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중국에 부는 라면 열풍, 라면 전문식당도 유행

- 중국 내 수입 라면 수요 지속 증가 -

- ‘즉석 식품‘1인 식사트렌드, 새로운 기회로 떠올라 -




□?중국 라면시장 황금시대진입


전 세계 라면시장 판매량 40% 차지

- 2019 9월 말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WINA)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 세계 라면 판매량은 약 1036억 개, 하루 평균 소비량은 2 8천만 개임.

- 중국(홍콩 포함)의 연간 판매량은 402 5천만 개로 전체 38.9%를 차지해 세계 최대 라면시장임. 2위인 인도네시아의 3배에 해당

- 전 세계 라면 판매량 상위 15개국 중 10개국이 아시아 국가임.

-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 1위는 한국(74.6)이며, 2위와 3위는 각각 베트남(53.9), 네팔(53), 주로 아침?저녁 식사 대용임.

?

전 세계?라면 판매량 TOP15 국가

자료원세계라면협회(WINA)

?

중국 라면의 경쟁대상인 음식배달업

- 현재 중국에서 인기몰이 중인 라면은 2014~2016년 당시 어러머(??)’, ‘메이퇀( ?)’ 등 각종 와이마이(음식배달) 플랫폼의 등장으로 판매량이 감소 추세였음.

- 와이마이 플랫폼을 통한 배달 음식 비용이 라면 한 그릇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와이마이는 가격 우위로 시장을 장악했으며 한때 10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함. 2014~2016년 라면 연간 판매량은 444억 개에서 385억 개로 대폭 감소

- 2017년부터 와이마이 플랫폼의 보조금 및 판촉이 약화되고 식품안전 등의 문제로 와이마이 열풍이 잦아들기 시작함. 대신 다양한 종류와 맛으로 한층 업그레이드된 인스턴트 식품 라면이 다시 인기를 끌기 시작함.

- 2015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던 중국의 라면 매출은 2017년과 2018년 각각 전년 동기대비 3.6%, 8% 상승해 다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함.

?

라면 기업, ‘혁신’을 자구책으로 돌파

- 최근 중국 라면 기업들은 다양한 종류, 고급화, 소포장 트렌드에 맞춰 제품을 출시 중임.

- 2016년 퉁이(?)라면은 29.9위안의 고급 라면 제품 만한옌(??)’탕달인(??)’을 출시함. 캉스푸(?)라면도 진탕(?)’ 시리즈,? 장탕(?)’ 시리즈, ‘흑백후추면(黑白胡椒面)’ 등 독특한 신제품 출시.

- 라면 제품 혁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긍정적임. 베이징상바오(北京商?)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최근 라면 제품들이 3년 전과 비교해 (40% 이상)’, ‘고급화( 30%)’, ‘포장( 20%)’ 면에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응답함.

?

?프리미엄 라면이 시장 성장 동력


매출 상승의 주 요인인 프리미엄 제품

- 시장조사 연구기관인 칸타르(Kantar) 컨설팅에 따르면 중국 중산층(월소득 9천 위안 이상)의 라면에 대한 수요가 반등해 2018 19% 늘어났고, 이들을 겨냥한 신제품이 출시됨. 중국 전체 도시 가구의 31%가 프리미엄 라면 제품을 구입했고, 1063만 가구의 신 소비자가 생김.

- 프리미엄 라면 제품 비중도 지속 상승 중임. 캉스푸 고급 봉지라면의 2019년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4.8% 상승했고, 용기 라면은 7% 상승함. 고급 봉지라면과 용기라면이 상반기 매출의 88% 이상 차지

- 반면 중저가형 봉지라면과 간추이면(干脆面, 중국판 뿌셔뿌셔)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2.3%, 24% 하락함.

?

???????????????????????????? 프리미엄 라면 성장 속도???????????????????????? ??????????? ????????????????? 라면 판매 실적

?

자료원 : WIND


수입산 라면 수요 증가

- 중국 라면업계 TOP2 기업인 캉스푸와 퉁이의 실적이 하락했으나 동기간 닛신(Nissin), 농심 등 수입산 라면들이 중국에 진출함. 2014~2018, 중국 수입산 라면 수입액은 8386만 달러에서 2 4000만 달러로 1.4배 증가했으며, 2019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대비 13% 증가함.

- 한국이 수입대상국 중 최대 수혜자로, 2014~2018년 중국의 대한(對韓) 라면 수입액은 1515만 달러에서 1억 달러로 5.6배 증가했으며, 그 중 2016년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109%에 달함.?2018년에는 중국 내 수입산 라면 비중 1(50%)를 차지함. 이는 2위인 대만의 3배에 달하는 비중임.

?

마케팅 기법도 업그레이드

- 제품 혁신 외에도 마케팅 기법 또한 한층 업그레이드됨. 주요 라면 브랜드들은 오프라인 매장 의존도를 줄이고, 온라인 마케팅과 홍보에 주력 중임.

- 제일금융상업데이터센터(第一????据中心)가 발표한 온라인 라면 소비 연구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라면 소비는 2017년에 전년 대비 2배 증가함.

- ‘2019 타오바오 미식가(?) 빅데이터 보고서통계에 따르면, 인스턴트 라면의 소비량과 구매력이 온라인 식품 세분화 품목에서 처음으로 상위 5위 안에 랭크됨.

- ‘왕홍(중국 내 인플루언서 및 인기스타) 효과는 소비자들을 다양한 제품 종류와 먹는 방식에 도전하도록 유도하고 있음. 2017년 한국 예능 프로그램이 중국 내 인기를 끌면서 불닭볶음면도 중국 젊은이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며 왕홍 식품으로 부상함. 삼양라면 제품은 타오바오 판매량 상위 10위권에 들어, 한 달에 약 180만 봉지씩 판매되고 있음.

?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