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사례로 보는 중국 뷰티디바이스 시장 공략법

- 다양한 채널 통해 제품의 사용법 꼼꼼히 설명 -

- 정확한 시장 포지셔닝과 경쟁력 강화에 주력 필요 -

 

 

 

외모 중심의 '옌즈(顔値)'경제가 중국 소비시장의 트렌드로 부상하며 뷰티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홈 뷰티가 집콕시대의 대세로 떠오르며 뷰티디바이스 시장은 올해도 고속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둔화세를 보이던 뷰티디바이스 온라인 소비 증가율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광군제(光棍節, 1111)' 쇼핑축제를 앞두고 일부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이 재조명되고 있다.

* 뷰티디바이스 온라인 매출 증가율 다시 25%로 반등하며 매출액 200억 돌파 전망

 

중국 뷰티디바이스 온라인 매출

 

자료: wind

 


'옌즈(顔値)'경제란?


얼굴을 뜻하는 '()'과 가치/수준을 의미하는 '()'의 합성어로 화장품, 뷰티 디바이스, 미용, 성형 등 소비에 따른 경제효과를 뜻한다. 현지 IT전문조사기관 Mob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옌즈경제'에 관심을 갖고 온라인 쇼핑몰, SNS를 활용해 관련 정보를 조사, 회득하며 소비활동을 하는 중국 네티즌 수 3.6억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중국 옌즈경제에 관심 갖는 네티즌 수 추이



 자료 : Mob 연구원

 

사례 1. 야만 : 사용법을 꼼꼼히 설명하고 전문가 통해 효과 홍보

 

일본 야만(YA-MAN, 雅萌)은 우수한 제품, SNS 마케팅을 내세워 가장 대표적인 외국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미용/피부 관리 선치(神器, 신기)'로 불린다. 야만의 중국시장 공략법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 선치: 효능이나 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기물, 첨단 과학기술제품을 일컫는 유행어

 

첫 번째는 우수한 제품력이다. 중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뷰티디바이스 중 4천 위안대의 야만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분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7~2020.6월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몰의 뷰티디바이스 부문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그 원인은 고성능 뷰티 디바이스로서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로컬 제품보다 가격은 10~20배 높지만 그만큼 효과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최근 1(2019.7~2020.6) 티몰 뷰티디바이스 매출 TOP 제품 및 그 평균가격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