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쿠바, 최신형 농기계 보급 확대로 농업생산력 강화 시도

- 쿠바, 최신형 농기계 보급 확대로 농업생산력 강화 시도 -

- 최근 일본, 베트남의 對쿠바 농업부문 투자 주목-

 

 

 

쿠바의 농산업 개요

 

쿠바 정부는 만성적인 외환부족 현상 및 고질적인 식량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부문을 국가 중장기 전략상 주요 기간산업으로 분류하고, 농업 생산력을 강화하기 위해 저비용 농업기술 개발 및 농기계 산업의 육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2000년부터 2005년간 유기 농작물 재배 및 1990년대 사용되던 구형 농기계 장비 도입을 계기로 쿠바의 농업생산 감소 추세가 잠시 호전되는 듯 보였으나, 절대적인 농기계 수량 부족 및 장비 노후화로 인해 2005년부터 현재까지 농업 생산 증가세는 둔화하고 있으며, 감귤류 및 감자와 같은 농산품의 연간 수확량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쿠바의 농기계 수입 및 보유 현황

 

현재 쿠바에서 사용되고 있는 농기계 장비의 상당수는 구소련 제품이며, 장비 노후화로 인해 향후 지속 가능한 농업생산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장비 수리 및 부품 교체, 그리고 최신형 농기계 장비의 도입이 긴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수 년간 지속된 쿠바의 경제위기로 말미암아 쿠바 정부는 외환 수급을 위해 관광업 분야 투자 유치에 몰두하였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쿠바 농산업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면서 2015년부터 쿠바의 농기계 장비 수입 규모가 크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쿠바의 농기계 장비 수입 감소 추세

단위: 천 달러

external_image

자료 : 쿠바 통계청(ONEi) / 트레이드맵(trademap.org)

 

또한 쿠바 정부가 외환 부족 및 경제난으로 인해 농기계의 품질보다 가격에 초점을 맞춰 저가 제품 위주의 수입 및 보급 정책을 펼치면서 2018년까지만 해도 중국 및 브라질産 제품이 쿠바 농기계 장비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2019년부터 쿠바 정부가 농업부문에 대한 투자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하면서 농기계 장비 수입량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과거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 및 브라질의 對쿠바 농기계 수출량이 축소되고, 독일 및 이탈리아 제품의 수출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이 쿠바 농민들의 품질 및 디자인 중시 성향, 최근 중국의 對쿠바 외교정책 변화 및 反쿠바 성향의 브라질 정부 출범 등 대내외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주요국의 對쿠바 농기계 수출 규모

단위: 천 달러

external_image

자료 : 트레이드맵(trademap.org)

 

한편, 농업공학연구소(IAgric)의 데이터에 따르면 쿠바에는 2018년 기준으로 트랙터 61,859대, 수확기 1,920대 등 농기계 총 63,779대가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동 연구소에 의하면 이 보급률은 노후 기계의 폐기량 대비 최신형 기계의 수입량이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수치상 큰 변동이 없다고 한다.

 

쿠바의 트랙터 및 수확기 보유 현황

단위: 수량()

구 분

2013

2014

2015

2016

트랙터

62,432

60,975

60,745

61,460

수확기

1,975

1,918

1,923

1,973

총 수량

64,407

62,893

62,668

63,433

자료 : 농업공학연구소(Iagric)

 

또한, 트랙터 및 수확기 제품 중 쿠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브랜드는 YUMZ(51%) 및 MTZ(23%)이며, 그 외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이 1959년 쿠바 혁명기 이전 생산된 구형 모델로서 사용기간이 50년을 초과하였다고 한다.

 

이 중 제초 및 파종 장비는 전체 보유량의 약 10%가 작동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수확 장비의 경우 약 39%의 고장 비율을 보이고 있어서 가장 교체가 시급한 농기계 장비로 파악된다.

 

쿠바 농기계 장비의 고장 비율

단위: 수량()

구 분

총 수량

작동

작동 비율

고장

고장 비율

제초 장비

51,582

46,512

90.17%

5,070

9.83%

파종 장비

20,401

18,370

90.04%

2,031

9.96%

수확 장비

4,087

2,501

61.19%

1,586

38.81%

운송 장비

46,327

42,420

91.57%

3,907

8.43%

자료 : 농업공학연구소(Iagric)

 

최근 일본, 베트남의 對쿠바 농업부문 투자 및 시사점

 

최근 일본은 고품질 쌀 생산 기술 보급 확대를 위한 쿠바-일본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쿠바 최대 곡물 생산 기업인 Fernando Echenique 산하 사업부 La Gabina에 최신형 트랙터 20대, 이식기 4대, 수확기 3대, 정돈기 3대를 국제원조 형태로 기부하였다. La Gabina 대표이사인 Belexis Zamora Vinajera는 동 일본산 농기계를 사용할 경우 8시간 만에 4헥타르를 재배할 수 있으며, 일본의 지원에 힘입어 쌀 생산량이 헥타르 당 약 5톤에서 7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금년 3월, 쿠바정부는 주요 베트남 기업들을 대상으로 쌀 산업 개발에 대한 합작투자를 요청하였으며, 양 국은 지난해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5년간 감축 또는 철폐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발효하는 절차를 마무리하는 한편, 쿠바는 2022년까지 베트남과 무역 규모를 5억 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더 많은 투자 프로젝트 유치를 계획 중이라고 한다.

 

이러한 국제적 투자 분위기 속에 쿠바 정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MAQUIMPORT 및 CITRICOS CARIBE 회사로 하여금 민간 부문의 농기계 수입을 담당할 수 있도록 승인하였으며, 금년 1월에는 협동조합 및 국영기업 뿐만 아니라 각 지방의 개인 농민들도 브라질 및 벨라루스産 트랙터를 MLC(달러)로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라고 발표하였다.


쿠바 내 트랙터 판매 웹 페이지(임시)

https://www.directoriocubano.info/wp-content/uploads/2021/01/Tractores-venta-MLC-dolares-cuba.jpg

자료: 무역관 자료수집

 

이와 같은 쿠바 정부의 대내외적인 농업생산력 강화 정책에 편승하여, 경쟁력 있는 한국산 농기계 장비를 활용한 우리 기업들의 對쿠바 진출 전략에 청신호가 켜지길 기대해 본다.

 

 

자료: 쿠바 통계청(ONEi), 트레이드맵(trademap.org), 농업공학연구소(Igric), 국내외 주요 언론 및 KOTRA 아바나무역관 자료 종합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