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홍콩 색조 화장품 트렌드

- 색조 화장품 시장의 일등공신 ‘립 제품’, 그 이유는?? ?

- 바쁜 라이프스타일의 홍콩 소비자는 멀티 기능의 뷰티 제품을 찾는다 ?

-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하는 의류·신발과 달리, 색조 화장품은 매장형이 점차 확대 -

?

?

?

*본 보고서에서 색조 화장품은 스킨케어 제품과는 별개로, 눈 화장용 제품류(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 아이브로우), 얼굴 화장용 제품류(BB/CC크림, 블러셔, 파운데이션), 입술 화장용 제품류(립글로스, 립스틱)로 한정함.

?

□ 주요 화장품 용어 설명


눈 화장용 제품

아이라이너

선명하고 또렷한 눈매를 연출하기 위해 눈 주위에 선을 그림

마스카라

속눈썹을 길고 두껍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칠함

아이섀도

위 눈꺼풀에 칠하여 눈매를 돋보이게 함.

아이브로우

눈썹의 빈 부분을 메우기 위해 눈썹 결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려 또렷한 인상을 만들어줌

얼굴 화장용 제품

BB크림

- 수분 공급을 포함한 피부결 개선, 안티에이징 기능을 하면서 자외선 차단과 피부톤을 밝게 해주는 커버력까지 갖춘 크림.

- (유래) 상처 치유 크림(Blemish Balm)의 줄임말로 1950년대 독일에서 치료로 인해 빨갛게 된 피부를 진정시키기 위한 연고로 개발됨. 이후 2006년 한국 브랜드인 스킨79’가 최초로 메이크업 기능이 강화된 BB크림으로 보완해 개발함.

CC크림

기초 스킨케어와 동시에 얼굴톤을 밝게 보정해주고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선크림을 따로 바르지 않아도 됨. BB크림에 비해 잡티보정이 약하지만 촉촉하고 건강한 피부톤을 연출함. ?

블러셔(볼터치)

건강하고 아름다운 얼굴색과 매력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하여 볼에 바름

파운데이션

얼굴 전체에 발라 기미, 주근깨, 모공 등을 덮어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함.

입술 화장용 제품

립글로스

입술에 영양과 윤기를 주는 화장품으로 립스틱 위에 바르거나 직접 바름.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 ‘청신호

?

? 2018년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규모 48억 홍콩달러

??? - 2018년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9% 상승하여 48억 홍콩달러(6 1000만 미국달러)를 기록함.

??? -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은 ①중국-홍콩의 교통 통합 및 인적 교류 확대에 따른?홍콩 방문 중국인 관광객 증가 ②홍콩의 소비자신뢰지수 회복* ③다양한 텍스처의 립 제품 출시로 더욱 성장하여, 2023년에는 74억 홍콩달러(9억 미국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 2013~2018년 색조 화장품 품목별 매출액 추이에 따르면, 얼굴 화장용 제품 규모는 다른 색조 화장품에 비해?월등하게 높음. 2018년 눈·얼굴·입술 화장품의 매출액은 각각 86820만 홍콩달러(1 1000만 미국달러), 251240만 홍콩달러(3 2000만 미국달러), 129830만 달러(1 6600만 미국달러)를 기록함.

?

* 소비자신뢰지수(consumer confidence): 경제 전반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현재와 미래의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을 통계적으로 나타낸 척도

* 2013~2016년 홍콩 경제 부진으로 소비가 3.5% 위축되었지만 이후 경제 전망이 양호해지면서 2016~2017년 소비가 4.7% 상승하고 소비자신뢰지수가 회복됨.

?

2013~2018년 색조 화장품 품목별 매출액

(단위: 백만 홍콩달러)

자료: 유로모니터

?

□ 홍콩 사람들이 좋아하는 뷰티 브랜드는?

?

? 로레알과 에스티로더의 합계 시장점유율 36%

??? - 로레알은 입생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메이블린, 랑콤, 슈에무라 등 유명 화장품 브랜드의 모기업으로, 2018년 홍콩 색조 화장품 시장점유율에서 20.9%를 기록함. 2위인 에스티로더는 15.1%를 차지했고, 상위 두 기업의 합계 점유율이?36%에 달함.?3위는 한국 대표 화장품 브랜드인 아모레퍼시픽(설화수,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헤라, 아이오페의 모기업)으로 8.4%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

2013~2018년 홍콩 색조 화장품 주요 브랜드 시장점유율

(단위:%)

순위

주요 브랜드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1

로레알

19.4

20.1

19.6

19.6

20.2

20.9

2

에스티로더

16.0

15.7

14.5

14.4

14.8

15.1

3

아모레퍼시픽

5.7

6.4

8.1

8.7

8.6

8.4

4

시세이도

8.1

7.8

7.7

7.9

7.6

7.4

5

크리스챤 디올

3.8

3.6

3.6

3.6

3.7

3.7

6

샤넬

3.6

3.5

3.6

3.6

3.6

3.5

7

고세

2.1

2.0

2.0

2.0

1.9

1.8

8

프록터 앤드갬블

0.2

0.2

0.2

1.1

1.1

1.0

9

가네보

1.2

1.2

1.1

1.0

0.9

0.8

10

레브론

1.6

1.4

1.3

1.1

0.8

0.8

자료: 유로모니터, 각 브랜드 홈페이지

?

홍콩 색조 화장품 시장의 성장동력은?

?

? ○ 립 제품이?색조 화장품 중 시장 잠재성 가장 높아

??? - 2017년 대비 2018년 홍콩의 색조 화장품 시장성장률에 따르면, 눈 화장용 제품은 4.5%, 얼굴 화장용 제품은 10.4%, 입술 화장용 제품은 14.7%로 모두 호조세를 이어감.

??? - 그 중에서도 2013년 대비 2018년 입술 화장용 제품의 매출액 성장률은 64.1%, 색조 화장품 중 시장 잠재성이 가장 높아 색조 화장품의 성장을 이끌고 있음.

?

홍콩 색조 화장품 종류별 시장성장률

(단위: %)

?

2017년 대비
2018년 성장률

2013~2018
연평균 성장률

2013년 대비
2018년 성장률

눈 화장용 제품

4.5

4.5

24.5

얼굴 화장용 제품

8.0

6.4

36.1

입술 화장용 제품

14.7

10.4

64.1

자료: 유로모니터

?

? 다양한 텍스처(마무리감)의 립 제품 출시

??? - 현대 소비자가 립 제품을 구매할 때 ‘텍스처를 발색만큼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함. 이에 각 화장품 기업은 매트 립스틱, 시어 립스틱, 촉촉한 립밤, 립래커 등 다양한 텍스처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는 색조 화장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으로 이어짐.

???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다른 아시아권과 더불어 홍콩에서는 진하고 파격적인 색상의 립 제품이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함.

??? - 또한 홍콩 소비자에게 선명하고 건조한 마무리감이 특징인?'매트(matte) 립스틱'이 비교적 주목 받지 못함. 홍콩 입생로랑 직원 Cheung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홍콩에서는 촉촉한 크림(cream)이나 크림과 매트함의?중간 정도인 사틴(satin) 마무리감이 비교적 인기를 끌고 있음. 그 외에도 페이턴트(Patent), 실크(Silk), 벨벳(Velvet) 등 여러 텍스처의 제품이 출시되었음.

???? - 고급 화장품 브랜드에서도 여러 텍스처의 립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샤넬 Rouge Allure Velvet Extreme과 톰포드 Patent Lip Lacquer이 대표적인 예임.??

?

여러 텍스처의 립 제품 특징 비교

텍스처

특징

주요 브랜드
및 제품명

사진

매트
(matte)

밀착력을 높여 입술을 지나치게 건조하게 만들지 않으면서도 선명하게 발색되는 것이 특징임. 광택이나 촉촉함이 낮아 색깔이 오래 지속됨.

슈에무라

? ‘루즈언리미티드 슈프림마뜨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