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해양수산부]신뢰할 수 있는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 제공 위한 민·관 협력 강화

btn_textview.gif

신뢰할 수 있는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 제공 위한 민·관 협력 강화

- 1. 24.(수)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민·관 협의회 출범식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1월 24일(수) 서울 해운빌딩에서 산·학·연 전문가와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민·관 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한다.

 

PNT는 Positioning(위치), Navigation(항법), Timing(시각)의 약자로, 이동체 등의 위치 및 속도를 정밀 계산하여 제공하는 정보이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대중교통 애플리케이션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측량 등 다양한 곳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선박 자율화?무인화 등 기술이 융·복합된 첨단 해양모빌리티*의 안정적인 운항을 지원하고자 지난 2020년부터 GPS 위치오차를 대폭 줄인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관련 기술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올해 6월 실해역에서 성능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개념) 탈탄소·디지털 등 첨단 융·복합 기술이 적용되어 해상에서 사람·재화를 이동(수송)시키는 수단(선박 등), 해상교통환경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 / 조선·해사 분야 포함

 

이번 민·관 협의회 출범식에서는 실해역 성능시험을 앞두고 해양수산, 통신, 모빌리티 분야의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 등 25개 기관을 대상으로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기술개발 현황 및 활용방안 등을 설명하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제도개선 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앞으로 해양수산부는 민·관 협의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기술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기술개발 및 활용 확대를 위한 참여 기관 간 상호 협력방안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기술은 공공안전은 물론, 더 나아가 첨단 해양모빌리티 산업 육성과 해양신산업 창출 등 해양산업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이번에 출범하는 민·관 협의회를 통해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고정밀 해양 위치정보(PNT) 기술 개발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