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21년 8월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btn_textview.gif

20218월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8월 자동차 내수판매·수출의 4대 중 1대는 친환경차 -
친환경차 내수판매비중 (24.7%), 수출비중 (23.3%), 역대 최고 -
국산 전기차 월간 역대 최다 내수판매 (8,396) 달성 -
 

자동차
 

(총괄) ‘218월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생산 0.7%, 수출 4.1%, 수출금액 16.9% 증가하였으나, 내수 3.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수출금액 30.3억불로 역대 8월 중 13.8(35.7억불)에 이후 최고 수출 기록하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시현
 

최근 말레이 등 동남아 지역 코로나19 확산으로 차량용반도체 수급난이 심화되면서 생산차질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 국내 완성차업계 해외대비 부품 공급망 관리 강화를 통해 생산차질을 최소화하며 경쟁사 대비 선방
 

* 21.1-7월 주요 OEM 업체 생산증감률(‘19.1-7, Marklines):
VW(24.4%), GM(24.6%), 르노닛산(30.0%), 포드(34.9%), 도요타(3.0%), 현대·기아(10.9%)
 

< ‘218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 억불, %) >
구 분
’21.8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8
전년동기비(%)
생 산()
234,893
21.1
0.7
2,347,003
6.4
내 수()
130,397
11.7
3.3
1,188,998
3.2
 

국산차()
105,605
14.0
5.0
978,426
6.6
수입차()
24,792
0.3
4.6
210,572
16.4
수 출()
135,871
25.2
4.1
1,375,787
20.9
 

수출금액(억불)
30.3
26.1
16.9
307.4
39.7
부품수출(억불)
15.8
20.6
22.4
151.8
39.9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생산) 차량용반도체 수급난, 전기차 라인공사 등에 따른 주요공장 휴업*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 등에 따라 0.7% 증가 234,893
 

* (현대) 전기차 라인공사(아산공장) 7.13~8.11, 협력업체 코로나19 확진에 따른 휴업 (울산1~3공장) 8.25 / (기아) 임단협 합의() 타결(8.19)에 따른 투표(공장) 8.27 휴업 / (GM) 차반도체 부족 (부평2공장) 8.9~13, 8.23~27 50% 감산, 8.16~20, 30~31 휴업 등
 

체별로는 현대, 기아, 르노삼성수출호조생산 증가로 이어졌으나, 한국지엠쌍용부품수급(차량용 반도체 등) 영향으로 생산 감소
 

* 업체별 생산증감률(%): 현대 +7.0, 기아 +9.6, 한국지엠 48.5, 쌍용 21.5, 르노삼성 +101
 

‘21.1-7월 주요 글로벌 OEM 업체별 생산은 ’20년 대비 증가세이나 코로나 19이전인 ’19.1-7월 수준에는 못 미치는 상황
 

* ‘211-7월 글로벌 OEM의 자동차 생산규모는 약 45백만대로 전년(38백만대) 대비 18.4% 증가하였으나, 19(53백만대) 비교시 14.9% 감소한 것으로 추산
 

- VW(24.4%), GM(24.6%), 르노닛산(30.0%), 포드(34.9%)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도요타(3.0%), 현대·기아(10.9%)는 경쟁사 대비 선방
 

* ‘21.8자동차시장 국가별 판매증감률 : 미국계 30.4%, 일본계 8.8, 유럽계 4.1% 한국계 1.3%
 

(내수)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출고지연 영향 등으로 3.3% 감소(130,397)하였으나, 친환경차는 2배 이상 증가(101.8%, 3.2만대)하며 대폭 상승
 

* 하이브리드 19,307(78.4%), PHEV 1,076(83.9%), 전기차 11,205(191.1%), 수소차 556(17.6%)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이번 달은 신형 스포티지가 8월 베스트 셀링카 1위를 기록
 

‘21.8월 베스트 셀링카 TOP5 ()
 

‘21.1~8월 베스트 셀링카 TOP5 ()
 

- (국산차) 출고지연 영향 등으로 5.0% 감소(105,605) 하였으나, 하계휴가철 프로모션 운영, 신차효과(신형 스포티지 등)로 최근 3개월 대비 감소폭 완화
 

* 내수판매 증감률 추이(%) : (5) 14.5 (6) 23.2 (7) 14.1 (8) 5.0
- (수입차) 독일계 등은 판매 감소를 보였으나 일본계(렉서스, 도요타, 혼다), 미국계(포드, 링컨)의 판매 호조4.6% 증가 24,792
 

* 독일계 : 벤츠(+11.7%), BMW(28.1%), Audi(33.7%) 8.9% 감소
* 일본계 : 렉서스(+32.7%), 도요타(+7.9%), 혼다(+114.9%) +35.7% 증가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이탈리아 8.4%, 미국 34.8%, 영국 9.3%, 프랑스 7.2%
 

(수출) 동남아 지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량용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 국내 브랜드의 글로벌 점유율 확대 으로 수출대수 4.1% 증가(135,871), 수출금액 16.9% 증가(30.3억불)
 

* ‘21.8자동차시장에서 국내 브랜드 점유율은 8.9% 10.6% 1.7%p상승
 

* 업체별 수출대수 증감률(%): 현대 +6.0, 기아 +13.3, 한국지엠 43.2, 쌍용 +127.9, 르노삼성 +189.4
 

수출대수 친환경차가 크게 증가(+92.2%) 하며 수출 증가 견인
 

* 친환경차 수출 현황 : ‘20.81.6만대 ’21.83.0만대(+92.2%) / 하이브리드 13,063(65.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4,746(248.5%), 전기차 12,433(91.1%), 수소차 54(237.5%)
 

- 특히 전기차 수출 호조세로 친환경차 비중자동차 수출에서 역대 월간 최고 비중(23.3%)을 기록
 

* 친환경차 수출대수비중: (‘19.8) 12.7% (‘20.8) 12.5% (’21.8) 23.3%(10.8%p)
 

- 모델별로는 코나가 견조한 호조세를 시현하며 최고 수출 기록
 

‘21.8월 수출 모델 TOP5()
 

‘21.1~8월 수출 모델 TOP5()
 

수출금액은 고부가차종인 친환경차 판매 확대로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며 역대 8월중 ‘13.8(35.7억불) 이후 최고 수출 기록
 

’21.8월 지역별 잠정 수출실적(백만달러, 전년동월) : 북미(1,216, 12.3%), EU(566, 63.9%), 동유럽(386, 60.1%), 중동(264, 46.4%), 중남미(172, 97.5%), 아프리카(46, 59.6%), 세아니아(186, 7.6%), 아시아(190, 27.4%)
 

 

 

- 특히 이번달은 전기차 수출 호조세로 친환경차 비중대폭 확대되어 수출단가 상승견인한 것으로 분석
 

* 수출비중 : [친환경차] (‘20.8) 12.5% (’21.8) 23.3%(10.8%p)
[전기차] (’20.8) 5.2% (’21.8) 9.6%(4.4%p)
 

‘21년 월별 수출금액은 코로나19 이전인 ’19년 대비 ’21.5월을 제외하고 모두 상회하며 기저효과를 뛰어넘는 호조세 지속
* ‘21.5월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영향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미침
 

최근 31~8월 친환경차 수출 추이
 

최근 31~8월 수출금액 추이
 

친환경차
 

(총괄) 내수는 전년동월대비 101.8% 증가32,144,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92.2% 증가 30,296 8개월 연속 내수 수출 모두 상승
 

(내수) 19개월 연속 증가, 전체 자동차 판매비중의 24.7%차지하며 월간 역대 최다 판매 비중 기록
 

ㅇ 이번 달은 지난 6(3.5만대)에 이어 월간 역대 판매 대수 2위 실적 기록(32,144/ 국산 21,906, 수입 10,238)
 

- (국산차) 전기차(+279.9%), 하이브리드차(+47.7%) 판매 호조 88.0% 증가(21,906), 특히 전기차는 월간 역대 최다판매대수 기록
 

* 국산 하이브리드차 판매 : (‘20.8) 8,769(’21.8) 12,954(47.7%)
* 국산 전기차 판매 : (‘20.8) 2,210(’21.8) 8,396(279.9%)
* 국산 수소차 판매 : (‘20.8) 675(’21.8) 556(17.6%)
 

- (수입차) 전기차(+71.4%), 하이브리드(+209.6%), 플러그인 하이브리드(+83.9%) 판매호조로 139.4% 증가 10,238
 

연료별로는 전기차 191.1%, 하이브리드차가 78.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가 83.9% 증가
 

* 연료별 판매대수: 하이브리드 19,307(78.4%), 플러그인하이브리드 1,076(83.9%), 전기차 11,205(191.1%), 수소차 556(17.6%)
 

- 전기차볼륨모델*견고한 호조세와 더불어 전년동월대비 3종의 신규 차종(국산차 기준)**이 출시되면서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
 

 

* 모델별 증감률: 니로EV(1,038, +686.4%), 포터EV(1,207, +99.8%), 봉고EV(642, +146.9%)
** EV 신차 판매대수 : 아이오닉5 EV 3,337, G80 EV 142, EV 6 1,910
 

친환경차 판매비중 전체 자동차 판매비중24.7%(12.9%p) 차지역대 최다판매 비중 시현
 

* 친환경차 내수판매비중: (‘19.8) 6.3% (‘20.8) 11.8% (’21.8) 24.7%(12.9%p)
 

(수출) 수출대수 92.2% 증가 30,296, 수출금액 +101.2% 증가 8.4억불 기록
 

누적 수출대수는 친환경차 통계를 생성한 ‘10년 이후 현재(’21.1-8) 까지 140만대 기록
 

* 연도별 친환경차 수출대수 : (~‘17) 45.3만대 (‘18) 19.6만대 (‘19) 25.9만대 (‘20)27.1만대 (‘21.1-8) 24.7만대
 

친환경차의 성장세를 견인하는 유럽시장에서의 국내 브랜드의 점유율 상승 등으로 친환경차 수출 대폭 상승
 

* ‘21.1-7월 유럽시장 국내브랜드의 친환경차 점유율9.3%9.7%(0.4%p),
전기차 점유율11.4% 12.0%(0.6%p)로 전년동기 대비 상승
 

[ 유럽 친환경차 시장 국내 브랜드 점유율 현황 (단위: %) ]
구분
독일
영국
프랑스
유럽 전체
20.1-7
21.1-7
20.1-7
21.1-7
20.1-7
21.1-7
20.1-7
21.1-7
친환경차
7.4
8.5
12.1
13.8
9.5
7.5
9.3
9.7
전기차
12.7
11.1
11.4
14.8
10.1
10.5
11.4
12.0
* 출처 : Marklines / 독일, 프랑스,

0 Comments
바로타 UN 팔각성냥 600개비 x(6개)성냥개비 불쏘시개
스텐 메이크업 브러쉬 파운데이션 스파츌라 M12738
원컬러힙색 힙색 슬링백 크로스백 스포티 가방
여성 얇은 골지양말 시스루 긴양말 롱삭스 여름양말
한일전기 HPF-300 고풍량배풍기
SONY 공DVD DVD-R 4.7GB 16x 10P DVDRW 공디브이디
팔걸이마우스패드 - 대의자 책상 팔받침대
3단접이식스탠드선풍기 탁상용선풍기 미니선풍기
이케아 YLLEVAD 윌레바드 미니액자 화이트13x18cm
우드케어 오일스테인 woodcare 10리터
3M 마루보호 패드 원형 혼합형 대용량 기획팩 162매입
이케아 FINSMAK 핀스마크 미니 양초 캔들 유리 홀더
남자 츄리닝 운동복 밴딩 무지일자 트레이닝팬츠 6849
(마루)오아시스변기커버 대-3533 (반품불가)
신세계푸드 불고기 치아바타 샌드위치 6팩+1팩 추가증
휴대용열쇠고리 5개입 열쇠고리 나침반 온도계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