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문화재청]문화재청, 국민 모두가 즐기고 누리는 보편적 국가유산 교육 확대

btn_textview.gif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민 모두가 즐기고 누리는 보편적 국가유산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래세대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국가유산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정부부처 협업을 통해 개발한 국가유산 관련 첫 인정교과서인 「문화유산과 미래」가 부여고등학교 수업에서 활용되는 등 학교 국가유산 교육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 인정교과서: 국정교과서나 검정교과서가 없는 경우 또는 이를 사용하기 곤란하거나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교육부 장관의 인정을 받은 교과서

교육현장 맞춤형 교과서인 「문화유산과 미래」는 국가유산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본 지식과 함께 국가유산 활용 사례와 관련 직업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3월 부여고등학교에서 전국 최초로 채택하여, 집필 시 참여한 교사의 지도 아래 관련 수업에 활용하였다.
또한,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 청소년 대상 국가유산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유산 진로체험 과정’을 개편하여 방과 후 아카데미, 지역아동센터, 초등 돌봄기관 등 58개 기관에서 운영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소외 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가유산 특성화 교육’을 확대(수혜대상 10,642명, 전년 대비 2배 가량 증가) 추진하고, 취약지역(농어촌 교육현장 및 복지시설) 대상의 ‘디지털문화유산 교육상자’ 보급을 확산(수혜인원 10,114명, 전년 대비 1.5배 가량 증가)하였다.
* 국가유산 특성화 교육: 문화유산 놀이터(무형유산을 활용한 체험교육), 문화유산 꿈쟁이(국가유산 진로 관련 이론 및 체험 교육), 문화유산 체험 꾸러미(활동지와 체험 꾸러미 배포)
*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상자: 디지털 기기(테블릿 PC, 증강현실(AR) 콘텐츠 등)를 활용한 국가유산 교육용 꾸러미 / (‘23년) 25개 기관(농어촌 학교 15개, 복지기관 9개 등), 10,114명 참여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국가유산 교육 정책 추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지원을 확대해 다양한 국가유산 교육을 모두가 쉽게 접하고,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문화유산과 미래´ 교과서 활용한 부여고의 수업 모습

< ´문화유산과 미래´ 교과서 활용한 부여고의 수업 모습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