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중국 소비 시장,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이 新성장동력

-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 소비력 주목 -

- 전자상거래시장 성장 속도 1,2선 도시 압도 -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 소비 급성장

 

대도시 못지 않게 중국의 3선 이하 지방도시와 농촌지역 소비가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은 도시의 GDP, 인구, 경제력 등에 따라 1ㆍ2ㆍ3ㆍ4선 도시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대표적 경제매체인 제일재경(第一财经)이 발표한 <도시상업매력순위(城市商魅力排行榜)>에 따르면 중국의 총 337개 도시 중 3선 이하 도시(3,4,5선 도시) 개수는 288개로 전체 도시개수의 85.5%에 해당한다. 3선 이하 지방도시와 농촌지역에는 중국 전체인구의 68.5%인 약 10억 명이 거주하고 있다.

 

중국 도시등급별 거주 인구

external_image

자료: 제일재경(第一财经)

 

최근 몇 년간 중국당국의 전폭적인 지지로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은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에 주민들의 소비력이 향상되면서 소비경제가 활황을 띠기 시작했다. 특히 1ㆍ2선 대도시의 높은 부동산가격이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반면,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은 주거비용 부담이 낮아 ‘향락적’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시장 규모는 약 17조 2000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 소비시장(약 30조 9000억 위안)의 절반이 넘는 55.6%를 차지한다.

 

중국 도시등급별 소비시장 규모

(단위: 조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MSC컨설팅(MSC咨询)

 

한편, 인터넷의 사용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농촌지역의 네티즌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2020년 3월 기준 중국 농촌지역 네티즌 규모는 2억 6000만 명으로 2018년에 비해 14.9% 증가했다.

 

중국 농촌지역 네티즌 규모

(단위: 억 명, %)

external_image

자료: CNNIC, 신만홍원연구(申万宏源研究)

 

이에 농촌지역의 온라인 소비도 활성화되고 있다. 2019년 기준 농촌지역의 온라인 소비규모는 1조 7000억에 달해 전년대비 19.1% 증가했다.

  

농촌지역 온라인 소비규모

(단위: 조 위안, %)

external_image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신만홍원연구(申万宏源研究)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소비 특징

 

25~34세 젊은층이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주요 경제인구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 지역 소비자 중 25~35세 젊은층의 비중이 45%를 넘어섰다. 한편, 18세 이하 미성년자와 45세 이상 노년층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 연령병 분포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 Mob연구원


편리성을 추구하는 이들 소비자들은 온라인을 통한 구매를 선호한다. 58퉁전(58同镇)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 중 93.15%가 온라인 구매 경험이 있으며, 47.37%가 오프라인 보다 온라인 구매를 더욱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소비재 온ㆍ오프라인 구매 선호도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는 일상소비재 구매에 월 평균 1231위안을 쓴다. 일상소비에서는 식량ㆍ식용유 소비가 가장 많으며 간식류, 우유와 음료수, 샴푸와 샤워젤 등에 대한 수요도 역시 높다.

 

일요소비재 품목별 소비 비중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는 소비에 있어 ‘가성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58퉁전(58同)의 조사에 따르면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품질과 가격을 최우선시 하는 소비자가 각각 69.5%, 66.9%를 차지한다.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 구매결정 요인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수입 소비재 수요 증가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수입 소비재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58퉁전에 따르면 수입 소비재 구입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약 63.92%로 수입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산 및 국내산 소비재 구매 빈도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이들 소비자는 수입 소비재 구매에 월 평균 843위안을 쓴다.

 

수입산 소비재 구매 지출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수입 소비재를 구입할 때 한국과 일본산 제품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유럽, 미국, 호주 등 지역의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은 편이다.

 

국가별 수입 소비재 선호 비중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수입산 선호하는 이유는 중국 현지산 제품에 비해 수입산이 품질ㆍ브랜드ㆍ안전성 등 측면에서 더 우수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수입산 소비재 선호 이유

external_image

자료:  58동진(58同镇)

 

맺음말

 

중국의 3선 이하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은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사용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온라인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1,2선 도시에서 3,4선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으로 확산돼 가고 있다”며 “지방 소비자도 수입산 브랜드를 찾는 등 왕성한 소비력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중국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3선 이하 도시와 농촌지역 소비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역 소비자들이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과 가격, 배송 서비스 등에 중점을 둔 마케팅이 효과적일 것이다.

 


자료: 제일재경(第一财经), MSC컨설팅(MSC咨询), CNNIC, 신만홍원연구(申万宏源研究), Mob연구원, 58동진(58同镇),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