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중국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 차세대 화장품 산업 트렌드 될까?

-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 개념 확산, 유산균 화장품 수요 확대 추세 -

- 기능성에 대한 객관적 신뢰도 확보, 현지화 마케팅으로 공략 필요 -




최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스킨케어라는 개념이 부상하면서 관련 제품인 유산균 화장품이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미생물(Microbe)와 생태계(Biome)이 합쳐진 말로 인체 내 미생물 밸런스 조정을 통해 피부에 부족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 외에도 피부 면역력을 키우고 상처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유익한 미생물인 유산균은 다양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함유한 유산균 스킨케어 제품 출시에 나서는 브랜드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이크로바이옴과 유산균 화장품이 중국의 화장품 산업을 이끄는 신 트렌드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그 미래가 주목된다.

*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지만, 일반 소비자들 가운데는 가장 대표적인 유산균 화장품이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함

  

마이크로바이옴 및 유산균 스킨케어 시장 현황


중국의 화장품 산업은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지속 출시되며 다소 포화상태에 이르렀지만 회복, 면역 개선 등 건강 관련 주요 키워드가 부상하면서 유산균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민텔(Mintel)에 따르면, ‘마이크로바이옴키워드가 들어간 스킨케어 제품의 수는 최근 2년 동안 현저히 증가하여 2019년 기준 전년 대비 57.4%의 성장률을 보였다. 실제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성분이 들어간 제품 수는 전년 대비 50.6%나 증가했다. 또한 메이리씨우싱(美丽修行)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중국 화장품 원료 중 유산균의 매출액은 253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211.77%의 폭발적인 증가율을 기록하여 미백원료, 식물성 분말 등에 이어 9위에 올랐다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제품 출시 추이

     

자료 : Mintel(英敏特数据)

 

잇따른 제품 출시와 함께 소비자의 관심 또한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다. 2019년부터 20207월까지 진행한 중국 내 소비자 대상 스킨케어 관련 데이터 검색량 조사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 관련 검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스킨케어 관련 연관 검색어로 리페어’, ‘발효’, ‘효소유산균등의 단어들이 상위를 기록하고 있는 데서도 높아진 관심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19 이후로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면서 성분과 원료에 대한 까다로워진 소비행태도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시장 성장의 주요 기회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 관련 데이터 유입량 및 검색량 증가 추이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