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제 시장 트렌드(1)

-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제 시장, 최근 3년간 꾸준한 성장 중 -

- 기능성 제품의 수요 및 PL 제품의 판매 증가 등 최근 시장 트렌드 주목해야 -  




2019 세계인구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성인 비만율 15.6%를 기록하며 브루나이(14.1%), 태국(10%), 인도네시아(6.9%) 등을 제치고 동남아시아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19 국민건강 및 질병조사(NHMS) 결과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성인의 50.1%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세에서 17세 사이 인구 중 29.8%가 과체중이며 14.8%가 비만으로 분류됐다. 

 

말레이시아인의 비만율과 당뇨 유병률이 심각한 상황이지만 일반 국민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받는 것은 여의치가 않다. 말레이시아 정부가 운영하는 의료시설은 무료이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진료를 위해서는 장기간 대기해야 하며, 사설 의료시설은 비싼 진료비 때문에 자주 찾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다. 따라서 말레이시아인은 클리닉을 방문하거나 건강보조제를 섭취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려는 경향이 있다.

 

말레이시아 내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건강보조제에 대한 관심은 예전부터 지속돼 왔으며, 시장 규모 또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중산층부터는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깊어 헬스, 등산 등의 운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건강보조제에 대한 수요 또한 높다. 최근에는 중산층을 중심으로 건강보조제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화, 세분화되면서 시장에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 시장 동향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품의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인은 코로나19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면역력 강화에 좋은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면역력 강화에 좋은 건강보조제의 소비로 이어졌다. 대표적으로는 독감 예방 성분을 함유한 에키네시아 제품과 프로바이오틱스 보조제 등이 주목을 받았다. 비타민 제품 중에서는 비타민C가 제일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비타민 D의 경우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제품 판매량이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 L씨에 따르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일부 기능성 제품의 판매량이 급증한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건강보조제 시장은 마켓 트렌드의 영향을 매우 받기 때문에 기업은 트렌드를 선도 하기 위한 시장 분석을 끊임없이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말레이시아인의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났으며, 재택근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또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특정 기능을 가진 건강보조제를 찾게 됐으며,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포착한 기업들이 다양한 신규 제품을 시장에 내놓고 있다. 심장 건강보조제 Naturalle Tini Fish Oil 경우 작은 형태로 출시돼 소비자의 호응을 얻었다. 또한 Alerten Q10, Mega WeCare, Vitamode CoQ10 Uniquinol 등의 다양한 코엔자임 Q10 보조제가 출시됐으며, 건강보조제 부문에서도 MegaLive Carotenoid Complex Plus 등의 신제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구매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건강보조제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Vitahealth 외에 Lazada, Shopee 대형 플롯폼에서 식이보조제와 비타민 등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Watsons, Guardian, Caring Pharmacy, Big Pharmacy 등도 할인 다양한 프로모션 제공을 통해 온라인 판매를 적극 활성화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판매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지만, 건강보조제의 경우 다른 제품에 비해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직원의 조언을 듣고 결정하는 소비 경향이 강한 제품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 판매는 앞으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체의 자체개발상품을 뜻하는 PL(Private Label) 제품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비타민 제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020년에 비타민C PL제품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대표적인 인기 제품으로는 Watsons Vitamin B Complex Effervescent, Guardian Vitamin D3 1000IU 등이 있다.

 

꾸준히 성장 중인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제 시장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제의 2020년 총 판매량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203백만 링깃을 기록했다. 건강보조제는 크게 복합 식이보조제와 식물성·전통 식이보조제, 비전통 식이보조제로 구분되는데, 2020년 항목별 판매량은 각각 456백만 링깃, 781백만 링깃, 1222백만 링깃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식이보조제 판매 규모(2018-2020)

(단위 : 백만링깃)

분류

2018

2019

2020

복합 식이보조제

359.4

402.1

456.0

식물성/전통 식이보조제

674.8

723.4

781.0

복합 식물성/전통 식이보조제

182.2

203.5

230.3

에키네시아

1.4

1.5

1.5

달맞이꽃 종자유

56.4

59.4

62.9

마늘

23.8

24.2

24.6

징코빌로바(은행나뭇잎 추출물)

57.8

61.7

66.0

인삼

3.8

4.1

4.5

세인트존스워트

0.4

0.4

0.4

알로에

28.8

30.5

32.5

크랜베리

0.5

0.6

0.6

기타

319.6

337.5

357.4

비전통 식이보조제

1,004.1

1,100.8

1,222.1

코엔자임 큐텐(Co-Enzyme Q10)

77.5

86.5

97.1

복합 비전통 식이보조제

177.2

198.6

225.7

건강보조제

10.1

11.5

13.1

오메가3 지방산

200.1

219.1

243.6

글루코사민

66.6

73.7

81.9

무기질

154.7

166.5

181.2

프로바이오틱 보조제

69.0

81.7

100.1

단백질 보조제

164.5

175.0

186.6

기타

84.6

88.2

92.7

합계

1,678.9

1,824.3

2,003.0

자료: 유로모니터

 

식물성·전통 식이보조제의 하위 항목 중 제일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복합 식물성·전통 식이보조제는 2020년 판매량이 전년 대비 13.2% 상승했다. 인삼은 전년 대비 판매량이 10.9% 상승하며 복합보조제의 뒤를 이었고, 징코빌로바(은행나뭇잎 추출물) 2020년 판매량 6,600만 링깃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성장률이 7.0% 상승했으며, 달맞이꽃 종자유는 2020년 매출액 6,290만 링깃, 성장률 5.9%를 기록했다. 알로에와 마늘 제품의 판매량 또한 증가해 알로에와 마늘 제품은 2020년에 각각 3,250만 링깃과 2,460만 링깃의 판매량을 올렸다.

 

비전통 식이보조제는 2020년 판매량이 전년 대비 11퍼센트 증가한 1222백만 링깃을 기록하며, 3년 연속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비전통 식이보조제의 하위 항목 중 오메가3 지방산(Fish Oils/Omega Fatty Acids) 2020년에 약 2,436만 링깃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제일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비전통 복합 식이보조제가 2,257만 링깃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오메가3 지방산의 뒤를 이었으며, 단백질 보조제는 6.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세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한편, 건강보조제 전체 하위 항목 중에서 성장 속도가 제일 빠른 품목은 프로바이오틱스 보조제로,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22.5%라는 높은 수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비타민 판매 규모(2018-2020)

(단위: 백만링깃)

분류

2018

2019

2020

종합비타민

342.3

375.9

419.8

단일비타민

220.1

244.1

281.4

비타민 A

-

-

-

비타민 B

40.5

44.0

48.1

비타민 C

147.9

167.4

199.2

비타민 D

6.5

6.8

7.5

비타민 E

25.1

25.8

26.6

기타

-

-

-

합계

562.4

620.0

701.1

자료: 유로모니터

 

말레이시아 비타민 시장은 코로나19 이전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말레이시아 내 비타민 총 시장 규모는 71백만 링깃으로 전년 대비 13.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종합 비타민은 2020 말레이시아 비타민 판매량의 59.8% 기록하는 최근 3 동안 가장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단일 비타민의 하위 항목 중에 비타민 C 2020 판매량은 199백만 링깃으로, 단일 비타민 판매량의 70.7%, 비타민 판매량의 28.4%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성장률 18.9% 기록하며 비타민 제일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밖에 비타민 B 비타민 E 2020 판매량은 각각 48백만 링깃과 27백만 링깃을 기록했다.

 

효능별 식이보조제 시장 점유율

(단위: %)

분류

2018

2019

2020

()

2.5

2.7

2.9

6.4

6.4

6.5

소화력

4.1

4.5

5.0

0.6

0.6

0.7

일반 건강

51.7

51.6

51.8

심장

12.0

13.0

13.5

면역력

6.2

6.3

6.3

관절

4.6

4.7

4.9

기억력

5.9

6.0

6.1

기타

6.1

4.2

2.3

합계

100.0

100.0

100.0

자료: 유로모니터

 

말레이시아 식이보조제 시장에서 일반 건강 식이보조제가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심장에 도움이 되는 식이보조제는 판매량의 13.5% 차지하며 점유율 2위를 기록했으며, 강화에 효능이 있는 식이보조제가 판매량의 6.5% 차지하며 뒤를 이었다. 이밖에 면역력과 기억력 향상에 좋은 식이보조제는 각각 6.3% 6.1% 비중을 차지했으며 미용에 좋은 식이보조제의 판매 비중은 2.9% 기록했다.

 

연령별/성별 비타민 시장 점유율

(단위 : %)

분류

2018

2019

2020

남성

26.3

26.2

26.2

여성

26.2

26.1

26.1

임산부

6.8

6.9

6.9

청소년

2.7

2.8

2.8

노인

2.7

2.8

2.8

기타 종합비타민

35.3

35.3

35.1

합계

100.0

100.0

100.0

자료: 유로모니터

 

2020년 말레이시아 비타민 시장에서 남성용 비타민과 여성용 비타민의 판매 비중은 각각 26.2%26.1%로 거의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임산부용 비타민은 전체 비타민 시장에서 6.9%의 비중을 차지하며, 각각 2.8%를 차지한 노인 및 청소년용 비타민 보다 높은 판매 비중을 기록했다.



자료 : 유로모니터, Global Trade Atlas, Royal Malaysian Customs Department, Watsons, Guardian, thestar 등 현지 언론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자료 종합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