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쌀가공산업의 혁신적 성장을 이끈다!

btn_textview.gif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국내외 시장 규모가 꾸준히 커지고 있는 쌀가공산업의 성장세를 든든히 뒷받침하기 위해 3(2024~2028)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8년까지 시장 규모를 17조 원, 수출을 4억 불로 2배 이상 확대한다는 목표하에 미래 유망품목 집중 육성, 국내외 수요기반 확대, 산업 성장기반 고도화라는 3대 주요과제와 가루쌀 산업생태계 조성, 수출 확대 등 9개 세부 과제로 구성된다.

 

   * 시장규모(조원) : (’18) 6.3 (’19) 7.2 (‘20) 7.3 (’21) 7.5 (`22) 8.4 (`28p) 17 (`22 대비 102%)  

   * 수출(백만$) : (’18) 89 (’19) 108 (‘20) 138 (’21) 164 (`22) 182 (`28p) 400 (`22 대비 120%)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식품 소비 유행을 고려한 4시장전략(간편, 건강, 케이-푸드(K-food), 뉴트로)을 토대로 10대 유망품목* 육성하여 쌀가공산업의 역동적 성장세를 견인한다. 특히, 새로운 국산 식품 원료로 ’23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간 가루쌀의 생산·유통 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식품·외식업계와 협력하여 제품개발·판로확충을 다각적으로 지원함으로써 ’27년까지 수입 밀가루 수요의 10%(20만톤)를 가루쌀로 전환할 계획이다.

 

  * 간편 가공밥·도시락·김밥 떡볶이 냉동떡 쌀 증류주 쌀 음료 쌀국수 혼합면 쌀빵 쌀과자

 

  둘째, 국내외 쌀가공식품 시장 확장을 통한 가공용 쌀 소비량 확대(`22 57만톤`2872만톤)로 쌀 수급 안정 기능을 강화한다. ’28년까지 한국글루텐프리인증(KGFC)을 받은 기업 100개를 육성하고, 해외 주요 글루텐프리 인증을 받은 쌀가공업체 수도 10배 늘려(’23, 3개소 ’28, 30) 국내외 글루텐프리 시장을 선도한다. 또한 수출액 4억불 달성을 위해 주요 수출국·품목별 특화전략 수립,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여 쌀가공식품 수출 대표업체를 200개 육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을 비롯해 쌀 소비 미래세대인 어린이·청년층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하는 등 쌀 소비 기반을 적극 확충한다.

 

  셋째, 원료공급, 시설·경영, 연구개발(R&D), 산업 정보·통계 등 산업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여 대내외 경쟁력을 높인다. 가루쌀을 중심으로 가공용 쌀 전용 재배단지 조성, 계약재배 지원으로 원료의 민간조달을 활성화한다. 또한, 장립종 쌀 소비 증가, 국내 체류 외국인 증가를 고려하여 한국형 인디카 쌀 재배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원료구매, 시설 개보수를 위한 자금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가루쌀 등 가공전용 품종 개발, 글루텐 대체 기술 개발 등 쌀가공식품 10대 핵심기술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등 쌀가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겠습니다.

 

  전한영 식량정책관은 쌀가공산업 육성으로 우리 쌀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쌀 소비 확대로 안정적인 수급 유지 기반을 강화하겠다.”라며, “최근 냉동김밥·떡볶이 등 해외 시장에서도 활약하고 있는 다양한 쌀가공식품의 국내·외 판촉을 적극 지원하여, 현재의 시장 성장세를 강력히 견인하겠다 덧붙였다.

 

붙임 1. 3차 쌀가공산업 육성 5개년 기본계획 인포그래픽
2. 3차 쌀가공산업 육성 5개년 기본계획 주요 내용
3. 주요 쌀가공식품 품목(가공밥, 떡류) 시장 동향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