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21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유망기업 20개사 선…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12월 15일(수) 서울 코엑스에서 기업과 유관기관이 함께하는 ‘21년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강소기업100+’ 선정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소부장 강소기업 100+ 선정식 개요>  
   
· [일시 · 장소] ‘21.12.15(수) 14:00,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
 
· [참석자]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 / 유관기관장(기보, 기정원) / 강소기업 22개사* 등
* 추가선정기업 20개, 선배 강소기업 인터뷰 참여기업 2개(알피에스, 에버켐텍)

 
· [주요내용] (1부) 신규 선정 강소기업 선정서 수여식
(2부) 우수성과 발표 및 유공자 포상
 
‘소부장 강소기업100+ 프로젝트’는 소부장 국산화를 넘어 세계 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부장 유망기업을 선정·육성하는 사업으로,
 
1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지난달 20개사가 추가로 선정*됐다.
 
* 소부장 강소기업 선정 : 1차 54개(’19.12월), 2차 46개(‘20.11월), 320(’21.11)
이번에 선정된 소부장 강소기업은 기술 분야별로 반도체 8개, 전기?전자 4개, 환경?에너지 3개, 기초화학 2개, 기계?금속 1개, 자동차 1개, 바이오 1개가 선정됐다.
< 분야별 선정결과 >
구분 반도체 전기전자 환경·에너지 기초화학 기계금속 자동차 바이오 합계
선정기업(개) 8 4 3 2 1 1 1 20
비율 40% 20% 15% 10% 5% 5% 5% 100%
 
선정된 소부장 강소기업들은 5년간 연구개발(R&D), 사업화자금 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통해 신속한 기술혁신 및 사업화를 지원받게 된다.
 
* 연구개발(R&D) : 강소기업100 전용 연구개발(R&D)(4年, 최대 20억 원), 투자형 연구개발(R&D)(최대 30억 원), 소부장 전략협력 연구개발(R&D)(3年, 최대 12억 원) 등
 
사업화자금 : 정책자금융자(최대 100억 원), 보증(최대 30억 원) 등
 
중기부 차정훈 창업벤처혁신실장의 축사로 시작된 선정식은 선정서 수여와 참석자들이 함께한 소부장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의지를 담은 퍼포먼스로 새로운 소부장 강소기업들의 첫걸음을 알렸다.
 
이어진 성과공유회에서는 ‘소부장 강소기업 비전공유’라는 주제로 선배 강소기업*과의 인터뷰, 수요기업과 강소기업간의 협업방안 안내, 강소기업 유공자 포상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되었다.
 
* ㈜알피에스 이동헌 대표이사, ㈜에버켐텍 홍민정 본부장
 
마지막으로 소부장 강소기업 유공자 포상을 통해 수상 기업들에게는 소부장 강소기업으로서의 자부심을 갖도록 하고, 신규 강소기업들에게는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며 선정식을 마쳤다.
 
중기부 차정훈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오늘 참석한 대표님들이 앞으로도 우리 경제의 근간인 소부장 산업 발전을 위해 힘써주시길 부탁드린다”며,
 
“중기부가 힘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과 권희준 사무관(☎ 044-204-776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21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선정식 행사계획
 
 
□ 목적
 
? 신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20개 사에 대한 선정서 수여 및 선배 강소기업 및 지원기관의 우수성과 공유를 통한 비전 공유
 
□ 행사개요
 
? 일시 : ‘21.12.15(수) 14:00~14:50(’50)
 
? 장소 : 코엑스 그랜드볼룸(서울 강남)
 
? 참석
 
- (정부?유관기관)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 / 유관기관장(기보, 기정원) 등
 
- (기업) 강소기업 22개사* 등
 
* 추가선정기업 20개, 선배 강소기업과의 인터뷰 참여기업 2개
 
? 주요내용 : (1부) 신규 강소기업 선정서 수여식
(2부) 선배기업과의 인터뷰 및 유공자 포상
 
□ 세부일정 : 1부 선정식 (’20) → 2부 성과공유회 (‘30)
 
구 분 시 간 내 용
<1부>
 
선정식
(‘20)
14:00 ~ 14:02 ‘2 개회 및 참석자 소개
14:02 ~ 14:07 ‘5
  •  
14:07 ~ 14:10 ‘3
  • 100 현황 및 경과 (동영상)
14:10 ~ 14:15 ‘5 신규 선정 강소기업 선정서 수여
14:15 ~ 14:20 ‘5
  •  
<2부>
 
성과
공유회
(‘30)
14:20 ~ 14:40 ‘20 강소기업 성과(비전) 공유
- 기술혁신지원단 제도 안내
- 선배 강소기업과의 인터뷰(㈜알피에스,㈜에버켐텍)
- 수요기업-강소기업 협업사례 안내
14:40 ~ 14:45 ‘5 강소기업 및 지원기관 유공자 시상식
14:45 ~ 14:50 ‘5 기념촬영 및 폐회
참고 2   ’21년, ?소부장 강소기업 100+? 선정기업 세부내용
 
□ 반도체(8개사)
기업명 : ㈜레이크머티리얼즈
대표자 : 김진동
창업일 : ‘17.09.22
?초고순도 TMA(트리메틸알루미늄) 및 유기금속 화합물
- 반도체, LED, 태양전지 소재, 디스플레이 소재의 핵심 원료물질(Al, Al2O3, AlN, MAO 제조용 전구체)로 사용되고 있는 TMA(트리메틸알루미늄) 유기금속 화합물
기업명 : ㈜밸류엔지니어링
대표자 : 황규태
창업일 : ‘99.03.26
 
?아크챔버(반도체 이온 주입장치 부품)
- 반도체 이온 주입장치의 유도결합 플라즈마형 이온소스 및 12인치급 에칭장비의 내플라즈마 코팅기술이 적용된 윈도우 부품
기업명 : ㈜아이윈
대표자 : 박상량
창업일 : ‘08.07.14
?고 신뢰성 시스템 반도체 Test용 Pogo Pin
CPU 커넥터 관련 기술로 고성능의 전자특성과 기구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커넥터핀 및 이를 수용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한 하우징 기반 기술
기업명 : ㈜엠티아이
대표자 : 박성균
창업일 : ‘11.11.22
?CIS(이미지 센서)용 웨이퍼 보호 코팅제 및 박리제
- 초고해상도 이미지 센서(CIS)용 반도체 가공 공정 중 웨이퍼 오염을 방지하여 수율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특수 PU 코팅제 및 박리제
기업명 : ㈜자람테크놀로지
대표자 : 백준현
창업일 : ‘00.01.27
?차세대 POM SoC(통신 반도체)
- 가입자 당 고대역의 대칭 및 비대칭 25G 속도를 지원하는 25G PON(Passive Optical Network) SoC(통신 반도체)
기업명 : ㈜저스템
대표자 : 임영진
창업일 : ‘16.04.25.
?반도체 수율 향상을 위한 습도제어 System 부품
- 반도체 제조공정 중 미세선폭을 갖는 반도체 패턴 형성 과정(에칭과정, 린싱(세정) 과정 등) 중 또는 그 이후에 패턴의 결함을 야기하는 수분 및 잔류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퍼지하는 시스템 부품
기업명 : 티이엠씨(주)
대표자 : 유원양
창업일 : ‘15.01.26
?Neon Gas(반도체용 식각 가스)
- 반도체 산업에서 활용되는 가스를 생산하는 기술로 기존 F(불소)의 사용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식각(etching)가스 생산 기술
기업명 : 피에스케이홀딩스(주)
대표자 : 박경수
창업일 : ‘90.06.11.
?Fan-out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Plasma 처리 장치 부품
- Fan-Out Package에서 Panel Level로 확장성을 가지는 반도체 Packaging (FOPLP)로 EMC와 칩 상에 재배선 (RDL) 공정을 진행하는데 필수적인 Descum 공정과 Plasma treatment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 부품
 
□ 전기전자(4개사)
기업명 : ㈜셀코스
대표자 : 백우성
창업일 : ‘07.01.11
 
?RF 필터 제조를 위한 친환경 융복합 표면처리 부품
- 5G 이동통신에 적용되는 RF필터 제조를 위한 저손실, 고균일, 친환경 융복합 코팅시스템 제조 기술
기업명 : ㈜씨엔티솔루션
대표자 : 서정국
창업일 : ‘11.10.14
?수소연료전지용 CNT 강화 탄소복합소재 분리판
- CNT 분산기술을 통한 탄소복합체를 통하여 흑연 중심의 탄소복합체 분리판의 전기 전도도, 내부식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고,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CNT 탄소 복합체 분리판
기업명 : ㈜엘디스
대표자 : 조호성
창업일 : ‘06.05.03
?5G 이동통신용 25Gbps tunable DFD-LD 광원 모듈
- 5G-PON용 핵심 광원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송 품질이 우수한 4파장 tunable DFB-LD(레이저다이오드, 광트랜시버 핵심 부품) 개발
기업명 : ㈜지아이텍
대표자 : 이인영
창업일 : ‘12.05.02
?이차전지용 슬롯다이헤드
- 슬롯다이헤드/슬롯노즐은 펌프를 통해 유입되는 점도를 지닌 코팅액을 균일하게 분포하는 부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코팅 공정이 포함되는 제조 장치의 핵심 부품 제조 기술
□ 환경·에너지(3개사)
기업명 : 범한퓨얼셀(주)
대표자 : 정영식
창업일 : ‘19.12.31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
- 120KW급 잠수함용 연료전지(PEMFC) 모듈로서 잠수함의 공기불요 추진체계에 20일간 전원공급이 가능한 발전시스템 부품
기업명 : ㈜케이피텍
대표자 : 백종두, 백우순
창업일 : ‘88.01.06
?친환경 PET 데코 시트
BIOMASS PET(APET)와 리싸이클한 PET(GPET) 소재 및 UV 레진을 Biomass 올리고머 소재로 하여 CO2 저감 및 폐플라스틱의 자원순환이 가능한 upcycling 데코시트 소재 개발
기업명 : ㈜코렌스알티엑스
대표자 : 조형근, 천세욱
창업일 : ‘09.05.15
?연료전지용 촉매
- 전자빔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촉매 제조에 관한 것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백금촉매 국산화 기술
 
□ 기초화학(2개사)
기업명 : (주)세일하이텍
대표자 : 김보근
창업일 : ‘93.09.17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 산업용, 광학용 필름 소재
- 친환경성이 뛰어난 수용성 고분자 필름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hole, PVA)필름 소재 제조 기술
기업명 : 이피캠텍(주)
대표자 : 이성권
창업일 : ‘07.10.24
 
?중대형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첨가제
- 기체량 발생 감소에 따른 고온 안정성 및 장기 안정성 증가에 따른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킨 LiFSI 전해질과 LiPO2F2 첨가제
 
 
 
 
 
 
 
 
 
□ 기계금속(1개사)
기업명 : 진영티비엑스(주)
대표자 : 김준섭
창업일 : ‘01.07.23
 
?터빈 블래이드 & 다이어프램 모듈
- 터빈 블레이드 및 다이어프램 모듈 관련 기수로 기존의 용접식 및 조립식 제조 기술의 장점을 동시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다이어프램 제조 기술 개발
 
□ 자동차(1개사)
기업명 : 태림산업(주)
대표자 : 오승한
창업일 : 95.09.12
?비조질강을 적용한 Hi-Torque EPS용 Hexagon Type Intermediate Shaft
-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110Nm급 고토크 hexagon type intermediate shaft 개발(비조질강을 적용한 고강도, 경량화)
 
□ 바이오(1개사)
기업명 : (주)마크로케어
대표자 : 이상린
창업일 : ‘02.04.22
 
?비타민 C 유도체(Ascorbyl glucoside) 및 고품질 생물계면활성제(Sophorolipid)
- 생물 전환 기술를 적용한 비타민 C 유도체(Ascorbyl glucoside) 및 고품질 생물 계면활성제(Sophorolipid)
 
 
참고 3   ?소부장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 개요
 
□ (목적)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자립도를 높이고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 중소기업 육성
 
□ (1·2차 선정) 총 1,507개 신청 중소기업 중 1차 54개사(’19.12월),
2차 46개사(‘20.11월) 등 100개사를 강소기업으로 선정
 
□ (확대개편)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에 선제 대응토록 프로젝트명을「소부장 강소기업 100+」로 변경, 선정분야를 9대로 개편
 
* (기존, 6개) ①반도체, ②디스플레이, ③전기전자, ④자동차, ⑤기계금속, ⑥기초화학
+ (추가, 3개) ⑦바이오, ⑧그린 에너지, ⑨비대면 디지털
 
? (3차 선정) 237개 신청기업 중 대국민 공개평가*를 거쳐 20개 기업 선정
 
* 최종평가 시 기업의 발표를 대국민 공개로 진행, 국민심사단의 의견을 평가에 반영
 
< 강소기업 3차 선정 절차 >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
(7.23~8.23)
서면평가
(8.26~9.3)
현장·심층평가
(9.14~10.27)
대국민 공개평가
(11.17)
선정심의위원회
(11.26)
· 자격요건 검토
· 약식기술평가
· 현장조사/기술평가
· 전문가 심층평가
· 기업 대면발표
· 국민평가단 운영
· 분과 간 조정
· 강소기업 최종선정
       
                         
 
□ (지원내용 및 성과) 5년간 R&D*, 벤처투자, 사업화자금, 연구인력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우대하여 신속한 기술혁신 및 사업화를 지원
 
* 강소기업100 전용R&D(4年, 최대 20억 원), 투자형R&D(최대 30억 원), 소부장 전략협력R&D(3年, 최대 12억 원) 등
 
? ‘21.9월까지 6,024억원 지원(기업당 평균 60.2억원)하여, 핵심소재 등의 국산화 및 수입대체 성과 창출*
 
* 일본 수입에 의존하던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기술개발 성공(영창케미칼), 식품용 포장재 핵심소재(EVOH)를 대체하는 친환경 신소재 개발 성공(에버켐텍) 등
 
< 소부장 강소기업100 지원 총계 (‘21.9월말 기준) (단위 : 억원) >
R&D 융자 · 보증 투자 기타(인력지원 등) 합계
1,150 4,278 524 72 6,024
 
? 강소기업으로 선정된 100개사 중 46개사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보유, 47개사가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으로 선정
참고 4   ’21년 ?소부장 강소기업 100+? 선정 현황
 
□ (기술분야별) 반도체 40%(8개), 전기·전자 20%(4개), 환경·에너지 15%(3개) 분야 순
 
< 기술분야별 강소기업 선정 현황 (단위:개) >
구분 반도체 전기전자 환경·에너지 기초화학 기계금속 자동차 바이오 합계
선정기업(개) 8 4 3 2 1 1 1 20
비율 40% 20% 15% 10% 5% 5% 5% 100%
 
? (특징) 소부장 강소기업 출범 배경과 반도체 특별법 등의 정책 지원 기조에 따라 반도체 분야의 신청과 선정 비율 최고
 
? 또한, 최근 화두가 되는 차세대 전지산업(이차전지·연료전지) 기업이 환경·에너지 분야로 신청하여 세 번째로 많은 것이 특징
 
□ (지역별) 경기 8개(40%), 충북 5개(25%), 경남 3개(15%), 충남 2개(10%) 순
 
< 지역별 강소기업 선정 현황 (단위:개) >
지역 경기 충북 경남 충남 광주 세종 총합계
개수 8 5 3 2 1 1 20
비율 40% 25% 15% 10% 5% 5% 100%
 
? (특징) ’20년 소부장 강소기업 선정 결과에 비해 충남, 충북지역의 선정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기존 17.4%→ 35%)한 것이 특징
 
□ (규모별) 매출액 300~500억 이하 6개(30%), 100~300억 이하 6개 (30%), 100억 이하 4개(13.3%) 순
 
< 매출액별 강소기업 선정 현황 (단위:개) >
매출구분 50억이하 100억이하 300억이하 500억이하 1,000억이하 총합계
개수 2 4 6 6 2 20
비율 10% 20% 30% 30% 10% 100%
* 평균 매출액: 247억원, 코스닥 등록기업 수: 2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