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조달청]이용자 중심 조달플랫폼 혁신 위한 「나라장터 사용자 협의체」 출범

btn_textview.gif

이용자 중심 조달플랫폼 혁신 위한 「나라장터 사용자 협의체」 출범
물품·서비스·공사 등 5개 분과 총 50개 기업 참여, 조달현장의 목소리 전달 창구


□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사업에 사용자인 조달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상시 협의체가 본격 가동된다.


□ 조달청(청장 김정우)은 15일 비대면(온라인 Zoom)으로 50개 조달기업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나라장터 사용자 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참고>
 ○ '사용자 협의체'는 사용자 경험(Customer Experience)을 토대로 차세대 나라장터의 이용 편의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개선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협의기구이다.
   - 차세대 나라장터 사업은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기반으로 2002년 개통된 나라장터를 전면 개편하는 사업으로 2024년까지 3년 간 1천 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 '조달기업 협의체'는 물품, 공사, 서비스, 공공쇼핑몰 등 전문분야를 나눠 5개 소분과로 구성된다.
   - 소분과를 중심으로 개선과제 발굴을 위한 토론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개발·시범운영 단계에서도 직접 테스트에 참여하는 등 차세대 사업 전 과정에 걸쳐 조달현장의 의견을 전달하게 된다.


□ 이번 회의에서 조달청은 △ 이용자 중심 서비스 구현, △ 디지털 신기술 선제적 도입, △ 자체 조달시스템 통합 등 차세대 사업의 주요 내용을 설명했으며, 조달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 조달기업들은 경영활동에 도움이 되고 사용에 더욱 편리한 나라장터를 만들어 줄 것을 집중적으로 건의하는 한편, 기관별로 분산된 조달시스템이 한 곳으로 모아지는 것에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 전태원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추진단장은 "나라장터는 많은 벤처·소상공인을 포함 50만개 가까운 조달기업이 경영의 터전으로 삼는 중요한 시스템이다."면서,
 ○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한 점은 사소한 것 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개선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조달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수요기관을 위한 사용자 협의체는 9월말 출범 예정이다.


* 문의: 차세대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구축 추진단 총괄기획팀 고재걸 사무관(042-724-6344)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