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아시아 무역안보 정책 공조 및 기술통상 협력 강화키로

btn_textview.gif

아시아 무역안보 정책 공조
기술통상 협력 강화키로
 

- 산업부,2021 무역안보 국제 컨퍼런스*개최 -
 

* (영문)“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de & Security 2021”
 

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11.17() 오전 102021 무역안보 국 퍼런스를 개최하여 수출통제 모범국*로서 한국의 위상 알리고 시아 무역안보 정책 공조 기술통상 협력을 선도해 나갈 것임을 밝힘
 

* 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만이 수출통제 관련 4대 조약 및 4대 체제에 모두 가입
 

이번 행사는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추진현황 및 도전과제를 주제로, 아시아 주요국 정부, 싱크탱크 및 기업 등 해외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여 각 국의 무역안보 현황 및 정책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
 

 

컨퍼런스 개요
 

 

 

일시 : 21.11.17.() 10:00~14:00 / 코엑스 그랜드볼룸(화상, 주관/전략물자관리원)
 

참석자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개회사),
필립 그리피스 바세나르 사무총장, 새라 로버츠 호주그룹(AG) 의장,
아시아 주요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정부,
싱크탱크(CNS, STIMSON Center), 기업(전략물자산업연합, Siemens, DHL)
주제 :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추진현황 및 도전과제
(Recent Developments and Challenges in Asian Trade & Security)
 

한구 본부장은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가속화되고 산업, 기술, 통상과 안보가 융합되는 상황에서, 아시아 각 국의 통상-기술-안보가 연계된 정책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이는 기술통상 전략, 첨단기술의 진흥과 보호를 종합적, 유기적으로 아우르며 글로벌 기술주도권 선점경쟁에 대응하고, 국부 창출에 기여하는 새로운 통상정책 방향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임
 

ㅇ 특히, 국제 수출통제체제 원칙하에, 무역안보 제도가 자의적·정무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지양하고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면서 구체적으로 3가지 정책공조방향을 제시함
 

(글로벌 협력 강화) 수출통제체제는 글로벌 교역의 안정적 확대를 한 안전장치로, 한국은 수출통제 선도국으로 4대 국제수출통제체제* 범형성 및 아시아 수출통제 협력 강화 논의를 선도해 나갈 계획
 

* 바세나르 체제(WA), 핵공급그룹(NSG), 호주그룹(AG),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첨단기술 보호 공조) 최근 안보 중요성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이차전지 등 우리 산업이 강점을 가진 분야의 핵심기술 보호제도를 강화하고 유사입장국간 공조노력 확대 추진
 

(기업 지원 강화) 무역안보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수출통제, 투자심사, 기술보호의 유기적·통합적 운영을 통한 기업의 수용성 제고, 국내 제도 등 지속 보완을 통해 기업 편의성 제고
 

필립 그리피스 바세나르 체제 사무총장, 새라 로버츠 호주그룹(AG) 의장 등 국제 수출통제체제 핵심인사도 를 통해 국제 수출통제 규범 준수와 국가들간 수출통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함
 

바세나르 체제(’96.7월 설립, 42개국 참여) : 재래식 무기, 민감 이중용도 품목 및 기술의 수출 통제에 관한 최초의 국제수출통제체제
 

호주 그룹(’85.6월 출범, 43개국 참여) : 화학·생물무기와 그것의 제조, 개발에 사용될 있는 물질이나 장비, 기술 등이 국가간에 이전되는 것을 통제하는 국제체제
 

개회식에 이어 국제 수출통제체제 동향 및 아시아 정책 제언,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추진현황, 기업의 수출통제 이행노력 대해 정부, 기업 및 싱크탱크의 주제 발표가 진행됨
 

세부 프로그램은 별첨 참고
 

ㅇ 우리나라와 상호 긴밀한 경제·통상 관계를 맺고 있는 아세안 핵심(싱가포르, 필리핀, 베트남 등) 정부는 각 국의 무역안보 관련 법·제도 현황 을 소개하며 수출통제 협력 중요성에 대해 언급
 

기업들의 국제 수출통제 규범에 따른 경영 관리 필요성(Sandro Zero 전략물자산업연합 회장), 위험 관리, 모니터링 및 네트워크 강화 기업의 수출통제 이행 현황을 설명(Marina Hausen 독일 Siemens수출통제 총괄)
 

ㅇ 또한, 수출통제 전문가들은 UNSCR 1540* 및 다자간 수출통제체제 동향을 소개하고,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수출통제 관련 정책 제(Ian Stewart CNS Director, Seema Gahlaut STIMSON 선임연구원)
 

* 유엔안보리결의 1540(’04.4.28일 채택) : 전략물자(특히 WMD 및 운반수단) 비확산·수출통제조치 조치 의무화, 비국가행위자(non-state actors)를 통제대상으로 명시, 통제범위 확대 등을 내용으로 포함
 

업부는 앞으로도 무역안보 분야 국제 컨퍼런스를 연례적으로 개최여 국제 수출통제 규범, 주요국 정책 동향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토대로 무역안보 및 기술통상 전략을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임
 

금번 국제 컨퍼런스 관련 자료는 1118일부터 전략물자관리원 홈페이(www.kosti.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제공될 것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