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모태기금(펀드) 9천억원 출자, 벤처기금(펀드) 1.6조원 이상 조성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교육부(부총리겸 장관 유은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 환경부(장관 한정애),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이하 국토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이하 해수부), 특허청(청장 김용래), 한국벤처투자(대표 이영민)와 함께 2월 22일(화) ?모태기금(펀드) 2022년 2차 정시 출자공고?를 통해 약 9천억원 이상을 출자해 1.6조원 이상의 벤처기금(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는 ’17년 8천억원 규모의 모태기금(펀드) 추경 예산을 편성하면서 제2벤처열기(붐)의 초석을 다졌고, 이후 ’20년, ’21년 두 해 연속 1조원 규모의 대규모 마중물 예산을 투입했다.
 
이처럼 ’05년 모태기금(펀드) 출범 이후 총 예산 7.3조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4.7조원이 문재인 정부 기간동안 집중 투입됐다.
 
또한, 초기투자와 후속투자 확대를 위해 벤처기금(펀드)의 자율성을 높인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20.8월 시행)도 함께 추진되면서 제2벤처열기(붐) 실현과 성과는 가시적으로 나타났다.
 
실제 ’17년부터 ’21년까지 벤처투자는 매년 증가하면서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7.7조원을 달성하였고, 벤처기금(펀드)는 작년에 9.2조원을 기록 하면서 제2벤처열기(붐)의 성과를 더욱 확실히 보여줬다.
 
 
〈‘11년~’21년 모태기금(펀드) 신규예산 현황〉 〈‘11년~‘21년 벤처투자/벤처기금(펀드) 현황〉
 
1. ’22년도 모태기금(펀드) 2차 정시 출자 계획
 
중기부는 이러한 제2벤처열기(붐)을 더욱 견고히 하고, 신속한 벤처기금(펀드) 결성을 통한 벤처투자의 성장세를 이어가고자 스마트대한민국기금(펀드), 청년창업기금(펀드), 스케일업기금(펀드) 등에 4,300억원 규모의 ’22년 모태기금(펀드) ?1차 정시 출자*?를 작년 12월에 신속하게 공고했다.
 
* 출자공고 후, 현재 선정평가 진행 중→3월 중 최종 선정 예정
하반기에도 신속한 벤처기금(펀드) 결성이 연속성 있게 이뤄지도록 「2차 정시 출자 공고」를 1차 정시 출자 공고 이후 2개월만에 진행하며,
 
1.6조원 이상 벤처기금(펀드) 조성을 목표로 중기부 포함 8개 부처가 함께 총 9,297억원을 출자한다.
 
2차 출자사업의 주요 특징과 각 소관 부처별 출자규모는 다음과 같다.
 
? 초기 창업기업 성장 발판이 되어줄 「창업초기기금(펀드)」와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엘피(LP)지분유동화기금(펀드)」, 「벤처재도약세컨더리기금(펀드)」 조성
 
? 초광역권 벤처투자와 비수도권 초기 창업기업의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한 「지역뉴딜 벤처기금(펀드)」, 「지역 엔젤징검다리기금(펀드)」 조성
 
? 재창업/여성/소셜벤처, 이에스지(ESG) 등 사회적 분야와 자율주행차/메타버스/녹색산업 등 신산업 분야별 기금(펀드) 조성
 
< ’22년 모태기금(펀드) 소관부처별 2차 정시 출자규모(단위 : 억원) >
구 분 출자예산 결성목표 주요 출자 분야
중소벤처기업부 6,528 10,564 창업초기, LP지분유동화, 지역뉴딜 등
문화체육관광부 986 1,562 관광기업, 중저예산영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00 1,400 메타버스, 공공기술사업화
특허청 215 1,400 특허기술사업화, IP기반창업기업
환경부 268.4 384 미래환경산업, 녹색산업
국토교통부 200 340 국토교통산업, 특화산업(자율주행차·드론) 등
해양수산부 200 286 해양 신산업
교육부 100 133 대학·학생창업기업
합 계 9,297.4 16,069 -
 
2. ’22년 2차 정시 중기부 주요 출자 분야
 
중기부는 창업초기(엔젤징검다리 포함), 지역뉴딜, 엘피(LP)지분유동화, 벤처 재도약세컨더리, 버팀목 등 총 14개 분야에 6,528억원을 출자해 총 1조원 이상 밴처기금(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주요 출자 분야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올해 2차 정시 출자사업에서는 3,735억원 규모의 ?창업초기기금(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창업초기기금(펀드)? 분야 중 비수도권 초기 창업기업을 투자하는 ?지역 엔젤징검다리기금(펀드)?도 40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할 예정이다.
 
중간회수시장 활성화 차원에서는 일정 기한의 결성일이 지난 기존 벤처기금(펀드)의 출자자 지분을 인수하는 ?엘피(LP)지분유동화기금(펀드)? 1,250억원, 기존 벤처기금(펀드)가 보유한 지분 중 회수가 어려운 비우량지분을 인수하는 ?벤처재도약세컨더리기금(펀드)?를 428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비수도권 지역의 초광역권 벤처투자를 실현하기 위해 ’22년 1차 출자 400억원에 이어 ?지역뉴딜 벤처기금(펀드)?에 200억원을 추가로 출자한다.
 
?전세계(글로벌)기금(펀드)? 역시 ’22년 1차 출자 200억원에 이어 800억원을 추가 출자하여 국내 혁신 중소·벤처기업들의 전세계(글로벌) 진출과 전세계(글로벌) 유니콘기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사회적 투자 취약부문과 관련된 벤처기금(펀드) 조성에도 힘쓸 예정이다. 코로나 피해기업 또는 재창업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버팀목기금(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며, 장애인 또는 사회취약계층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소셜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소셜임팩트기금(펀드)?는 167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올해 처음으로 조성되는 기금(펀드)들인 ?이에스지(ESG)기금(펀드)?와 ?광고·마케팅기금(펀드)?는 각각 167억원, 25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 참고 : 환경, 사회, 지배구조(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약자인 이에스지(ESG)는 환경, 사회, 경영지배구조 등 기업 경영과 관련된 비재무적 요인을 의미
 
3. ’22년 2차 정시 타부처 출자 분야
 
이번 모태기금(펀드) 2차 정시출자에는 문체부, 과기정통부, 특허청 등 7개 부처가 함께 각 분야별로 출자한다.
 
문체부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위해 관련 문화산업 및 투자진흥지구 개발 사업 등에 투자하는 기금(펀드), 한국영화에 투자하는 기금(펀드)(영화진흥위원회 영화발전기금 출자), 관광기업 육성을 지원하는 기금(펀드)에 출자하는 등 문화 콘텐츠·관광 관련 기금(펀드)를 1,562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메타버스 기술기반 기업 인수합병(M&A)에 투자하는 「메타버스엠엔에이(M&A)기금(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하고, 국가 연구개발(R&D) 성과 사업화에 투자하는 「공공기술사업화기금(펀드)」를 400억원 조성하는 등 신기술 관련 분야 기금(펀드)를 1,4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특허청은 특허기술 사업화 및 지식재산(IP)출원 프로젝트 등에 중점 투자하는 특허, 지식재산 관련 분야 기금(펀드)를 1,4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그 밖에도 환경부는 미래환경(녹색)산업 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전용기금(펀드) 384억원, 국토부는 자율주행차, 드론 등 기업에 투자하는 전용기금(펀드)를 340억원, 해수부는 해양 바이오·해양 관광 등 해양산업 전용기금(펀드)를 286억원, 교육부는 학생과 교원 창업기업에 중점 투자해 대학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대학창업 전용기금(펀드)를 133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번 공고에 대한 제안서는 3월 10일(목) 10:00부터 3월 17일(목) 14:00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1차 심의(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와 2차 심의(운용사 제안서 PT)를 거쳐 5월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투자과 신규호 사무관(☎ 044-204-7712), 김정훈 주무관(771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 고   모태기금(펀드) 소관 부처별 2차 출자 계획
 
□ 중기부, 문체부 등 8개 부처 9,297.4억원 출자 → 1조 6,069억원 조성
 
< ‘22년 부처별 소관 모태기금(펀드) 2차 출자계획(단위 : 억원) >
소관부처 구 분 출자예산 조성목표 주목적 투자 대상
중기부 창업초기 벤투조합 1,600 2,668 창업 3년 이내 초기창업기업
개투조합 400 667
지역엔젤
징검다리
308 400 비수도권 초기창업기업
M&A 600 1,500 중소·벤처기업의 M&A
LP지분유동화 500 1,250 조합의 LP 지분 인수
벤처재도약세컨더리 300 428 조합이 보유한 비우량 지분 인수
지역뉴딜(모기금(펀드)) 200 200 지역 혁신기업 등
전세계(글로벌)(모기금(펀드)) 800 800 해외투자 유치/해외진출 희망 기업
버팀목 600 1,000 코로나19 피해기업, 재창업기업 등
여성 120 200 여성기업
소셜임팩트 100 167 소셜임팩트 기업
ESG 100 167 ESG 기준 충족기업
기술지주 100 167 창업 3년 이내 초기창업기업
광고마케팅 100 250 중소 벤처기업의 광고·마케팅
R&D매칭
(KVIC 직접 운용)
500 500 유망 기술 R&D 추진 기업에
매칭하여 투자
일자리창출
(KVIC 직접 운용)
200 200 일자리 창출 효과 우수 기업에 매칭하여 투자
문체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100 200 광주광역시 소재 문화콘텐츠 기업 등
한국영화메인투자 240 370 한국영화 프로젝트(메인투자)
중저예산한국영화 196 350 순제작비 74억원 이하 중저예산 한국영화
관광 450 642 관광 관련 기업 및 프로젝트 등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600 1,000 메타버스 관련 기업 M&A 등
공공기술사업화 200 400 공공기술 사업화 중소기업 등
특허청 특허기술사업화 125 1,250 특허기술 사업화 기업 등
IP기반창업기업 90 150 IP 기반 초기 창업기업
국토부 국토교통혁신(일반) 100 170 국토교통 산업 및 연관 산업
국토교통혁신(특화) 100 170 자율주행차, 드론 등 6개 분야
환경부 미래환경산업 268.4 384 미래환경(녹색)산업 영위 우수 중소·벤처기업
해수부 해양 신산업 200 286 해양산업 관련 중소·벤처기업
교육부 대학창업 100 133 대학창업기업 및 학생창업기업
합 계 9,297.4 16,069 -
※ 중기부 소관 분야인 지역뉴딜, 전세계(글로벌), 지역엔젤징검다리, ESG, 일자리창출, R&D매칭 분야는 2차 출자 공고에 포함하되, 세부 출자공고는 추후 별도 공고 예정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