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 식습관 등으로 인한 높은 성인병 보유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심 높음 -

- 기능성 제품 중심으로 수요가 높음 -

?

?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관련?정부 동향


ㅇ 말레이시아는 동남아 국가중 1위의 비만과 당뇨 유병률(20-79세 인구 중 16%)을 기록하고 있음


?ㅇ 말레이시아 정부가 운영하는 의료시설은 무료이나 이용을 위해서는 장기간 대기해야하고, 사설의료시설은 진료비가 비싸?클리닉 혹은 건강보조식품을 통해 건강관리를?하려는 경향이?있음?


ㅇ?성인병 관리를 위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대책 중에는?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지원도 있음


ㅇ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8년 국가예산의 10.4% 67억 달러를 공공보건에 투입하였고, 이 중 10억 달러는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지원임

?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관련 민간 동향


ㅇ MADSA(Malaysian Dietary Supplement Association)은 말레이시아의 건강보조식품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22억 링깃 규모(약 5.5억 달러)이며 상승 추세라고 발표함


?MADSA는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건강보조식품 이용율 개선 등 보건복지 증진에 주력할 예정임
?

ㅇ MADSA의 회장 Muthu Shanmunghom은 영양보충제 등과 같은 예방적 보건의 활성화가 국민 복지증진에 중요하다고 언급함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수입 동향


ㅇ 말레이시아에서 건강보조제품은 주로 비타민, 미네랄, 허브, 식사 보충제품, 스포츠 영양보충제품, 유기농 제품 등이 있음


ㅇ 2018년 미국 International Trade Adiministr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제품이?26.1% 1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스위스(23%), 태국(14.7%), 독일(7.1%), 미국(5.7%)순으로 조사됨


ㅇ 유기농 및 자연식 건강보조식품은 아직 시장규모가 작으나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으로, 무슬림 인구의 할랄/채식제품 선호로 인해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


ㅇ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수입은 주로 완성품?형태이나, 최근 현지 수입상들은 해외 제조사와 협력하여 별도의?OEM 브랜드 제품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도 있음

?

?<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수출입통계 (단위 : 천 달러) >

??????????????????????????????????? 출처 :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소비 동향


ㅇ 말레이시아는 높은 성인병 보유율로 인해 건강보조식품을 통한 건강 개선에 관심이 많음


ㅇ 중산층부터는 교육 등으로 인해 자기 건강에 관심이 많아 헬스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건강보조식품 등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ㅇ 관련 업계에 종사중인 A씨에 따르면, 소득이 높은 중상류층 중심으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에 맞춰?시장에는 많은 종류의 건강보조식품이 출시되고 있음


ㅇ 특히 유기농, 스포츠, 남성건강, 다이어트, 모발관련 제품이 인기가 많으며, 여러가지 성분을 혼합한 제제에 대한 선호가 높음


ㅇ MADSA에 의하면, 성장세가 가장 큰 보조식품 분야는 인지/정신건강/기분조절(17.9%)이며, 그 뒤를 이어 노화방지 및 미용(7.1%), 소화개선(6.3%) 등인 것으로 발표됨

?

< 건강보조식품 분야별 성장 추이 >

????????????????????????????????????? 출처 : Malaysian Dietary Supplement Association

?


?시사점


? ㅇ 말레이시아는?소득증가 인해?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시,?등산, 사이클링 등 건강관련 동호회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관련 장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건강보조식품 시장도 현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ㅇ?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인이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이 시간, 비용 측면에서 용이하지 않아 건강보조 식품에 의한 대한 의존도가 높아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기능성 제품 중심으로 타 제품과의 차별점 등을 적극적으로 부각시킬 필요가 있슴.?예를 들면,??한국의 인삼(홍삼)은 일부 중국인들과 고연령층에는 인지도가 높고 인기가 있으나? 말레이계에게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음


? ㅇ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에서 생활수준이?높은 나라중의 하나이며 새로운 서비스 및 제품에 상대적으로 개방적이지만 소비 형태는 매우 신중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다양한 채널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함



자료원 : International Trade Adiministration,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Malaysian Dietary Supplement Association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