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中 마스크 산업 현황 및 전망

- 코로나 19 이후, 한국산 KF94마스크 중국내 인지도 대폭 상승 -

- 프리미엄 마스크, 앞으로 중국인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을 듯 -??


?

□ 중국 마스크 시장 규모와 현황

?○ 중국은 세계 최대 마스크 생산 및 수출국(전 세계 마스크 생산량의 50%)이지만, 코로나19 이후, 마스크 품귀난 발생.

? - 현재 중국 내 마스크 공급 부족의 주원인은 두 가지임. 첫째, 앞서 재고 비축이 미흡했음. 둘째, 춘절 시기 공장의 휴업, 혹은 일부 도시 봉쇄로 인해 산업 체인이 끊겼기 때문임.

?○ 마스크 생산대열에 합류하는 중국기업들이 대거 늘고 있음

? - 현재 의료 방역용품 기업의 초과 근무, 물량 증산 외에도, BYD, 상하이 GM 자동차, 폭스콘 등 자동차, 통신, 기저귀, 태양에너지, 의류 등 많은 기업들이 마스크 생산에 합류.

? - 올 초부터 2월 7일 까지 ?중국 내 3,000개 이상의 회사에서 ‘마스크, 방호복, 소독제, 체온계, 의료기기’ 등을 경영 항목에 추가함

?○ 2015~2019년, 중국 마스크 산업은 10%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 2019년 산업 생산액은 102.4억 위안에 달함.

? - 전체 중국 마스크 시장에서 바이러스 차단용 방역 마스크는 54 %를 차지. 그 다음으로 거즈 마스크 (18 %), 산업용 방진 마스크 (16 %), 일상 방역 마스크 (12 %) 순임.

?○ 공업정보화부(工信部)에 따르면, 2020 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중국 의료용 마스크 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8.1 % 증가할 것으로 예상.

? - 전체 마스크 산업 생산액 또한 28.9 % 증가하여, 연간 마스크 산업 생산액이 13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을 고려하면 그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자료원: 중국공신부(中?工信部)

?

口 중국 마스크 시장 경쟁 추세

?○ 중국 내 마스크 생산 허가 기업은 총 353곳으로, 시장집중도가 낮음.

? - 선두기업TOP3(룽터우주식(???), 텐진타이다(天津泰?), 상하이메이커(上海美科))의 시장 점유율이 25%를 넘지 않음.

?○ 2003년 사스(SARS), 2013년 중국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3M과 Honeywell은 중국 프리미엄 마스크(N95) 시장에서 90%의 시장을 차지함.

? -?현재 3M은 중국에 12개의 회사와 6개의 생산기지, 25개의 사무실 보유.

?○ 상하이(上海市), 장쑤성(?),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은 중국 의료용 마스크 생산 기업이 가장 집중된 지역임(전체의 40% 차지).

? -?이중 장쑤성((?), 허난성(河南省)에 가장 많이 분포(장쑤: 24개, 허난: 21개)??

?

중국 의료용 마스크 생산 기업 분포도

자료원: 싸이디의약건강산업연구센터(?迪??健康???究中心)

?

?○ 또한, 상하이(上海市), 장쑤성(?), 저장성(浙江省), 안훼이성(安徽省)에 의료용 마스크 원자재(MB필터, 부직포 및 기타 자재) 생산 기업이 가장 많이 분포(전체 43.8% 차지).

? - 이중 장쑤성(江?), 산둥성(山?)에 가장 많이 분포(장쑤: 13개, 산둥: 10개)

?

?

중국 의료용 마스크 원자재 기업 분포

자료원: 싸이디의약건강산업연구센터 (?迪??健康???究中心)

?

口 중국 마스크 수입 현황

?1. 호흡 밸브 필터가 없는 마스크(HS CODE:6307.90.0000)?

?○ 수입

  1. ? - 2016~2018년, 중국의 부직포 마스크(호흡 밸브 필터가 없는 마스크)의 수입 규모가 빠르게 증가함. 2018년의 수입 금액은 1.93억 달러로, 동기 대비 19.3% 증가.?

    ? - 2018년 수입국 중 중국(보세구역에서 가공 후 중국으로 재수입)이 25.4%로 1위를 차지함. 그 다음으로 대만이 10.3%로 2위, 일본이 10.1%로 3위, 한국은 1,267만 달러로 5위(6.6%)임.

    2016~2018년 중국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

World

128459

-

161957

-

193280

-

1

China

21986

17.1

26942

16.6

49086

25.4

2

Taipei, Chinese

18533

14.4

17928

11.1

19818

10.3

3

Japan

17433

13.6

20844

12.9

19429

10.1

4

Viet Nam

10312

8

15135

9.3

19424

10

5

Korea, Republic of

10434

8.1

15172

9.4

12667

6.6

자료원ITC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

?○ 수출

? - 2016~2018년, 중국의 부직포 마스크(호흡 밸브 필터가 없는 마스크)의 수출 규모가 안정적으로 증가함. 2018년의 수출 금액은 51.3억 달러로, 동기 대비 10.8% 증가함.?

? - 2018년 수출국 중 미국이 41.5%로 랭킹 1위를 차지함. 일본이 10.4%로 2위, 독일이 4.8%로 3위, 한국은 1,57억 달러로 7위(3.1%)를 차지함.

2016~2018년 중국 수출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

World

4461880

-

4630804

-

5132255

-

1

USA

1778286

39.9

1866039

40.3

2127336

41.5

2

Japan

496473

11.1

491812

10.6

533542

10.4

3

Germany

215832

4.8

236471

5.1

245760

4.8

4

United Kingdom

211653

4.7

207370

4.5

226914

4.4

7

Korea, Republic of

122931

2.8

133447

2.9

156815

3.1

자료원: ITC(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

?2. 호흡 밸브 필터를 탑재한 마스크(9020.00.00)

?○ 수입

  1. ? - 2016~2018년, 중국의 부직포 마스크(호흡 밸브 필터 탑재)의 수입 규모가 빠르게 증가함. 2018년 수입 금액은 6,478만 달러로 동기 대비 20.6% 증가.

    ? - 2018년 수입국 중 미국이 49.8%로 1위, 한국이 420.6만 달러로 3위(6.5%)를 차지함.

    2016~2018년 중국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

World

38390

-

53732

-

64775

-

1

USA

21351

55.6

29264

54.5

32236

49.8

2

Germany

4389

11.4

7683

14.3

7545

11.6

3

Korea, Republic of

665

1.7

1471

2.7

4206

6.5

4

Mexico

709

1.8

2004

3.7

3283

5.1

5

Canada

1308

3.4

2080

3.9

3104

4.8

자료원:ITC(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수출

? - 2016~2018년, 중국의 부직포 마스크(호흡 밸브 필터 탑재)의 수출 규모 지속 감소세. 2018년 수출액은 5,711만 달러로 동기 대비 30.2% 감소.

? - 2018년 수출국 중 홍콩이 21.8%로 1위, 한국이 215.1만 달러로 6위(3.8%) 차지.

2016~2018년 중국 수출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

World

131167

-

81812

-

57113

-

1

Hong Kong, China

66567

50.7

27694

33.9

12477

21.8

2

United States of America

29940

22.8

13148

16.1

4634

8.1

3

Philippines

611

0.5

1948

2.4

3427

6

4

Indonesia

1580

1.2

1565

1.9

2802

4.9

6

Korea, Republic of

1842

1.4

1646

2

2151

3.8

자료원: ITC(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

口 한국의 KF94 vs N95

? - 중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N95 마스크에 비해 한국의 KF94는 유성 물질 필터링 조건이 까다로움. 이에 비해N95는 미립자 필터링 효과가 뛰어남. (필터링 지름과 필터링 비율 모두 KF94보다 높음) 아래 표 참고.

KF94와 N95 마스크 비교

구분

인증 국가

필터링

입자

분출 방지 능력

세균 필터링 효율

KF94

한국

MFDS

지름이 0.4μm인 입자 94% 필터링

유성, 비유성(非油性)

해당 요구 사항 없음

요구 없음

N95

미국

NIOSH

지름이 0.3μm인 입자 95% 필터링

비유성(非油性)

해당 요구 사항 없음

요구 없음

자료원:건강계(健康界)

? - N95와 KF94 모두 비 의료용 마스크로, 세균 필터링과 분출 방지(혈액, 체액) 능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없음. 두 제품 모두 의료 전용 계열의 마스크보다 성능이 떨어짐. 외과 수술 같은 의료 상황에서는 부적합함.

? - 코로나19 발발 이전에는 해외 사이트에서 KF94 마스크는 120개 당 69.19달러 (4위안/1개), N95의 비 의료용 3M 9501은 50개 당 218위안 (4.36위안/1개)임. 단가는 N95가 비싸지만 한국의 KF94와 달리 3M은 중국 국내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실제 생산 비용은 N95가 저렴함.

?

口 중국 마스크 산업 전망

(1) 판매단계 (마스크)

?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중국 마스크 시장의 증가율은 28%, 시장규모는 13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

? - 코로나19와 미세먼지로 인해, 향후 중국인들이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할 것으로 보임. 정부 차원에서도 마스크 비축 수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

? - 중국에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 정부와 민간기업의 신속한 구호 등의 활동으로,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KF94 마스크의 인지도와 신뢰도가 상승함. 우한 무역관 역시 많은 기업으로부터 KF94 마스크에 대한 문의 접수.

? - 기존에는 프리미엄 마스크로 N95만 알려졌으나, 코로나19 이후 많은 소비자들이 KF94의 품질과 브랜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됨. 2020년 1월 이후에 중국 언론 매체에서 N95와 KF94의 성능을 비교하는 기사가 많이 소개된 바 있음.


주 : N95와 KF94를 비교하는 중국 내 기사


○ 장시성 진센현(江西省???) 의료 기기 산업개발구 입주 기업 인터뷰

? - 이 기업은 마스크 생산 기업 중 조업 재개를 가장 빨리 한 기업임. 현재 20개 이상의 기업이 마스크를 생산 중. 코로나19 이후 마스크는 정부가 통제하는 ‘전략물자’로 분류됨. 이로 인해 기업이 임의로 판매할 수 있는 마스크는 생산량의 약 20 % 정도임.

? - 업 스트림의 원재료 공급 불안정, 가격 폭등으로 문의는 많지만 실질적으로 추가 주문을 받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임.


(2)가공단계(부직포, Melt Blown 부직포)

? - 의료용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3겹으로 구성. 상하 두 겹은 모두 부직포로 이루어짐. 중간 면의 Melt Blown부직포(이하 MB필터)의 원단이 의료용 마스크의 등급을 결정함.

? - 중국의 부직포 산업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그에 비해 MB필터의 생산량은 낮음(전체 부직포의 0.9%)

? - 중국MB 필터 생산 기업이 분포된 장쑤(23.53%), 저장(13.73%), 허난(11.76%)은 전국의 49.0%를 차지.


?○ 신룽컴퍼니(欣?控股公司) (주식 코드 000955) 인터뷰

? - 중국 최대 MB 필터 제조 업체 중 하나.
? - MB필터는 정부에 의해 통제되지 않지만, 이 업체의 주문은 4 월 중순(외국 주문 포함)까지 딜레이 된 상태임. 현실적으로 추가 주문 접수 불가
.
? - 또한, MB 필터의 가격은 매일 바뀌고 있음. 코로나19 이전 톤당 2만 위안이었으나, 현재는 톤당 30만 위안으로 급등.


(3) 생산단계 (폴리프로필렌(PP) 원료)

? - PP 부직포는 주로 포장재와 위생(의료, 위생 용품) 재료로 쓰임. 위생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PP원료의 용해 지수 조건은?35~40임. 하지만 현재 석유화학기업이 생산하는 PP원료의 용해지수는 대체로 30~35 사이임. 심지어 25~30인 경우도 있음. 때문에 수입 수요가 높은 편.

? -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 등 화학 공업원료 분야에서 줄곧 한국이 강세를 보임. 우한 무역관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PP 원료(39021000)수입 금액은 42억 달러이며, 이중 한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은 11.3억 달러로 전체 수입의 28.4%로1위 차지.

?

口시사점

?○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되며 전 세계의 방역 물자가 중국으로 쏟아져 들어왔음. 최근 전 세계적 확산에 따라 방역 물자는 중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부족한 상황이 됨. 앞으로 방역 물자 또한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

?○ 현지기업 인터뷰에 따르면, 중국 마스크 및 관련 원자재는 당분간 수출 제한이 없지만, 단기 수요가 많고, 원자재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해외 오퍼를 수용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 중국 내 코로나19가 진정되면 산업도 정상 궤도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

?○ 개인위생 관념과 국가의 방역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전문 마스크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 이에 반해 저가 거즈 마스크 시장 점유율은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임.

?○ 일반적인 의료용, 수술 용 마스크 코어 층의 기공 직경은 상대적으로 커서 작은 입자를 필터링할 수 없음. 나노 마스크는 효율적인 필터링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마스크 발전의 새로운 방향이 될 것으로 예상.

?

?

자료원:KOTRA 우한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중국공신부 (中?工信部), 사이디의약건강산업연구센터(?迪??健康???究中心), ITC(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건강계(健康界), 인민망(人民?),중샹정보망(中商情??), 봉황재경(???), 텐센트망(???), 까이더화공망(盖德化工?)등.





0 Comments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