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중국전자제품 직구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급증*하였다.
?
* 중국 전자제품 직구건(만건) : (’18.) 343 (’19.) 700 (104%)
?
- 작년에는 중국에서 직구로 반입되는 전자제품 중 공기청정기무선청소기가 가장 많았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무선이어폰(546천건, 25%)공기청정기(182천건, 9%)순으로 많이 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제품으로는 무선이어폰12(43,419546,317)이상 급증하였으며, 전동스쿠터의 경우에도 전년 동기대비 3(1,3174,295)이상 증가하였다.
(미국 건강기능식품) 또한, 해외직구 1위 수입품목인 미국 건강기능식품이 직구족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미국에서 직구로 반입되는 건강기능식품은 ‘19년 상반기373만건으로, 전년 동기(260만건)대비 43%나 증가했으며,
- 단일 국가·단일 품목군에서 우리나라 직구족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품목*으로 분석되었다.
?
* 미국 건강기능식품 직구건(만건) : (’16)305 (’17)423 (’18)557 (’19.)373
?
2. 국가별 해외직구 수입실적
(국가별 점유율) 미국 > 중국 > 유럽 > 일본 순
?
?
< 국가별 해외직구 반입건수(만건) >
?
?
?
?
< 국가별 해외직구 반입건수 기준 점유율(%) >
?
?
우리나라 해외직구의 국가별 점유율(건수기준)미국이 46%여전히 1를 기록하였으나 ’1665%에서 ’19년에는 46%3 사이 점유율이 19%p 감소하였으며,
- 점유율 3위인 유럽4위인 일본 역시 비중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
*유럽 점유율 : (’18) 13% (’19.) 12% // 일본 점유율: (’18) 8% (’19.) 7%
?
이는 해외직구 국내 점유율 2중국의 가파른 성장세에 기인 것으로 풀이된다.
- 중국의 해외직구 국내 점유율*’17년 유럽을 제치고 2오른 이후에도 꾸준히 성장하여 ’19년 상반기 33%를 기록하였다.
?
* 중국 점유율 : (’16) 11% (’17) 17% (’18) 26% (’19.) 33%
?
< 2019년 상반기 국가별 해외직구 반입건수·점유율 >
(단위 : 천건, 천불) // (증가율 : 전년동기대비)
?
미 국
중 국
유 럽
일 본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9년 상반기
9,378
768,598
7,008
303,019
2,565
351,323
1,585
102,398
비중
44%
48%
33%
19%
12%
22%
8%
6%
(증가율)
(18%)
(5%)
(106%)
(49%)
(31%)
(33%)
(26%)
(20%)
?
(국가별 증가율) 중국 > 유럽 > 일본 > 미국 순
중국직구는 ’18년 상반기 343만건2억불에서 ’19년 상반기 701만건3억불로 건수는 106%, 금액은 49% 증가하였으며,
- 직구물품 반입 증가율*증가량** 모두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106 > EU 31 > 26 > 18
** 전년동기대비 증가량(만건) : 358 > 145 > EU 67 > 33
미국의 경우 ’18년 상반기 793만건73천만불에서 ’19년 상반기 938만건77천만불로 건수는 18%, 금액은 5% 증가하였다.
유럽’18년 상반기 189만건25천만불에서 ’19년 상반기 257만건35천만불로 건수 36%, 금액은 39% 증가하였고
일본’18년 상반기 126만건9천만불에서 ’19년 상반기 159만건1불로 건수 26%, 금액은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3. 품목별 해외직구 수입실적
?
건강기능식품 여전한 강세, 의류·전자제품 70%이상 크게 증가
?
전통적인 해외직구 인기 품목인 건강기능식품이 45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하며 직구 반입량 1 자리를 유지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이 큰 품목으로는 의류329만건으로 72% 증가율을 기록하며 해외직구 반입량 2를 차지했으며 전자제품300만건으로 78% 증가 하며 그 뒤를 이었다.
?
특히 전자제품올해 상반기 가장 높은 상승세(78%)를 보였는데 국내 직구족이 가장 많이 구입한 제품무선이어폰(609천건, 20%)공기청정기(190천건, 6%)순이며
- 전년대비 증가율이 높은 제품으로는, 무선이어폰(652%), 전동스쿠터(239%)이외에도 커피머신(75%), 태블릿 PC 등 노트북(52%) 순으로 나타났다.
< 2019년 상반기 해외직구 상위 10대 품목군 >
(단위 : 천건)
건강기능식품
의류
전자제품
기타식품
화장품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4,556
21%
3,297
72%
3,001
78%
2,025
10%
1,938
9%
?
?
신발
완구·인형
핸드백·가방
서적류
시계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1,350
6%
895
39%
738
41%
141
13%
111
28%
?
?
4. 연령별·성별 해외직구 유형 분석 (일반 수입신고건 기준)
‘2030’·‘여성이 해외직구 주도
연령별로는 30> 20> 40 순으로 해외직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년 상반기에는 30대와 20대가 전체 해외직구의 69%*를 차지하여 해외직구 증가를 주도하였다.
?
* 연령별 비중 : (30) 46.3% > (20) 22.3% > (40) 22.0%
< 연령별·성별 해외직구 점유율 >
품 목
20
30
40






건강기능식품
11%
13%
15%
28%
8%
13%
완구류
8%
9%
22%
37%
11%
7%
의 류
9%
12%
17%
32%
8%
15%
핸드백·가방
7%
21%
12%
35%
6%
14%
화장품
3%
15%
8%
45%
4%
18%
전자제품
10%
8%
28%
19%
17%
7%
(‘19실적 기준)
?
?
이를 더 세분화 해보면 성별로는 여성, 연령별로는 ‘30가 해외직구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 상반기 우리나라 해외직구 소비자중 30대 비중이 46%로 전체 직구족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으며
- 작년*과 달리 ’19년 상반기에는 2022.3% 점유율을 차지하며 40대 보다 해외직구를 더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8.연령별 비중 : (30) 47.7% > (40) 23.7% > (20) 20.1%
- 또한 성별로는 여성이 64% 남성이 36%, 여성이 남성보다 해외직구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작년(여성 70% 남성 30%) 보다 남녀간 해외직구 이용 비율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남성의 해외직구 이용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상세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