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日, 코로나 속 ‘만남’의 신풍속 소셜데이팅앱의 부상

- 일본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 시장규모는 2019년 510억엔 -
- 긴급사태선언 이후 20・30대를 중심으로 소셜데이팅 앱 사용 증가 –
- 시장 성장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 불건전 이용자 배제, 매칭율 향상 알고리즘 개발 수요 증가 전망 -
 



日 소셜 데이팅 앱 시장, 2025년까지 우상향 성장세 전망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는 상황임에, 일본에서는 소셜데이팅 사용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에서는 온라인 소셜데이팅 앱을 활용하여 콘카츠(婚活연인이나 결혼상대를 물색하는 일)’를 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소셜데이팅 앱의 이용자 수는 올해 하절기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App Ape 따르면, Pairs, Tapple, Tinder, With, Omiai 주요 소셜데이팅앱 사용자는 6~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0 10 기준 중복설치를 포함한 전체 설치자는 295만 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日 주요 데이팅앱 월별 설치자 현황(누적)

(단위: 명)

external_image

자료: App Ape 자료를 KOTRA 후쿠오카 무역관이 정리


성별・연령대별 이용자 비율(`20.10 기준, 상단 5개 앱 이용자 분포 평균)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 App Ape 자료를 KOTRA 후쿠오카 무역관이 정리


이러한 증가세를 뒷받침 해주듯, 관련 시장도 꾸준히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주요 소셜 데이팅 Tapple 운영하는 Matching Agent(이하 Tapple) 따르면, 2019 일본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 시장크기는 510억 엔 규모로, 2020년에는 620억엔, 2025년에는 1,060억 엔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일본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 시장규모
(2017-2025년, 단위: 억 엔)

external_image

자료: Tapple

 

이러한 시장규모 예측에 대해, 후쿠오카현 소재 SNS 개발사 L 관계자는 후쿠오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온라인 매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수용이 증가하고 있고, 운영측도 고객의 가입 증가 이용 촉진을 위해 홍보 규모를 늘리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는 보다 많은 고객이 소셜 데이팅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日 소셜데이팅 앱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변화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는 배경에는 소셜 데이팅앱 이용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이 변화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연애/결혼시장 정보조사 기업 Parasol이 일본 주요 매칭앱에 등록한 미혼남녀 1,2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가능하면 처음부터 직접 대면을 통한 만남을 선호한 반면, 코로나 발생 이후에는 처음에는 온라인으로 상대방을 알아가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온라인 앱 사용자들의 인식 변화모수 (1,299명, 원본)

external_image

 자료: Renai Konkatsu Labo(Parasol)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일본 내 데이트앱 개발사들도 영상 데이트 기능을 앞다투어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Pairs는 올해 3월부터 긴급사태선언이 시작되자 4월부터 자사 앱을 통해 영상으로 데이트할 수 있는 무료 기능을 추가하였다. Pairs의 이시바시 준야 대표는 4월 PR Times와의 인터뷰에서 '긴급사태 선언 속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관심있는 상대방과 메세지 기능을 이용하는 것보다 즐겁게 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고 답변하였다. 다른 온라인 어플들도 영상채팅 기능을 추가하거나 무료로 전환하여, 사회적 분위기와 이용자의 새로운 니즈에 맞춘 서비스를 선보였다.


긴급사태선언 이후 4월 Pairs에서 선보인 비디오 데이트 기능  

ビデオデートでマッチングしたお相手と家で会える、だからもっと会いたくなる | 【公式】Pairs(ペアーズ)

자료: Pairs


Tapple의 온라인 데이트 장려슬로건('거리는 멀게, 마음은 가깝게')

자료: Tapple



주요 데이팅앱과 경쟁동향


한편, 일본 소셜 데이팅앱 중 설치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주식회사 Eureka가 운영하는 Pairs로 나타났다. App Ape에 따르면 2020년 10월 기준 Pairs의 추정 설치 사용자 수는 약 103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매칭앱 Tinder가 약 70만 9천명으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어 Tapple, Omiai, With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앱 별 유저 이용현황

external_image

자료: App Ape 자료를 KOTRA 후쿠오카 무역관이 정리


불건전 사용자 차단, 개인정보 보호, 관심사에 따라 이용자를 분류・분석하는 기술 수요 증가 전망


데이팅 앱 이용자 수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앱 이용 안전이 취약한 여성 이용자의 안전 보장과 이용자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불건전 이용자'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Pairs과 Tapple의 경우, 첫 가입시 입력하는 정보 외에 2번째 인증 단계로 사진, 주소와 생년월일이 포함된 신분증 스캔, 얼굴사진 촬영 및 AI를 통한 분석 인증절차를 추가하였다. 2단계 인증절차까지 통과한 이용자는, 상대방이 자신을 확인할 때 본인확인이 완료된 이용자임을 알리는 마크가 표시되어 온라인 매칭에 대한 불안감을 일부 해소하고 있다.


본인 확인 절차. 신분증 촬영, 얼굴사진 촬영 인증을 거치면 자신의 프로필에 v표시가 뜬다.

 本人確認ステップ2

자료: Pairs


한편, 개개인의 취미・관심사・가치관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이를 이용해 상대방을 매칭하는 기술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지금도 대부분의 데이팅 앱은 이미 관심사 중심으로 개인 방송, 포스팅을 올릴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관심사 중심으로 인적 커뮤니티 형성 및 연인 물색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직접적인 만남을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가 생긴 만큼, 이러한 관심사를 통한 매칭율을 올리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 등에도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영상통화기능을 추가하여 앞서 설명한 첫 만남을 영상통화로 진행할 수 있게 하여 실제 코로나19 방역에도 기여하고 있다.

 

카테고리별로 관심사, 가치관, 취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비슷한 성향을 가진 상대방을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external_image

자료: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시사점


이렇듯 With 코로나 시대에는 인연을 찾는 일도 온라인화가 뉴노멀로 자리잡고 있다. 원래도 젊은 세대간에는 비대면 소통이 늘어나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비대면 사회가 본격화될수록 소셜데이팅앱은 접근성이나 편의성 면에서 2030세대들에게 효율적인 만남 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시장이 성장하면서 보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소셜데이팅앱이 새로 생겨나고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비대면 소통의 증가에 따라, 위에서 소개한 본인인증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AI 이미지 인식 기술, 사진도용확인 기술,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 솔루션의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Parasol, Tapple, Pairs, App Ape,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자료 종합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