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림청]아름다운 전통한지 ‘태지’, 과학으로 되살아나다!

btn_textview.gif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031611&fileSn=0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031611&fileSn=1
아름다운 전통한지 ‘태지’, 과학으로 되살아나다!
-태지 핵심원료인 ‘해캄’을 과학적으로 구명하여 전통기법으로 복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전통한지의 다양성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명확한 제조법이 전수되지 않은 전통한지 중 ‘태지(苔紙)’의 핵심원료가 ‘해캄’임을 밝혀내고, 전통기법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 닥나무 섬유에 녹색의 수태(水苔)를 넣어 만든 태지는 조선 왕실에서 사용하던 고급 한지였지만, 근대화를 거치면서 값싼 화학펄프 종이의 대중화로 인해 한지 시장에서 점차 사라져갔다.

○ 태지는 고문헌에 다수 등장하지만 제법, 원료 등에 관한 정확한 기록이 없으며, 태지의 원료라고 언급되는 ‘수태’의 정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여 복원의 핵심은 ‘수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는 것에 있었다.

□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와 협업을 통해 1700년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제작된 태지 실물을 수집하고 현미경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수태가 민물에 서식하는 해캄류임을 밝혀냈다.

○ 또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현진한지연구소, 신현세전통한지와 공동작업을 통해 태지 복원을 위한 다양한 제조법을 연구·시도한 끝에 우리나라 전통한지 제조방법으로 태지를 복원하였다.

□ 한지는 국내 고문헌에 기록된 명칭만 284종이 등장할 정도로 그 종류가 다양하며, 내구성과 보존성이 뛰어나 국내외에서 한지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많은 종류의 전통한지에 대한 명확한 제조법이 전수되지 않아 그 다양성이 점차 줄어가는 상황이었다.

○ 이번 태지의 복원은 우리나라 한지의 다양성을 회복하는 첫걸음이며 한지의 저변확대 유도와 관련 산업 활성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 현재까지 알려진 태지 유물은 주로 상류 계층 간에 주고받던 서찰이며 백색 바탕의 종이에 가느다란 녹색 실무늬처럼 더해진 태의 아름다운 장식미로 인해 그 가치가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태지의 우수성은 해외까지 알려져 일본, 중국, 미국에서도 태지를 각종 서적에 소개하였다. 세계적 종이연구가 다드헌터(Dard Hunter)는 1933년 태지를 수집한 후 “태지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제조된 종이 중 최고다”라며 칭송했다.

○ 또한, 우리나라 한지 관련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 총 24곳에 한지종의 복원 우선순위 조사 결과 태지의 복원요청 수요가 가장 높았을 만큼 태지의 가치가 현대까지 잊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최근 몇 년간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문화강국에서 자국의 문화재 복원에 한지를 사용하면서 한지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증명된 바 있다”고 말하며 “이번 태지 복원이 우리나라의 우수문화를 되살리고 한지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