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국표원, 「2021년 제2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온라인 수여식」 개최

btn_textview.gif

치과 임플란트 살균 기술,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컴퓨터 등 산업기술 혁신 이끌 29개 신기술, 16개 신제품 탄생
 

- 국표원, 2021년 제2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온라인 수여식개최 -
 

치과 임플란트 살균 기술과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컴퓨터처럼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등 산업기술 혁신을 이끌 29개 신기술과 16개 신제품이 탄생했다.
 

ㅇ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92920212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45개의 혁신적인 신기술과 신제품에 인증을 부여했다.
 

* 행사명 : 2021년 제2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매년 3회 실시)
** 일시/장소 : 2021.9.29() 16:0017:00 / 온라인 수여식
 

 

< 신기술(NET), 신제품(NEP) 인증 제도 개요 >
 

 

 

(신기술, New Excellent Technology)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개선·개량한 우수 기술을 신기술로 인증하는 제도
 

(신제품, New Excellent Product)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개선·개량한 우수 기술을 핵심으로 적용하여 상용화가 완료된 신제품을 평가하여 정부가 인증하고, 판로확대를 지원하는 제도
 

이번 신기술(NET) 인증에는 총 126개 기술이 인증을 신청했으며, 3단계 심사* 거쳐 최종 29(인증율 23%) 혁신기술에 인증을 부여했다.
 

* 1단계 : 서류·면접심사 2단계 : 현장심사 3단계 : 종합심사
 

ㅇ 특히, 플라즈마를 이용해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의 탄화수소 성분의 불순물을 세정살균하여 기존 임플란트에 비해 생체 적합성을 높이고 수술 후 안정화 기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이 화학·생명 분야 신기술로 선정되었으며,
 

무인 비행체의 구동장치 제어기와 구동기를 통합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모터 구동장치의 고질적 문제점인 떨림현상을 억제하며 극저온(-71)에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저온보상기술을 구현하는 기술이 기계·소재 분야 신기술로 뽑혔다.
 

 

NET
사례 1
 

진공 플라즈마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탄화수소 제거 및 살균 기술
 

 

 

 

(업체명) ()플라즈맵
 

(용 도) 플라즈마 재생 활성기
 

(내 용) 진공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생체 삽입용 타이타늄 임플란트 표면에 있는 유기 불순물인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살균하는 기술
 

(특 징) 진공 밀봉 패키지를 통해 패키지 내부 플라즈마 환경 및 독립제어가 가능하여 플라즈마 처리 후 높은 생체적합성을 확보하여 수술 후 안정화 기간 단축 가능
 

(파급효과) 임플란트 수술 실패로 인한 비용 손실 및 지속적인 병원 진료로 인한 환자의 피로 문제 해소와 더불어 수술비용 절감에 기여
 

NET
사례 2
 

무인비행체 조종면 구동용 일체형 전기식 구동장치 및 제어 기술
 

 

 

 

(업체명) ()컨트로맥스
 

(용 도) 무인항공기용 일체형 전기식 구동장치
 

(내 용)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 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제어기와 구동기를 일체형으로 통합한 전기식 구동장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어하는 기술
 

(특 징) 모듈의 최적통합화를 통한 시스템 소형화일체화, 진동 및 온도 보상 알고리즘 구현을 통해 구동장치 떨림 최소화와 극저온(18.2km, -71)환경에서 구동장치의 반응성 저하를 방지
 

(파급효과) 미래형 항공운송 수단의 핵심부품으로 활용이 기대되며 국방 및 항공 산업 활성화에 기여
신제품(NEP) 인증에는 총 125개의 제품이 신청했으며, 체계적인 심사* 통해 혁신성을 바탕으로 미래시장 개척이 기대되는 16제품(인증률 13.8%)을 최종 선정했다.
 

* 1단계 : 서류·면접심사(판매실적 필수) 2단계 : 현장심사 3단계 : 종합심사
 

특히, 점자핀을 이용해 시각장애인도 정상 시력인과 유사하게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제작한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컴퓨터가 정보통신분야 신제품으로 선정되었고,
 

전력변환효율이 95% 수준(기존 85% 수준)이고 전력계통 변동성 보상이 가능하며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된 미활용 잉여전력으로 수소를 생산·저장했다가 필요시 연료전지 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해용 전력변환장치가 기계·소재분야 신제품으로 선정되었다.
 

 

NEP
사례 1
 

점자핀 자기유지력을 개선한 시각장애인용 태블릿PC
 

 

 

 

 

(업체명) ()피씨티
 

(용 도) 시각장애인용 점자 태블릿 PC
 

( ) 정상 시력인이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시각장애인이 교육, 인터넷, 도서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점자 형태로 접근활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태블릿PC
 

(특 징) 초음파 선형 액추에이터 기술을 통해 초소형 점자핀 제작 기술을 구현하여 점자와 점자그림 동시 출력 가능
 

(파급효과)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점자핀을 대체하여 국산화 가능
 

NEP
사례 2
 

풍력발전을 이용한 수전해용 PWM제어 전력변환장치(500kW)
 

 

 

 

 

(업체명) ()지필로스
 

(용 도) 풍력발전 잉여전력 활용 수소생산 및 전력변환장치
 

(내 용) 풍력발전 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전력(변동성)을 완충시키기 위해 수소를 생산하여 저장하였다가 저장한 수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
 

(특 징) 펄스 폭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기존 대비 전력변환효율이 높고 순간 변동 전력의 완충 및 변동성 해소가 가능
 

(파급효과) 재생에너지의 미활용 전력 활용을 통한 수소 생산으로 수익 증대 가능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이날 인증서 수여식에서 여러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난 8월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경제회복 신호가 뚜렷한 만큼 인증기업들도 국내시장에만 머물지 말고 개발된 기술과 제품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하고,
 

우리 기업의 혁신적인 기술이 조기에 상용화되어 새로운 제품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고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