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스팅을 이용한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방안 제시

btn_textview.gif


스팅을 이용한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방안 제시

스팅 작용제(agonist)의 면역증강 효과 이외 비정상적 암 혈관 차단 효과 확인

?

김찬·전홍재 교수·양한나 박사(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연구팀이암 내부의 비정상적인 혈관을 차단하는 단백질 스팅(Sting)의 역할을 규명하고면역항암치료의 내성 극복을 위한 실마리를 제시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가 밝혔다.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 및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임상 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성과는 임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725일자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 STING Activation Reprograms Tumor Vasculatures and Synergizes with VEGFR2 Blockade

※ 주저자 : 김찬(차의과학대학교, 공동 교신저자), 전홍재(공동 교신저자) 양한나(차의과학대학교, 1저자 )

?

면역세포에 있는 스팅은 암세포에서 나온 DNA 조각을 탐지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준비시키는 센서 역할을 한다. 때문에 스팅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제(agonist)와 관련한 면역항암제 임상연구가 다국적 제약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

?

ㅇ 하지만 70%의 환자는 내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무분별하게 생성된 암혈관이 면역세포가 종양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문제였다.

?

□ 연구진은 기존에 잘 알려진 면역세포에서가 아니라 암혈관 세포에서의 스팅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이러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

?

400여 명의 난치암 환자 암조직을 분석하여 암혈관에서 스팅을 활성화시킬 경우 암 내부의 비정상적인 혈관이 차단되어 종양의 성장과 전이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

□ 스팅 작용제가 해로운 암혈관을 억제하는 한편 면역반응에 이로운 혈관만을 남겨 면역세포가 암 내부로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설명이다.

?

?

ㅇ 스팅 작용제와 함께 암혈관신생억제제와의 병용사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

□ 실제 면역항암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던 내성암이 스팅 작용제, 암혈관신생억제제, 면역항암제를 삼중 병용하였을 때 60%에서 소실되었다.

?

?

ㅇ 또한 암혈관 내 스팅 단백질이 많을수록 더 좋은 예후를 가지는 등 암혈관에서의 스팅의 역할이 종양 내 면역반응과 밀접히 관련됨을 알아냈다.

?

김찬 교수면역항암제의 효과를 증강시키고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확인한 것이라며 스팅 작용제를 이용한 면역항암치료는신장암, 간암, 췌장암, 방광암과 같은 난치성 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