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 이사국으로 선임

btn_textview.gif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 이사국으로 선임

?


- 93년 이사국 첫 진출 이후 7번째 선출,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높아진 위상 확인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지난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제42차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이사국으로 선임됐다고 밝혔다.


국제표준화기구(ISO) 이사회는 ISO의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최고 의결기구로, 6개 상임 이사국*과 14개 비상임 이사국**을 합친 20개 이사국으로 구성된다.

?


* 상임 이사국(6개국) :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등 6개국

** 비상임 이사국(14개국) : 총회에서 선거를 통해 선출, 임기 3년(연임 불가)


ㅇ 이번 총회에서 이사국으로 선출됨에 따라, 2020~22년까지 ISO 이사국으로 ISO의 정책결정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


?



?


< 2019 ISO 총회 개요 >

?


?


?


(기간/장소) ’2019.9.16.(월)~20.(금) /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국제컨벤션센터(CTICC)

?


(참 가 국) 한국·미국·중국·일본·프랑스·영국·싱가포르 등 160여개 회원국 700여명

?


□ 회원국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선거를 통해 이사국을 선출하는 ISO의 방침에 따라, 우리나라가 속한 그룹2*에서는 ‘19년 임기가 만료되는 2개 이사국 자리를 놓고 9개 국가가 경쟁하였다.

?


* 그룹(Group) 2 : 회원국 순위 7~21위의 15개국으로 구성, 이 중 5개국이 이사국으로 선출 가능

ㅇ 정회원국의 추천과 ISO 공천심사위원회를 통과한 한국, 벨기에, 캐나다, 호주 4개국이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막판까지 치열한 득표 활동을 벌였다.


ㅇ 유럽과 북미대륙의 연합, 남미 국가들의 결집 속에서 한국은 아세안, 중동, 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캐나다와 함께 극적으로 이사국 진출에 성공했다.


ㅇ 특히 이번 선거전에서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해 그 동안 강력한 신남방 정책 추진에 따른 아세안 국가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큰 힘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


????????????????????????????????????????????????????????????????????????????????????????????????????????????????????????????????????????????

?


?


ISO 이사국 진출은 우리나라가 그 동안 매년 70여건의 국제표준 제안, 200여명의 의장·간사·컨비너 수임 및 개도국표준체계보급지원사업(ISCP)을 통한 개도국의 표준화 활동 지원 등 꾸준히 국제표준화 활동을 해 온 결과이며,

?


* ISCP: International Standards Infrastructure Cooperation Program (개도국표준체계보급지원사업)

** 최근 5년간(‘14∼’18), 22개국 대상 ISCP 사업 및 초청 표준화교육 실시(33개국 114명)

?


국가 간 양자회의, 아프리카지역표준화기구(ARSO)―국가기술표준원(KATS) 표준포럼 개최 등 지역표준화기구를 활용한 다자협력, 외교부를 통한 세계 각국의 지지 요청 등 활발한 선거 운동의 결실이기도 하다.

?


또한, ISO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가기술표준원이 제품안전, 적합성평가, 무역기술장벽(TBT) 등 표준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이 다른 후보국과의 차별화 요소로 작용했다.

?


?


특히 한국의 경이적인 경제성장의 경험을 활용해 개도국과 선진국의 이해를 조정하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국가라는 점을 선거전략에 활용한 것도 회원국들을 움직이는 동력이 되었다.

?


이사직을 맡는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12년부터 ’15년까지 주(駐) 제네바 대표부 공사참사관으로 재직하며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기술장벽(TBT) 위원회에서 한국 수석대표로 활동하는 등 TBT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췄다는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ISO 이사국 재진출을 통해 우리나라는 국제표준화 무대에서의 높은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했으며, 국제표준화 활동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


□ 한편, 우리나라는 총회 기간에 미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양자회의를 개최해, 표준·인증 분야에서 상호협력을 강화했다.


인공지능 분야 선도 국가인 미국과는 국제표준화기구 인공지능(AI) 기술위원회(ISO/IEC JTC1/SC42) 내에 우리나라가 제안한 스터디그룹을 신설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으며,


4차 산업혁명 주도국인 독일과는 표준화 협력채널인 ‘한-독 표준협력대화(S-Dialogue)’를 출범하기로 최종 결정하고, 11월에 첫 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우선 협력과제로는 미래차(Future Mobility)와 스마트제조(Smart Manufacturing) 분야로 정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 측과는 향후 기술규제로 인한 우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용 연료 효율 시험소 구축사업과 승강기 등 시험인증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또한, 정부의 신남방 정책 기조에 맞춰 국제표준화기구 내에서 아세안 국가와의 표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6개국 표준화기구 대표와 협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한-아세안 간 표준 협력을 확대하여 4차 산업혁명 및 시험인프라 역량을 강화하는 등 협력 사업 추진에 대해 논의했다.

?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제표준화기구 이사국 선임을 통해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위상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향후 상임이사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면서,

?


“ISO 이사국으로서 모든 회원국이 국제표준의 이익을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는 한편, 전략 국가와의 표준 협력을 확대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를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