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시장 알아보기

- 코로나19로 인해 말레이시아 공교육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아 -

- 2023년까지 연평균 16.1% 달성, 2.5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상돼 -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주목 받는 에듀테크 시장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제한령(Movement Control Order)이 시행되면서 말레이시아 교육기관은 3월 중순부터 6월 초순까지 휴교에 들어갔으며, 동 기간 동안 학생들은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이동제한령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기에 교육부 방침에 따라 각 학교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교육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게 됐다. Zoom, Microsoft Teams등의 온라인 화상플랫폼의 매출이 증가했으며, 비대면 수업, 가상 교실, 온라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에듀테크 분야가 각광을 받게 됐다. 더 나아가, 이제는 AR/VR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상의 교실을 구현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니즈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발맞춰 말레이시아 정부도 에듀테크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양질의 온라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터넷망 등의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현재 각 기관마다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중앙 시스템으로 일원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민간기업과 함께 온라인 교육플랫폼을 운영하고 콘텐트를 개발하는 등 양질의 온라인 교육 제공을 위해 힘쓰고 있다.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시장은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지식관리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 모바일 교육, 팟캐스트, 가상 교실 등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학습관리시스템이 가장 각광받고 있는데, 이는 정부가 바라보는 교육기관간의 행정기능 일원화와도 그 결을 같이한다. 스마트 교육 교실의 경우, 현재 정부의 주도로 약 2,000여개가 구축 중에 있으며, 향후 그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OUM (Open University Malaysia), MMU (Multimedia University), UNITAR (University Tun Abdul Razak), Taylors University등 여러 공사립 교육 기관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을 제공하고 있으며, Smart Learning* 교육방식을 채택하는 기관들이 늘어나고 있다. 조사 전문기관 Ken Research에 따르면, 이전부터 꾸준하게 증가해온 말레이시아 온라인 교육시장은, 학생 수의 증가와 관련 시장 투자에 힘입어 2023년에 약 2.5조원 시장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Smart Learning :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켜 습득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교육방식

 

말레이시아 학제

 

레이시아는 초등교육이 의무교육으로 되어있으며, ·고등 교육은 시험을 통 진학 하게 되어있다. 초등교육은 6, ·고등 교육은 5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국 교육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한국 학제로는 고2 까지의 교육과정이다. 이후 1-2년간 Pre-University (예비대학) 과정을 가진 후 대학에 진학한다.

 

말레이시아 국가 교육 제도

교육 유형

나이

참고

Pre-School

4-6

초등교육 입학 전 1년 혹은 그 이상의 교육 프로그램.

초등교육

7-12

1학년 6학년 총 6(간혹 5년 또는 7년으로 졸업).

·고등교육

13-17

중등 교육은 13-15(Form 1-3으로 총 3).

고등 교육은 16-17(Form 4-5으로 총 2).

국립 고등 교육 학교는 국립 고등학교 (일반), 기숙 고등학교, 예술 및 체육 고등학교, 기술/직업 고등학교, 국립 이슬람 교육 고등학교로 분류됨.

Pre-University
(Post Secondary)

18-19

Form 6(1.5) 또는 Matriculation(1)

등학교 졸업증명서(Malaysian Higher School Certificate for Form Six)와 입학허가서(Matriculation Certificate)는 공립 대학 학사 진학을 위해 필요함.

성적 우수 학생들은 고등 교육부 산하의 Central University Unit(Pusat University)에 의해 현지 대학에 배정됨.

대학교육

19+

과학기술전문학교, 교사양성기관은 18세부터 교육 실시.

학사 학위는 19-20세부터 3-5년간 실시.

석사 및 박사학위는 1-5년간 실시.

- 그 외 사립대학은 대학 별 커리큘럼에 따라 상이.

자료: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MOE)

    

에듀테크 관련 정부 지원 및 활동


말레이시아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로 계획된 11차 국가계획 (11th Malaysia Plan)에서 ICT를 통한 경제개발 계획 중 온라인 교육을 주요 산업으로 명시한 바 있다. 이를 근거로 온라인 교육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Malaysian Smart School Roadmap (2005-2020)

1999년부터 총 4단계로 전국교육기관에 ICT를 접목한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기관들의 정보 시스템을 일원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2005-20103번째 단계에서는 교육기관의 디지털화를 이루어내는 것이었으며, 마지막 단계는 모든 학교에서 ICT를 적극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진행하고 효과를 증대하는 것이 목표다. 4단계인 지금, 말레이시아 정부는 ICT 기간시설에 적극 투자하여 교외지역까지 확장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 이루어진 학교 디지털 행정을 일원화 시키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교육부와 말레이시아 기업 YTL과의 연계 교육 서비스

1BestariNet은 1만개 이상의 전국 학교들을 고속인터넷으로 연결하여 모든 학교 학생들이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고, 학교 행정기능을 일원화 하는 통합 솔루션 프로젝트이다. 교육부의 투자로 개발된 ‘FrogAsia’의 기반이 된 프로젝트이며, 도심과 외곽 학교들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여 학생들의 교육 자료에 대한 접근을 원활하게 해주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YTL의 독점계약으로 YTLYES 인터넷망만을 사용해왔으나, 프로젝트의 진행이 더디게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속력을 높이기 위해 Digi, Maxis, Celcom등 다른 통신사들도 사업에 참여하도록 프로젝트를 개방했다.


③교육부 개발 온라인 수업 포털 MoE-DL DEMILa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전국적인 이동제한령(MCO)으로 인해 학교의 개학과 수업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교육부에서 대체 수업이 가능하게 자체적으로 개발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현재 학교는 전교생을 나누어서 격주로 한 주는 학교로 등교하고, 나머지 한주는 집에서 재택 온라인 수업을 듣도록 지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택 온라인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있다. 월 이용자는 약 170만 명이며, 1만개의 학교와 37만 명의 교사, 250만 명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플랫폼을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게 플랫폼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 외산 기업의 클라우드(A, G, M) 기술을 접목하여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 기업 진출 시 알아야할 점

 

말레이시아에서 ICT관련 서비스, 즉 에듀테크에서는 플랫폼, 콘텐츠,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산업으로 진출 시 제공업체로 등록하여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관련 면허를 취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레이시아에서 ICT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 위원회(MCMC)에 신청하여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Act 1998(CMA)에서 승인 면허를 취득해야한다. CMA에서는 ICT산업의 네트워크 시설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가지고 있음.

신청서 (Form D)2,500링깃의 신청비용 MCMC 홈페이지에 기재된 문서 MCMC에서 추가적으로 요청하는 문서를 제출

신청 시 말레이시아 시민이 아닌 외국인 Companies Act 1965에 외국회사로 정의되는 회사의 조건을 충족

Service Tac Act 1975Service Tax Regulations 1975에 의거하여 서비스 세금 납부

 

말레이시아 정부는 교육 분야에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자유화라는 명목으로 교육뿐 아니라 관광, 운송, 스포츠 등의 산업에서 외국인 지분을 최대 100%까지 허용(2012년 개정)하고 있다. 이때 산업별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교육산업의 경우 사립대학 국제학교 기술·직업학교 (중등) 기술·직업학교 (특수아동/학생) 특수기술센터에 한하여 외국인 지분 100%를 허용하고 있다.


<교육기관별 세제 혜택>

 

유치원: 기관/부처의 규정의 준수하며 영업할 경우 최대 5년간 세금 면제

사립고등 교육기관: 필수조건 고려 후 최대 10년간 세금 일정부분 면제

기술·직업 교육 기관 (신규 여부 상관 무): 필수조건 고려 후 최대 10년간 세금 일정부분 면제 등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세금 혜택이 있음.

사립 고등 교육기관 및 기술·직업 교육 기관: 과학관련 기관이면 세액 공제(ITA)를 받을 수 있음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 위원회(MCMC) 등록을 위한 외국회사 체크리스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0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4pixel, 세로 663pixel

자료: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 위원회(MCMC)

 

 

에듀테크 업계 인터뷰

 

에듀테크 기업 중 하나인 A사와의 인터뷰에서 대표 E씨는, “말레이시아의 교육시장은 지금까지 오프라인 교육에 지나치게 치중 되어 있었다. 오프라인 교육이랑 향후에도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하고 있겠지만, 특히 학교 외의 교육, 사교육은 상당부분 온라인으로 변모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라고 말했다. E씨는 또한 과감하게 변화되고 있지는 않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나며 불가항력적으로 상당부분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이 되고 있다.”라며, 기간시설에 대한 확충, 전국적으로의 광대역 인터넷 접근에 대한 확장 및 교외지역 또는 경제적 약자에 대한 정부 인센티브 등 더욱 발전되어야 하는 부분을 언급하여 개선해야할 부분들이 더욱 나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여러 나라의 온라인 사교육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에듀테크 플랫폼 스타트업 B사와의 인터뷰에서는 현 팬데믹 상황에서도 말레이시아의 교육열은 식지 않는다.”며 현재 말레이시아 내에 있는 내국인과 유학 온 외국인들도 다른 국가로의 진출을 위해 다방면으로 정보를 활용하려 B사의 플랫폼을 많이 이용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말레이시아는 교육허브로의 도약을 위해 여러 국가들의 대학과 파트너쉽을 맺어 트위닝(Twinning)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타 국가 사교육 기관들에 분교 설립을 설립할 수 있게 도와주기도 한다.

 

시사점


코로나19 발발 이후 에듀테크 산업의 성장은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시장 규모 또한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교육이 교육 산업의 피할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에 말레이시아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 정책으로 자국의 에듀테크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ICT 부양정책, 교육부가 주도하는 솔루션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국 기업을 육성하고 외국기업의 투자를 이끌고 있다.


비록 에듀테크 산업은 별개의 정부 부처에서 관리되는 것이 아닌 교육부에서 총괄적으로 관장을 하고 있기에 제도나 정책부분에서 아직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다. 비대면 교육, 가상 교실 및 AR/VR 기술, 학습 관리 솔루션 등 아직은 시장에 새로운 분야가 많기에, 에듀테크에 대한 성장이 지속될수록 정부의 지원과 규제가 확립되어 갈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 국가 중 싱가폴을 제외하고는 인터넷 보급률이 최상위권이라는 점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기간 시설이 전국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며, 많은 에듀테크 관련 스타트업 역시 생겨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볼 때,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시장은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