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조달청]올해 대형사업 총 3,078건, 31조 3천억 원 입찰

btn_textview.gif

올해 대형사업 총 3,078건, 31조 3천억 원 입찰


□ 12월에는 대형사업 총 187건, 2조 1천억 원 상당 입찰 예정
 ① (공사/58건 1조5,222억원) 주요 사업으로 제2매립장(1단계) 조성사업 건설공사1,143억원를 비롯해, 산재전문 공공병원(울산) 건립공사, 진주시 노후정수장 정비사업 등 발주
 ② (물품/41건 1,514억원) 주요 사업으로 다목적 중형 소방헬기 구매229억원 입찰을 비롯해, 투표지분류기 제작, IBK 하남데이터센터 신축공사 관급자재(수배전반) 구매 등 추진
 ③ (용역/88건 4,267억원) '23년 국세행정시스템 엔티스 운영 및 유지관리사업307억원 입찰예정, 2023년 자치단체 공통기반 및 재해복구시스템 유지관리, 소방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 등 추진


□ 조달청(청장 이종욱)은 올해 총 3,078건, 31조 2,737억 원 상당의  대형사업(물품·용역 10억 원, 공사 100억 원 이상) 경쟁입찰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전년도 대형사업 입찰 3,044건, 24조 6,494억 원 대비 6조 6,243천억 원(26.9%)이 증가한 수준이다.
 ○ 공사는 412건, 13조8,907천억 원을 입찰하였으며, 지난해 10조9,021천억 원 대비 2조9,886억 원(27.4%)이 증가했다.
 ○ 물품은 1,070건, 10조 8,907억 원을 입찰하였으며, 지난해 8조 2,504억 원 대비 2조6,403억 원(32%)이 증가했다.
 ○ 용역은 1,596건, 6조 4,923억 원 상당의 입찰하였으며, 지난해 5조 4,969억 원 대비 9,954억 원(18.1%)이 증가했다.


□ 올해 입찰금액을 월별로 분석해 보면 월평균 입찰 금액은 2조 6,061억 원이었으며, 가장 많은 달은 8월(5조820억 원, 연간대비 16.3%)과 4월(4조8,865억 원, 연간대비 15.6%) 이었고, 가장 적은 달은 2월(1조2,233억 원, 연간대비 3.9%)과 7월(1조4,691억 원, 연간대비 4.7%)이었다.
 ○ 공사는 월평균 입찰 금액은 1조1,575억 원이었으며,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 등이 발주된 8월(2조8,329억 원, 20.4%)을 비롯해 11월(1조6,594억 원, 11.9%)에 입찰 금액이 집중되었으며, 5월(4,923억 원, 3.5%)과 7월(5,073억 원, 3.7%)이 입찰 금액이 적었다.
 ○ 물품은 월평균 입찰 금액은 9,076억 원이었으며, '철근 단가계약' 등이 발주된 4월(3조4,312억 원, 31.5%)과 '국방부 항공유 단가계약' 등이 발주된 8월(1조9,076억 원, 17.5%)이 공고 금액이 가장 많았고, 2월(1,498억 원, 1.4%)과 12월(1,514억 원, 1.4%)이 가장 적었다.
 ○ 용역은 월평균 공고 금액은 5,410억 원이었으며, 차기 복권수탁사업자 선정 등이 공고된 11월(1조2,644억 원, 19.5%)과 차세대 지능형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구축사업 등이 발주된 5월(8,027억 원, 12.4%)이 입찰 금액이 가장 많았고, 7월(2,545억 원, 3.9%)과 8월(3,415억 원, 5.3%)이 가장 적었다.


□ 올해 입찰한 주요한 대형 사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 (공사) '22년 발주된 대형공사 가운데 생활 밀접성이 높은 사업으로 동부간선 지하화(영동대로) 건설공사(3,639억 원, 8월), 비산포일 통합정수장 현대화사업(1,084억 원, 7월), 국립암센터 본관동 리모델링공사(950억 원, 2월) 등이 주목을 받았다.
 ○ (물품) 금액이 가장 큰 사업으로는 철근 단가계약(2조 7천 991억 원, 4월) 이었으며, 눈길을 끄는 사업으로는 2023~2025학년도 국정도서 발행자 선정(3,241억 원, 9월) 사업, 2022년 신규 비축 보건마스크(KF-94) 구매(138억 원, 9월/11월) 등이 있다.
 ○ (용역) 차기 복권수탁사업자 선정(3,850억원, 11월)과 정보화용역으로 추진된 차세대 지능형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구축사업(1,657억원, 5월) 및 4세대 지능형 나이스 인프라 2단계 사업(1,274억원, 4월) 등이 주요 대형 사업이었다.
    ※ 올해 입찰한 분야별 주요 사업 내역은 [붙임2] 참조


【 12월 대형사업 입찰 예정 현황 】

□ 12월 한 달 동안은 총 187건, 2조 1천억 원 상당의 대형사업(물품·용역 10억 원, 공사 100억 원 이상) 경쟁입찰 공고를 추진한다.
 ○ 이 가운데 신규 공고는 171건, 1조6,652억원, 이월공고는 16건, 4,370억원 규모의 사업이 공고될 예정이다. 
 ○ 주요 신규 사업으로, 공사는 대전도시공사 수요 '제2매립장(1단계) 조성사업 건설공사' 등 46건, 1조1,090억 원 상당의 사업이 입찰을 앞두고 있으며,
   - 물품은 충청남도 수요 '119특수대응단 다목적 중형 소방헬기 구매' 등 39건, 1,368억 원, 용역은 ''23년 국세행정시스템 엔티스 운영 및 유지관리사업' 등 86건, 4,175억 원 규모의 계약을 추진한다.
 ○ 12월 공고 예정 물량(금액 기준)은 11월에 공고된 물량에 비해 36% 감소, 전년 동기('21.12월) 대비 13% 감소된 수준으로 '차량용 및 소규모 저장시설용 유류공동구매('21.12월, 7,057억 원)' 등 대형 사업 감소가 주요원인으로 분석 된다.


□ 12월 공고예정 분야별 주요 사업 내역은 다음과 같다.


1 공사
 ① 제2매립장(1단계) 조성사업 건설공사(대전도시공사 수요, 1,143억원, 공사기간 1,026일)
  ○ 대전광역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이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매립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종합평가제'로 추진된다.
  ○ 처리용량 5,977천㎥의 매립시설과 400㎥/일(유량조정조 12,000㎥ 포함)의 침출수처리시설을 비롯해 침출수 이송관로 1.5㎞, 진입도로 380m(2차로), 관리시설 등이 조성된다.  

 ② 산재전문 공공병원(울산) 건립공사(건축)(근로복지공단본부 수요, 880억 원, 공사기간 1,080일)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12-11번지 일원(태화강변 공공주택 지구 내)에 연면적 47,962㎡, 지하 2층~지상 8층,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으로 건립되며, '종합심사제'로 진행된다.   
  ○ 산재전문 공공병원은 1~7급 중증장애 예상자에 대한 전문재활치료 및 사회복귀 지원, 직업병 인정기준 마련, 재활보조기구 개발, 지역거점 산재병원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③ 진주시 노후정수장 정비사업(경상남도 진주시 맑은물사업소 수요, 414억 원, 공사기간 1,095일)
  ○ 진주시가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종합평가제'를 통해 낙찰자를 선정한다.
  ○ 진주시 판문동, 평거동 일원에서 제2정수장 개량(140,000㎥/일) 및 증설(35,000㎥/일), 판문1배수지 증설(3,000㎥/일), 도수관로 확장(0.6㎞), 송수관로 신설(2.35㎞) 등의 공사가 진행된다.  


2 물품
 ① 다목적 중형 소방헬기 구매(충청남도 119특수대응단 수요, 229억원)
  ○ 화재진압·구조·구급과 재난·재해예방 등을 위하여 충청남도 소방에서 사용되는 소방헬리콥터 구입사업이다.
  ○ 소방업무 수행에 필요한 성능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입찰방식은 '규격·가격동시입찰'로 진행될 예정이다.
[규격·가격동시입찰] 규격서와 가격입찰서를 동시에 제출받고, 1차 규격입찰서를 개봉, 평가하여 적격자를 선정한 후, 입찰집행관이 보관하고 있는 규격입찰서 적격자의 가격입찰서를 개봉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국가계약법시행령 18조]

 ② 투표지분류기 제작(중앙선거관리위원회 수요, 137억원)
  ○신뢰성·정확성 향상 및 안정적 개표사무 수행을 위해 노후화된 투표지 분류기를 교체 제작(1,381대)하는 사업이다.
  ○정확성·안정성·편의성 확보 및 기존 보안체계와 호환되는 운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장비로, 기술이 검증된 사업자 선정을 위해 입찰방식은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협상에 의한 계약] 계약이행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물품·용역에 대하여 다수의 입찰자로부터 제안서와 가격입찰서를 제출받아 평가한 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협상절차를 거쳐 국가에 가장 유리하다고 인정되는 자를 낙찰자로 선정[국가계약법시행령 제43조]

 ③ IBK 하남데이터센터 신축공사 관급자재 구매(수배전반)(중소기업은행 수요, 133억원)
  ○ IBK 하남데이터센터 신축공사에 필요한 수배전반을 구매하는 것으로, 최근 5년 이내 단일계약 건으로 40억 원 이상 '수배전반'을 제조·설치 후 납품완료 한 실적을 보유한 업체로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하며,
  ○ 중소기업자간 경쟁 제품으로, 계약방법은 '계약이행능력심사'로 진행될 예정이다.
[계약이행능력심사]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에 대하여 중소기업자만을 대상으로 예정가격 이하로서 최저가(낙찰하한율 이상)로 입찰한 자 순으로 계약이행실적, 기술능력, 경영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낙찰자를 결정[국가계약법 시행령 제42조,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

 ④ 산림생물반응 연구시설 기상조절온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73억원)
  ○ 본 사업은 식물의 육성 및 동해시험이 가능한 광범위의 환경제어장치로 사계절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환경조절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시험연구를 하는 장비구매 사업이다.
  ○ 특수한 기술과 장비가 요구되는 사업인 점을 고려, 계약방법은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3 용역
 ① '23년 국세행정시스템 엔티스 운영 및 유지관리사업(국세청 수요, 307억원)
  ○ 연말정산간소화, 전자세금계산서 등 국세행정의 대민 서비스와 국세공무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국세행정시스템 엔티스의 '23년 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으로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추진된다. 
  ○ 세법 변경 및 세정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 개선사항 반영, 납세자 편의를 위한 기능 개선과 장애 예방활동 등이 주요 과업이다. 

 ② 2023년 자치단체 공통기반 및 재해복구시스템 유지관리(한국지역정보개발원 수요, 245억원)
  ○ 245개 자치단체가 사용하는 공통기반 행정업무시스템과 재해복구시스템의 유지관리를 통해 행정서비스 향상과 재난·재해 시 신속한 업무 재개로 민원행정 업무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 공통기반 및 재해복구시스템의 운영과 유지관리, 정기적 장애 예방활동과 위탁 전산장비의 성능점검과 관리시스템 개선 등이 주요과업으로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된다.

 ③ 소방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수요, 217억원)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정보통신망 인프라 서비스의 차기 사업자 선정 사업으로 '23년 8월까지 인프라구축 및 서비스 이용기간이 2028년 8월까지 5년간 진행되는 장기계속 사업이다.   
  ○ 소방행정 업무 데이터량 증가 등에 따른 전송 대역폭 증설, 통신망 구성 효율화와 신속한 관제 및 장애 처리기능 강화 등이 주요과업으로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된다. 

 ④ 2023년 경찰차량 위탁관리사업(경찰청 수요, 142억원)
  ○ 경찰차량의 점검과 정비이력 등 통합관리를 통해 최적의 치안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경찰차량 위탁관리 용역으로,
  ○ 정기적인 차량점검과 정비,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구축과 관리 및 콜센터 운영 등 업무를 수행하며, '협상계약'으로 진행된다.  


□ 자세한 입찰진행 현황은 나라장터(www.g2b.go.kr)에 접속하면 '입찰정보 → 계약진행현황 → 조달청 계약요청 및 진행현황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조달청 12월 대형사업 경쟁입찰 공고 예정 내역
            2. 올해 입찰한 분야별 주요 사업 내역


* 문의: 시설총괄과 이경달 사무관(042-724-7585), 구매총괄과 조창우 사무관(042-724-7232), 기술서비스총괄과 박새라 사무관(042-724-7133)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