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림청]아열대 식물 물고사리, 한반도에 어떻게 들어왔을까?

btn_textview.gif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10015253&fileSn=0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10015253&fileSn=1
아열대 식물 물고사리, 한반도에 어떻게 들어왔을까?
-국립산림과학원, 제주에서 물고사리 자생지 최초 발견-
-아열대 식물과 한반도의 연결고리, 제주도의 역할 주목해야-
□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아열대성 양치식물 물고사리(water fern, Ceratopteris thalictroides)의 제주도 지역 자생지가 최초로 발견되었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제주도 지역에서 물고사리 종의 실체를 확인하고 자생지 2곳 및 6개 집단의 군락 정보를 수집하였다고 밝혔다.
? ○ 물고사리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반도 남부지역(부산, 순천, 광양, 구례 등)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나 제주도 지역에서 자생지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물고사리는 순록의 화려한 뿔을 닮은 아름다운 잎을 가진 소형 고사리로 물속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종자에 해당하는 포자를 물이나 철새의 이동을 통해 확산시킨다.
?
□ 제주도 지역은 물고사리가 한반도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지금껏 자생지가 발견되지 않아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제주도 내 물고사리의 자생지가 확인되면서 종 분포에 관한 식물 지리학 분야의 오랜 의문 역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 ○ 한편, 제주도는 아열대성 식물이 한반도로 유입되고, 확장해 나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 가는 초기 정착지 및 중간 정착지로서 식물 분포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다.
□ 이번 조사에 참여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최병기 박사는 “물고사리 자생지는 식물 분포의 연결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역 내 서식처 희귀성 측면에서도 주목 받아야 할 장소이다.” 라며 “제주도가 한반도로 확산되는 물고사리의 유전자 다양성을 위한 보급처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종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