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386 세대유감] 386세대가 꿈꾸던 공정, 평등, 정의 사회

386세대유감_500 (1).jpg

?

386세대유감_500 (2).jpg

?

386세대유감_500 (3).jpg

?

386세대유감_500 (4).jpg

?

?

386세대유감_500 (5).jpg

?

386세대유감_500 (6).jpg

?

386세대유감_500 (7).jpg

?

386세대유감_500 (8).jpg

?

386세대유감_500 (9).jpg

?

386세대유감_500 (10).jpg

?

386세대유감_500 (11).jpg

?

386세대유감_500 (12).jpg

?

?

?

?

?

“올 것이 온 걸까?” 경제학자 우석훈은 이 책의 해제에서 예고된 시간이 도래한 듯 글을 시작한다. 386세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봇물 터진 듯 나온다. IMF 경제위기 당시 한국의 전체 실업률보다 훨씬 높은 실업률을 견디며 월급 88만원의 비정규직 인생을 사는 청년세대의 분노는 이제 암울한 대한민국을 만든 기성세대를 향하고 있다. “우리 때는 말이야”라는 명대사로 시작되는 그들의 찬란한 과거가 더 이상 자신들의 것이 될 수 없음을 알기에, 젊은 사람들은 왜 우리를 낳았느냐고, 왜 세상이 이 모양이냐고 기성세대에게 묻기 시작했다. 그들의 손가락은 기성세대 중에서도 ‘핵인싸’ 386세대를 가리킨다. 1960년생이 정년을 1년 남긴 2019년, 정년연장 논의가 스멀스멀 나오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

?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사회 전 방면에 걸쳐 386세대의 공과 과를 본격적으로 해부한 사회비평서. 20대에 민주화운동을 이끌었고, 그 후광으로 30대에 정계에 진출했으며, IMF의 파고 덕분에 윗세대가 사라진 직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굳히고, 40대에 고임금과 부동산으로 빠르게 중산층으로 진입하고, 자신들만의 끈끈한 네트워크로 오랫동안 대한민국을 이끌어온 386세대. 이 유례없는 장기집권 과정에서 386세대가 자신들이 꿈꿨던 평등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었는지, 앞으로도 이들에게 우리 사회의 지휘권을 맡겨도 될 것인지를 묻는다. 50대가 된 386세대에게는 자신들이 걸어온 40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기성세대의 역할을 고민하게 해주며, 20~30대 청년세대에게는 불공정하고 불평등한 헬조선의 연원을 찾게 해준다. 지은이는 언론계과 학계,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3명의 젊은 세대로, 김정훈 CBS 기자, 심나리 서울대 박사과정 연구자, 김항기 국회의원 비서관이 공동 집필했다. 『88만원 세대』 의 공저자인 경제학자 우석훈의 해제 글도 수록되었다.


?

76595183?

386 세대유감김정훈, 심나리, 김항기 저 | 웅진지식하우스
50대가 된 386세대에게는 자신들이 걸어온 40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기성세대의 역할을 고민하게 해주며, 20~30대 청년세대에게는 불공정하고 불평등한 헬조선의 연원을 찾게 해준다.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

?



추천기사
  • 채널예스 기사 제목 [행복의 품격] 행복하고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심리학 수업
  • 채널예스 기사 제목 [타이탄] 실리콘밸리 거물 4인의 거침없는 도전과 경쟁, 그리고 놀라운 혁신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아기발달백과] 아기의 발달특성에 따라 육아법도 각각 달라진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