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방부]서욱 국방부장관, 백마고지 유해발굴 현장방문

btn_textview.gif

□ 서욱 국방부장관은 올해 비무장지대 백마고지 유해발굴이 마무리됨에 따라, 11월 24일(수) 강원도 철원 인근 백마고지 유해발굴 현장을 방문하였습니다.

□ 서욱 국방부장관은 6·25전쟁 이후 70여년이 지난 올해 처음으로 비무장지대 백마고지에서 유해발굴을 시작하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유해발굴 임무를 수행한 지휘관과 관계자들을 격려하였습니다.

ㅇ서 장관은 “여러분들이 백마고지에서 흘린 땀방울이 지금의 전환기를 평화의 시간으로 만들어가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ㅇ“6·25전쟁중 최대 격전지 중 한 곳인 백마고지에서 지난 3년간의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성과를 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ㅇ또한 비무장지대 유해발굴을 비롯한 ‘9·19 군사합의’의 이행을 위해서는 완벽한 군사대비태세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ㅇ“하루빨리 남과 북이 비무장지대 내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을 이행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라는 기대도 밝혔습니다.

□ 우리 군은 지난 9월부터 약 110일 동안 비무장지대 백마고지 에서 유해발굴을 진행하여 왔으며, 총 37점(잠정22구)의 유해와 총 8,262점의 전사자 유품을 발굴하였습니다.

ㅇ특히 지난 10월 28일(목) 백마고지 395고지 정상에서 계급장, 군번줄(인식표는 未발견), 방탄모, 탄약류 등이 함께 발견된 국군전사자 추정 유해는 개인호에서 적 포탄을 피해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던 모습으로 발견되었습니다.

ㅇ개인호에서 발굴된 유해 대부분은 완전유해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이번에 발굴된 유해에서는 구멍이 뚫린 방탄모와 함께 두개골, 갈비뼈 등 상반신의 부분유해들만이 고스란히 발견되어 당시의 치열했던 전투상황을 추측할 수 있었습니다.

ㅇ또한 유해의 가슴(전투복 상의 추정)에서 발견된 국군 일등병(현재의 이등병) 계급장은 전투에 투입된지 얼마되지 않았던 국군 참전용사의 당시 상황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 한편 이상순(92세)옹 등 아홉 분의 백마고지 전투 참전용사들은 지난 11월 10일(수) 백마고지 유해발굴 현장을 방문하였습니다.

ㅇ아홉 분의 참전용사들은 1952년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열흘간의 치열했던 전투를 상기하면서, “70년 만에 이곳 백마고지를 다시 밟아볼 줄은 생각도 못했는데... 이제 죽어도 더 이상 여한이 없다.”라고 언급하기도 하였습니다.

ㅇ또한 귀환하지 못한 전우들에게 “우리 훗날 무릉도원에서 아니 백마도원에서 만나자. 승리의 축배”라고 직접 작성해온 편지를 낭독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였습니다.

ㅇ우리 군은 11월26일(금) ‘유해발굴 완전작전 기념식'을 통해 올해 비무장지대 유해발굴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 앞으로도 우리 군은 지난 3년간의 비무장지대내 유해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6·25전쟁 전사자에 대한 유해발굴을 지속하여 마지막 한 분까지 사랑하는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모셔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ㅇ또한, ‘9·19 군사합의’에 명시된 남북공동유해발굴에 북측이 호응하도록 노력하는 가운데, 언제라도 공동유해 발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관련 준비를 철저히 해나갈 것입니다.

□ 아울러,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해서는 유해소재 제보, 유가족 시료채취 등 국민적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국방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적 공감대 확산과 참여를 유도해 나갈 예정입니다.

ㅇ유해소재 제보나 유가족 시료채취 참여 문의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대표전화인 1577-5625로 문의 바랍니다.

ㅇ특히, 유전자 시료 제공으로 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심사를 통해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