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 Book

그들은 왜 회사의 주인이 되었나 Owning Our Future

그들은 왜 회사의 주인이 되었나 Owning Our Future

마조리 켈리 지음, 제현주 옮김, 북돋움

x9788992573412.jpg 

2008년 금융 위기때 한 현상을 목격한 저자가 그간 대안으로 추구해 왔던 "소유"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정당한 대안으로 제시한 책. 파생 상품은 한 상품에서 그 형태가 변형되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상품이다. 대표적인 파생 상품으로는 선물이나 옵션이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주식도 파생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파생 상품은 실물 상품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옥수수 밭을 가진 농부는 옥수수를 수확해서 팔 수 있는데, "농부가 재배하여 언제 수확할 옥수수" 내지는 "특정 시점에 농부가 재배하고 있는 옥수수 밭"을 기반으로 그것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게 되면 그것이 파생 상품이 된다. 그런데 그 권리를 또 사고 팔 수 있도록 상품으로 만들고 또 그와 연관된 상품으로 만들고... 이렇듯 파생 상품은 어쩌면 그 범위가 한정도 없을 것이다. 

저자는 2008년 금융 위기 사태 때 발견한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미국의 중산층으로 견실하게 살아온 노 부부가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는데, 빚을 져서 그 집을 차압 당해 어디론가 이사를 갔는데, 정작 차압당한 그 집은 그 누구도 주인이 없는 이상한 현상을 본 것이다. 게다가 이 노부부에게 담보 대출을 해 주었던 회사들도 중간에 사라져 버렸다. 과연 이 노부부는 누구와 거래를 했으며 이 집은 누구 소유인가. 또 이런 현상은 왜 생기게 된 것일까.

저자는 20세기 들어 눈부시게 발전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근간인 주식회사에 대해서 독자들이 한번 정도 생각해 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참여한 만큼 가져 간다는 협동조합 모델도 보여주었고 주식을 시장에 공개하지 않고 구성원끼리 모두 소유하고 있는 형태도 보여주었다. 자본에 노예가 되지 않고 인간답게 사는 모습을 선택하려면 어떤 길을 걸어야 할까. 주주의 이익을 우선시 한다는 주식회사도 결국은 도덕적 해이와 대리인 문제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사회 현상에서 시작을 했지만, 어찌 보면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다. 개인으로서 어떻게 살 것이냐. 주인이 될 것이냐 아니면 대리인으로 살아갈 것인가. 저자가 생각하지 못한 질문을 독자가 던질때 이 책은 어느 정도 답이 될 수 있겠다. 

Comments

머리 남성 끈조절 가능 모자 여름 등산용 메쉬 선캡
울트라 남성장화
남자 봄 여름 가을 카고 건빵 스판 작업 청바지
진주팔찌 뱅글팔찌 왕진주
아이패드 미니6 지문방지 액정필름 보호필름 2매
LS전선 CAT.5E UTP 옥외용 케이블 200m (철심/단선/
오쿠 두유 제조기 죽 이유식 제조기 두유기 600ml
3단접이식스탠드선풍기 탁상용선풍기 미니선풍기
공부집중 독서실공부집중 독서실 칸막이 책상 (기본)
이케아 YLLEVAD 윌레바드 미니액자 화이트13x18cm
우드케어 오일스테인 woodcare 10리터
3M 마루보호 패드 원형 혼합형 대용량 기획팩 162매입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현악기 레진 송진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 350ml 24개
쿨샵 남성 메쉬운동화 스포티한 가벼운 워킹화 2컬러
비바 클라우드 아동인라인가방 VVCLOUD9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맨위로↑