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인도네시아 석유화학산업 현황 및 전망

- 인도네시아 경제는 최근 10년간 처음으로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예상에 따라 제조업 활성화로 타개책 마련 중-
- 최근 FDI 가 전년대비 71.8% 증대되는 등, 석유화학 및 연관 산업에 많은 기회 발생 전망 -




향후 5년간 인도네시아 최우선 전략과제인 석유화학산업은에 대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불황 타개책의 하나로 투자 및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제조업 GDP의 8.5%를 차지하는 화학산업 분야는, 최근 해외의 직접투자가 금년 3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71.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연관 산업인 촉매, 부식 억제제, 바이오시드, 수지 또는 기타 공정 첨가물과 같은 생산 관련 재료 공급 기회가 늘고있다.


시장개요 : 시장 상황


인도네시아 경제는 최근 10년간(2010~2019) 지속 성장하면서 연평균 GDP 성장률을 5.4% 내외로 유지했으며, 2020년 1분기까지도 지속되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2.97%를 달성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도 감염병인 코로나19로 인해2020년 2분기 전년 대비 5.32%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 감소세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지역 대규모 사회적  제약(PSBB)관련 조치 - 휴교, 여러 산업, 기업 및 사업장의 운영제한 등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을 완화하기 위해 부과한 정책과 규제-와 대외교역 부진이 경제 침세의 주요 원인이다.

 

최근 인도네시아 통계청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2019년 3분기 대비 2020년 성장률이 3.49%를 하락했다. 이로써 인도네시아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경기침체에 빠졌다. 재정부 Sri Mulyani장관은 2020년 4분기에도 마이너스 경제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ri Mulyani장관은 '올해 3분기부터 인도네시아 경재가 개선되고 있다는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건축 활동, 자본재 수입, 상용차 판매 등의 지표가 개선될 징후가 나타난다'고 말했다. 또한 Sri Mulyani 장관은 '4분기에도 마이너스 경제 성장이 예상되지만, 현재 그 침체의 폭이 줄이 줄어들고 있으며, 정부 지출을 통한 투자뿐만 아니라, 소비 분야에서도 회복세에 있기 때문에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인도네시아의 경제 회복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코로나19는 내수와 투자 그리고 세계 경제의 회복을 지탱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Sri Mulyani 장관은 인도네시아 경제가 2021년 하반기에는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2010~2020)

external_image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분석, 2020년 

 

인도네시아의 제조업

 

2021년 하반기 경제 회복이라는 목표 달성하기 위해 인도네시아는 주요 사업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한편 연관 산업의 빠른 회복을 위한 노력을 추진 중이다. 2008-2009년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 경기 침체 이후 인도네시아는 주력 산업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제조업은 기존의 석유와 가스, 광물자재와같은 원자재 수출 중심에서 새로운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 되고 있다. 2019년 제조업은 인도네시아의 총 GDP에 3,119조 7천억 루피아 (약 2,080억 달러) 또는 약 19.7%를 차지했다.

    

인니 주요 산업의 GDP 점유율 (2019)

 external_image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분석, 2020년

 

전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장관 겸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부 (BAPPENAS)의 대표인 Bambang P. S. Brodjonegoro씨는 인도네시아의 성장을 지속 강화 및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제조 분야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의 GDP에 기여하는 제조업 비중은 19.7%로이며, 주요 분야로는 식음료 산업(6.4%), 석탄, 석유 및 가스 정제 산업(2.1%)과 화학, 제약 및 전통 의약 산업(1.7%)이 있는데, 이를 제조업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전체 제조업에서 식음료 산업, 석탄 및 석유-가스 정제 산업과 화학 및 제약 및 전통 의약 산업의 점유 비중은 각각 32.5%, 10.8%, 8.5%이다.


 

인도네시아  주요 산업 별 GDP 비율 (2019, 제조업 = 100)

external_image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분석, 2020년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공업

 

Bambang P. S. Brodjonegoro씨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제조업 발전을 위해서 천연자원 수출을 보다 스마트하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원료가 풍부하다는 점을 감안해, 해당 원재료를 활용한 전방산업 제품을 더 많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하였다. 즉 인도네시아의 우수한 천연자원을 그냥 수출하는게 아니라, 잘 가공해서 부가가치를 높인 뒤에 수출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인도네시아는 석유와 가스뿐만 아니라 광물과 같은 원자래의 수출에 의존했다. 국가개발계획부 (BAPPENAS)는 2018년 인도네시아 수출의 약 30%가 앞서 언급한 석탄, 식물성 기름과 지방(팜유), 천연가스, 석유와 그 파생제품 등 업종별 제품에서 나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석유와 가스 제품의 가격 폭락으로 인해 원재료를 직접 수출하는 것이 인도네시아 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는 석유화학 산업의 범위 내에서 석유 및 가스 제품의 혁신적인 화학 처리를 통해 더 가치 높은 제품으로 변환하는 데 주력하였다.

 

석유화학산업 자체도 다른 화학산업, 제약 및 전통의학산업과 함께 2015년부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GDP에 대한 기여도를 바탕으로 화학, 제약 및 전통의학 분야가 다른 제조업 분야 중 3위를 차지했다. 화학, 제약 및 전통의학 제조업은 2019년 총 177억 달러를 창출해 전년 대비 11.0% 성장했고, CAGR(2015~2019년)은 6.1%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제조업 국내총생산(2015~2019년) 

(단위: 10억 달러)

구분

제조업

국내 총생산 (GDP) (단위: 10억 달러)

2015

2016

2017

2018

2019*

1

식음료

43.1

49.4

(14.5%)**

55.6

(12.6%)

61.8

(11.1%)

67.5

(9.2%)

2

석탄, 석유 및 가스 정제소

21.4

19.1

(-10.7%)

20.6

(8.0%)

22.2

(7.4%)

22.4

(1.3%)

3

화학, 제약 및 전통의학

14.0

14.9

(6.5%)

15.7

(5.7%)

16.0

(1.5%)

17.7

(11.0%)

4

금속 제품; 컴퓨터, 전자, 광학 및 전기 장비

15.1

16.1

(6.7%)

16.9

(4.6%)

17.2

(1.9%)

17.7

(3.0%)

5

교통수단

14.7

15.8

(7.3%)

16.5

(4.4%)

17.4

(5.7%)

17.2

(-1.0%)

6

직물 및 의류

9.3

9.6

(3.0%)

10.0

(4.9%)

11.2

(12.0%)

13.3

(18.7%)

7

담배

7.2

7.8

(7.8%)

8.1

(4.4%)

8.8

(7.9%)

9.4

(6.8%)

8

기초 금속

6.0

6.0

(-0.7%)

6.6

(10.4%)

7.4

(12.6%)

7.7

(4.2%)

9.

펄프 & 페이퍼, 페이퍼 기반 제품; 기록매체의 인쇄 및 복제

5.9

6.0

(2.2%)

6.4

(7.8%)

6.8

(5.3%)

7.3

(8.0%)

10

비금속 채굴 및 채석

5.6

5.9

(6.8%)

6.0

(0.6%)

6.2

(4.0%)

6.2

(0.2%)

주: *) 예상치
**) 괄호안() 는 전년 대비 증감율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분석, 2020년

 

석유화학은 약품, 전자기기, 플라스틱, 의복, 가구 등 항공 우주 장비까지 인간이 더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업 제조의 기본 구성 요소여서 석유화학산업은 화학산업 중 가장 비중이 큰 분야로 여겨져 왔다. 석유화학은 정유공장, 가스공장 또는 합성가스공장에서 생산되는 화학제품을 말한다. 석유화학제품의 원료는 순수 탄화수소인데, 이 탄화수소는 여러 분리 및 변환 단계를 거쳐 고분자, 용매, 계면활성제 등 필요한 제품이 된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은 (1) 공급원료, (2) 매개물 (3) 최종 제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석유화학 공급원료는 다양한 중간 화학물질로 처리되었다가 마침내 최종 제품으로 전환된다.

 

석유화학 산업의 ‘빌딩 블록’은 일반적으로 에탄, 프로판, C4s와 석유화학 나프타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공급원료는 기초적인 빌딩 블록을 생산하기 위해 석유화학 크래커 공장이나 아로마틱 유닛을 통해 공정을 거친다. 이 빌딩 블록들은 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C4 올레핀), 아로마틱 (벤젠, 톨루엔, 크실렌), 합성가스 파생 제품 (메탄올, 암모니아)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석유화학 산업 내 원료를 최종 제품으로의 흐름도

external_image

자료: CER 2018,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구성

 

석유화학 제품 중 수익성이 높은 분야는 등유, 휘발유와 같은 에너지 분야가 아닌 합성 물질 분야다. 이 합성물질들은 자연에서 얻는 천연물질 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생산되고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대표적인 것이 천연고무를 대체하는 합성고무다. 따라서 석유화학제품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천연자재를 대체할 수 있다. 석유화학 플라스틱과 다른 재료의 생산량은 현재 매년 최대 5억 톤에 이른다. 가장 수요가 많은 제품은 플라스틱, 합성고무, 합성섬유, 비료 및 농산물, 염료, 계면활성제, 세제 등이다.

 

석유화학 빌딩 블록의 수출입 동향

 

석유화학 제품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 보고서는 석유화학 산업의 '빌딩 블록'으로 알려진 기초 화학 물질에 초점을 맞춘다. 이 석유화학 빌딩 블록은 암모니아, 메탄올,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크실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석유화학 빌딩 블록 제품 상위 5대 수입국은 중국, 벨기에, 미국, 대만과 네덜란드다. 이5개국은 2019년 전 세계 총수입가액 점유율 60.3%를 차지했다. 반면에, 2019년 주요 수출국 상위 5개국은 대한민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와 인도 등으로 세계 전체 수출액의 46.5%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관련 제품의 수입액이 더 많다. 인도네시아 2019년 석유화학 빌딩 블록 제품 20억4천만 달러를 수입해 세계 총수입량의 2.9%를 점유한 반면 수출은 총 9억4770만 달러로 세계 수출 점유율 1.4%이다. 이로 인해 2019년에 석유화학 빌딩 블록의 무역적자 규모가10억9천만 달러에 달했다. 인도네시아는 대부분 미국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와 같은 수출입 활동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석유화학 빌딩 블록 (올레핀, 아로마틱, 합성가스 파생 제품) 3개 중 올레핀과 합성가스 파생 제품에 비해 아로마틱 제품의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4년 석유화학 빌딩 블록은 호조를 보였고, 2014~2016년 유가 하락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2017년부터 석유화학 업종이 회복세로 돌아서 올레핀 제품을 제외한 수입 추세가 살아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빌딩 블록 제품 수입 동향 (2010~2019) 

external_image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2020년

 

인도네시아는 지난 5년간 석유화학 빌딩 블록 제품의 수출액도 크게 증가했다. 암모니아 (HS코드: 2814.00.00) 합성가스 파생 제품은 CAGR (2015~2019년)이 9.4%로 나타났고, 올레핀 제품도 CAGR (2015~2019년)이 20.7%로 호조를 보였다. 그리고 수출에서 가장 큰 상승폭은 CAGR (2015~2019년)이 최대 143.8%에 달하는 아로마틱 제품으로 나타났다. 수출 자체가 늘어난 것은 생산력 증가와 더불어 인도네시아에 석유화학공장이 새로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빌딩 블록 제품 수출 동향 (2010~2019)

 external_image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2020년


HS 코드, 수입 관세 및 제한

구분

HS 코드

품목명

수입 제한

수입 규제

수입관세

기타세금

MFN

AKFTA

1

2814.10.00

무수(無水) 암모니아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5.0%

0.0%

VAT: 10.0%

2814.20.00

암모니아수

없음

없음

5.0%

0.0%

VAT: 10.0%

2

2901.21.00

에틸렌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0.0%

0.0%

VAT: 10.0%

국경: 생산 수입업자면허/등록된수입업자면허/ 플라스틱 원료 수입 승인 인증서

통상, 장관 규정 제36/M-DAG

/PER/7/2013 및 장관 규정 2008년 제08

2711.14.10

(액체) 에틸렌 (에틸렌 순도 >= 95% 제외)

국경: 생산 수입업자면허/등록된수입업자면허/ 플라스틱 원료 수입 승인 인증서

통상, 장관 규정 제36/M-DAG

/PER/7/2013 및 장관 규정 2008년 제08

0.0%

0.0%

VAT: 10.0%

3

2901.22.00

프로펜 (프로필렌)

없음

없음

0.0%

0.0%

VAT: 10.0%

4

2901.23.00

부텐 (부틸렌)과 이들의 이성체

없음

없음

0.0%

0.0%

VAT: 10.0%

5

2901.24.00

1,3-부타디엔과 이소프렌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0.0%

0.0%

VAT: 10.0%

6

2711.14.90

(액체)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의 순도 >= 90% 제외)

없음

없음

5.0%

0.0%

VAT: 10.0%

7

2902.20.00

벤젠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0.0%

0.0%

VAT: 10.0%

2707.10.00

벤젠의 50%를 함유한 벤졸 "벤젠" (화학적으로 정의된 경우는 제외)

없음

없음

5.0%

0.0%

VAT: 10.0%

8

2902.30.00

톨루엔

국경: 생산 수입업자면허/등록된수입업자면허/비제약자 수입 승인 인증서

통상부, 장관령 제0647/MPP/ Kep/10/2004

0.0%

0.0%

VAT: 10.0%

국경: 검사 증명서

통상부, 장관령 제0647/MPP/ Kep/10/2004

국경: 의약품 전구 수입 승인 인증서

보건부, 장관 규정 제10/MENKES/ PER/I/2013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2707.20.00

톨루엔의 50%를 함유한 톨루올 "톨루엔" (화학적으로 정의된 경우는 제외)

없음

없음

5.0%

0.0%

VAT: 10.0%

9

2902.41.00

오르토-크실렌

없음

없음

0.0%

0.0%

VAT: 10.0%

2902.42.00

메타-크실렌

없음

없음

5.0%

0.0%

VAT: 10.0%

2902.43.00

파라-크실렌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0.0%

0.0%

VAT: 10.0%

2902.44.00

혼합크실렌이성체

없음

없음

0.0%

0.0%

VAT: 10.0%

2707.30.00

크실렌의 50%를 함유한 크실롤 "크실렌" (화학적으로 정의된 경우는 제외)

없음

없음

5.0%

0.0%

VAT: 10.0%

10

2905.11.00

메탄올 (메틸알코올)

국경: 유해 및 독성물질 등록증

환경부, 정부규정2001년 제74

5.0%

0.0%

VAT: 1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2020년


인도네시아의 석유화학 관련 주요 기업은 주로 합작회사의 형태로 많이 되어 있으나,  LOTTE의 경우 등 일부 기업은 단독투자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국영기업인  PT. PERTAMINA나 그 자회사 및 관련사도 많이 관련되어 있다.


석유화학 관련 주요 관련 기업

구분

회사 이름

설명

1

PT Chandra Asri Petrochemical

Chandra Asri Petrochemical

·        설립연도: 1992

·        대주주:

-      PT Barito Pacific (인도네시아), 41.88%

-      Prajogo Pangestu (인도네시아), 15.07%

-      The Siam Cement Public Company Limited (태국)의자회사, SCG Chemicals Company Limited (태국), 30.57%

-      PT Barito Pacific (인도네시아)의 자회사, Marigold Resources (인도네시아), 4.75%

·        웹사이트: http://www.chandra-asri.com/

·        총생산력: 연간 4,232 킬로톤

·        제품: 에틸렌, 프로펠렌, LLDPE, HDPE, 폴리프로필렌, 피가스, 미정제 C4, 부타디엔, 스티렌, 합성고무, 메틸 테르트부틸 에테르, 1-부틴

2

PT Asahimas Chemical

PT Asahimas Chemical | LinkedIn

 

·        설립연도: 1986

·        대주주:

-      Asahi Glass Company (일본), 52.5%

-      PT Rodamas (인도네시아), 18.0%

-      Benny Suherman (인도네시아), 18.0%

-      Mitsubishi Corporation (일본), 11.5%

·        웹사이트: https://asc.co.id/

·        총생산력: 연간2,185킬로톤

·        제품: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모노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3

PT Pertamina

external_image

·        설립연도: 1968

·        대주주: N/A (State-owned Enterprise)

·        웹사이트: https://www.pertamina.com/

·        총생산력: 연간1,040 킬로톤

·        제품: 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벤젠, 파라-크실렌

4

PT Trans Pacific Petrochemical Indonesia

PT Trans Pacific Petrochemical Indonesia TPPI

·        설립연도: 2004

·        대주주:

-      PT Tuban Petrochemical Industries (인도네시아), 42.6%

-      PT Pertamina (인도네시아), 37.65%

·        웹사이트: http://tubanpetro.com/

·        총생산력: 연간707 킬로톤

·        제품: 벤젠, 파라-크실렌

5

PT Sulfindo Adiusaha

PT Sulfindo Adiusaha | ECC

·        설립연도: 1990

·        대주주: N/A

·        Website: https://sulfindo.com/

·        총생산력: 연간620 킬로톤

·        제품: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모노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6

PT Lotte Chemical Titan Nusantara

LOTTE CHEMICAL TITAN

·        설립연도: 1987

·        대주주:

Lotte Chemical Corporation (대한민국)의 자회사, Lotte Chemical Titan International Sdn. Bhd (말레이시아), 92.50%

·        웹사이트: https://www.lottechem.co.id/

·        총생산력: 연간 450 킬로톤

·        제품: LLDPE, HDPE

7

PT. Polytama Propindo

Polytama

·        설립연도: 1993

·        대주주:

-      PT Tuban Petrochemical Industries (인도네시아), 80%

-      Pasio Investments BV (네덜란드), 20%

·        웹사이트: https://masplene.com/

·        총생산력: 연간300 킬로톤

·        제품: 폴리프로필렌

자료: TPIA 2020,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기회와 도전

 

인도네시아의 석유화학 관련 상품의 수입 초과 현상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내수는 2025년까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과 같은 석유화학제품이 수요 또한 향후 몇 년 동안 늘어날 전망이다. 이 중에서 가장 큰 수요를 보이는 분야는 에틸렌과 부타디엔으로 CAGR(2018~2024년)이 최대 12.0%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폴리프로필렌을 만드는 빌딩 블록으로서의 프로필렌도 CAGR(2018~2024년)이 8.5%로 2024년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화학 빌딩 블록 외에도 플라스틱, 고무, 페인트 등 다양한 일상 필수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원재료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 모노머 등 중간재나 2세대 석유화학으로 알려진  화합물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폴리에틸렌 수요는 2024년까지 약 210만톤으로 추정돼 CAGR(2018~2024년)은 최대 4.8%이며 폴리프로필렌의 CAGR(2018~2024년)은 5.4%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 석유화학 제품 별인도네시아 내 수요 

external_image

주: *) 예상치

자료: TPIA 2019,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인도네시아가 지난 수년간 석유화학 제품 무역적자가 매년 10억 달러 이상을 넘어섰으며 이 적자의 대부분은 아로마틱 석유화학 제품이다. 2019년 석유화학 제품 빌딩블록 가운데 적자폭이 가장 큰 제품은 에틸렌, 크실렌과 메탄올이다. 에틸렌 무역적자는 5억5700만달러에 달했고 크실렌과 벤젠의 무역적자는 각각 4억9910만달러와 2억1590만달러로 늘어났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는 석유화학에 대한 이러한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석유화학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 가지 정책과 전략을 수립했다. 공장 증설과 가공 기술 고도화를 통해 국내 업체들의 생산력을 높이도록 유도하는 것도 전략 중 하나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석유화학 회사인 PT Chandra Asri는 폴리에틸렌 생산 능력을 연간 736 킬로톤으로 증가시키는 새로운 공장을 설립했고,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의 생산량을 연간 408 킬로톤, 향후에는 연 900 킬로톤까지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PT Lotte Chemical Indonesia도 인도네시아에서 연간 100만톤 에틸렌 크래커의 시공 및 시운전 계획 중이다. 이 프로젝트로 연간 600 킬로 톤의 프로필렌, 500 킬로 톤의 폴리에틸렌 생산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 뉴에틸렌(LINE)으로 알려진 이 프로젝트는 총 투자 가치가 43억 달러에 이른다.

 

또한 인도네시아 정부는 인도네시아의 아로마틱 산업을 재활성화할 목적으로 투반(Tuban) 지역의 PT Trans-Pacific Petrochemical Indotama (TPPI)의 개편을 촉진해 왔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파라-크실렌에 대한 PT TPPI 생산력이 연간 780킬로톤으로 증가할 것이다. PT TPPI의 대주주인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회사인 PT Pertamina는 서쪽 자바 발롱간(Balongan) 지역에 100만톤의 에틸렌 생산 설비를 신규 확충하고 있으며 리아우주 두마이(Dumai, Riau)에 메탄올 가스처리 시설을 개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또한 서파푸아 텔루크 빈투니(Teluk Bintuni ) 지구에서 석유화학 산업단지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산업부 Doddy Rahadi 국장은 텔루크 빈투니의 석유화학 산업 발전으로 공단 건설에 1조7,600??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